1. 서론
포인트 기부는 현대 사회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기부 문화의 한 형태로, 개인이나 기업이 적립한 각종 포인트나 마일리지를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 기부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는 현금 기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고, 일상생활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기부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포인트 기부의 중요성은 여러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첫째, 개인의 입장에서는 평소에 사용하지 않고 있던 포인트를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둘째, 기업의 경우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고객들의 참여를 유도하며 긍정적인 기업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셋째, 사회적으로는 새로운 기부 문화를 조성하고 나눔의 가치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최근 통계 자료를 살펴보면, 국내 기부 문화가 점차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23년 기준 국내 기부금 총액은 16조 원으로, 2022년 15.1조 원에 비해 9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특히 개인 기부금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도 꾸준히 상승하여 2023년에는 11.5조 원을 기록, 전년 대비 8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이는 기부에 대한 개인의 관심과 참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포인트 기부 역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KB국민카드의 포인트리 기부금은 3년 전 대비 167% 증가했으며, 이는 포인트 기부가 새로운 기부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한국의 세계기부지수 순위가 142개국 중 79위에 그치고 있다는 점은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기부 선진국인 미국(5위), 캐나다(8위) 등 북미 국가와 비교해 크게 뒤처지는 현실은, 우리나라의 기부 문화가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글에서는 국내외 포인트 기부의 현황과 특징,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포인트 기부의 다양한 유형과 방식, 각국의 현황과 사례, 그리고 이에 따른 장단점 분석을 통해 포인트 기부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나아가 더욱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포인트 기부 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볼 것입니다.
2. 포인트 기부의 유형 및 방식
포인트 기부의 유형과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습니다. 주요 유형으로는 항공사 마일리지 기부, 호텔 포인트 기부, 신용카드 포인트 기부, 그리고 기타 로열티 프로그램 포인트 기부 등이 있습니다.
항공사 마일리지 기부는 가장 널리 알려진 포인트 기부 방식 중 하나입니다. 많은 항공사들이 고객들에게 적립된 마일리지를 자선단체에 기부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merican Airlines는 Stand Up To Cancer 자선단체에 기부할 경우 기부금 1달러당 10 AAdvantage 마일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호텔 포인트 기부 역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메리어트, 힐튼 등 글로벌 호텔 체인들은 고객들이 적립한 포인트를 다양한 자선단체에 기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사용하지 않은 포인트를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포인트 기부는 가장 접근성이 높은 포인트 기부 방식 중 하나입니다. 많은 신용카드 회사들이 고객들에게 적립된 포인트를 자선단체에 기부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부의 문턱을 낮추고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기부에 참여할 수 있게 합니다.
기타 로열티 프로그램 포인트 기부도 주목할 만합니다. 다양한 기업들이 자사의 로열티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들이 적립한 포인트를 기부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과 고객 참여를 효과적으로 결합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포인트 기부의 방식도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온라인 기부 외에도, 모바일 앱을 통한 간편 기부, QR코드를 활용한 즉석 기부 등 새로운 방식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Classy의 2025년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월렛을 활성화한 캠페인의 경우 모바일 전환율이 15-18%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론적으로, 포인트 기부는 다양한 유형과 방식으로 발전하며 새로운 기부 문화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욱 편리하고 효과적인 포인트 기부 방식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기부 문화의 확산과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국내 포인트 기부 현황
포인트 기부는 최근 다양한 기업들이 참여하며 새로운 기부 문화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사례와 관련 법규 및 세제 혜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롯데카드의 '포인트 매칭기부'
롯데카드는 '포인트 매칭기부 행복 두 배' 캠페인을 통해 고객이 기부한 포인트만큼 회사가 추가로 기부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은 엘포인트나 롯데SK주유포인트를 기부할 수 있으며, 기부된 포인트는 빈곤 가정 아동 지원 및 환아 의료 지원에 사용됩니다.
SK텔레콤의 '행복크레딧'
SK텔레콤은 'ESG 포인트 기부 프로그램'인 '행복크레딧'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이 친환경 상품을 구매하거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결제금액의 일부가 기부 전용 포인트로 적립됩니다. 2020년 1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255만 명의 고객이 참여해 총 8.3억 원의 '행복크레딧'이 적립되었습니다.
구글 플레이의 포인트 나눔 캠페인
구글 플레이는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함께 포인트 나눔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사용자가 적립한 포인트를 기부하면 구글 플레이가 그 금액의 2배를 최종 기부하는 방식으로, 2023년 7월부터 12월까지 약 7100명이 참여해 15,972,000원이 모금되었습니다.
기부금품법 개정
최근 국내 포인트 기부와 관련된 정책 및 제도에 중요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2024년 7월 31일부터 시행된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에 따라 포인트 기부의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이번 개정의 핵심은 기부금품의 범위 확대입니다. 기존에는 금전과 물품만 기부 가능했으나, 이제는 상장 주식, 선불전자지급수단, 전자화폐, 선불카드, 각종 상품권 등 유가증권도 기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카드사 포인트, 기프트카드, 티머니카드, 백화점 상품권, 도서·문화상품권 등 다양한 형태의 포인트를 기부할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포인트 기부 절차도 간소화되었습니다. 기부 모집 단체는 카드사 등 발행처와 협의하여 기부처 목록에 단체명을 추가할 수 있으며, 기부자는 발행처의 홈페이지나 앱에서 기부 메뉴를 통해 포인트를 기부할 수 있습니다. 현금 전환이 가능한 경우, 기부자가 직접 현금으로 전환하여 모집단체에 계좌 이체할 수도 있습니다.
4. 해외 포인트 기부 현황
Miles4Migrants
2016년에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항공사 마일리지와 포인트를 기부받아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 이주민들의 항공권을 예약해줍니다. 주요 특징은:
- 7억 7500만 포인트와 마일을 사용하여 43,000명 이상의 난민과 망명 신청자를 지원
- Air Canada Aeroplan, Alaska Mileage Plan, United Airlines MileagePlus 등 주요 항공사 프로그램 참여
- 최소 1,000 포인트 또는 마일부터 기부 가능
Alaska Airlines Mileage Plan
Alaska Airlines는 13개의 선정된 자선단체에 마일리지를 기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대상 단체로는 Alaska Airlines 재난구호 기금, The Nature Conservancy, Make a Wish International 등이 있습니다.
American Airlines AAdvantage
American Airlines의 AAdvantage 프로그램은 사회공헌, 글로벌 건강 및 복지, 영웅 지원, 환경 보호 등 4가지 유형의 자선단체를 지원합니다. 최소 1,000마일부터 기부가 가능하며, Unicef, Stand Up To Cancer, Gary Sinise Foundation 등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Singapore Airlines KrisFlyer
싱가포르항공의 KrisFlyer 프로그램은 Make-a-Wish Singapore와 제휴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을 가진 어린이들의 소원을 이루어주는 데 기부할 수 있습니다. 최소 1,000마일부터 기부 가능하며, 한 번에 최대 100,000마일까지 기부할 수 있습니다.
Wheel Pros Rewards
자동차 휠 제조 및 유통 기업인 Wheel Pros는 딜러 리워드 프로그램을 통해 Charity Choice eGift 카드로 포인트를 기부할 수 있게 합니다. 이 카드는 Charity Choice 플랫폼을 사용하는 수백 개의 등록된 자선단체에 기부할 수 있습니다.
Primo International
Primo International은 고객들이 1,000 또는 2,000 포인트를 $25 또는 $50의 기부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고객은 리워드 계정에 로그인하여 포인트를 상환하면 회사가 해당 가치만큼 자선단체에 기부합니다.
Orbis Macau의 E-wallet / 보너스 포인트 기부 프로그램
- Bank of China 모바일 앱을 통한 기부
- CTM 사용자는 4,000 포인트를 MOP 30으로 전환하여 기부 가능
- OCBC 은행 고객은 보너스 포인트 상환 프로그램을 통해 기부 가능
5. 포인트 기부의 장단점 분석
포인트 기부의 장단점 분석은 기부자와 수혜 단체 양측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부자 측면에서의 장점으로는 먼저 기부의 용이성을 들 수 있습니다. KB국민카드의 분석에 따르면 포인트리 기부금이 3년 전 대비 167% 증가했는데, 이는 포인트 기부가 현금 기부에 비해 부담이 적고 접근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포인트 기부는 기부자에게 세제 혜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IRS 인증 501(c)(3) 공공 자선단체에 기부 시 조정총소득의 최대 60%까지 세금 공제가 가능합니다.
반면 단점으로는 기부의 실질적 영향력 파악이 어렵다는 점이 있습니다. Piton Foundation의 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기부자들이 자신의 기부가 어떤 구체적인 변화를 만들어냈는지 알기 어려워합니다. 또한 일부 포인트 기부 프로그램의 경우 기부 과정에서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어 실제 기부 금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수혜 단체 측면에서의 장점은 안정적인 기부 문화 조성입니다. KB국민카드의 통계에 따르면 카드로 기부한 회원 중 75%가 2회 이상 기부했으며, 이들이 전체 기부금의 97%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포인트 기부가 정기적인 기부 문화 형성에 기여함을 보여줍니다. 또한 포인트 기부는 새로운 기부자 유치에도 효과적입니다. Yotpo의 보고서에 따르면, 포인트 기부 옵션을 제공하는 것은 더 많은 고객들이 리워드 프로그램에 가입하도록 유도하며, 이는 장기적으로 고객 생애 가치를 증가시킵니다.
그러나 수혜 단체 입장에서의 단점도 존재합니다. 포인트 기부의 경우 기부 금액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어 대규모 프로젝트 진행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Piton Foundation의 보고서는 일부 기부자들의 가치관과 목표가 수혜 단체의 그것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합니다. 이는 기부자의 의도와 다른 프로젝트에 자금이 사용되거나 양측의 평판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합니다.
사회적 영향 측면에서 포인트 기부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집니다. NSPCC의 보고서에 따르면, 포인트 기부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기부는 사회 구성원들에게 소속감을 제공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기부 행위 자체가 주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쳐 더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포인트 기부는 기부의 접근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기부 문화를 조성하는 데 기여하지만, 동시에 기부의 실질적 영향력 파악이나 대규모 프로젝트 진행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인트 기부의 장점을 최대화하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6. 포인트 기부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
기부 행동의 증가
Vossler et al.의 연구에 따르면, 포인트 기부 방식 중 '반올림' 메커니즘이 가장 높은 기부율을 보였습니다. 이는 '잔돈 효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사람들이 거래 후 받게 될 잔돈의 양이 줄어들 때 기부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기부금 규모
포인트 기부 프로그램의 효과는 상당합니다. 예를 들어, 2020년 PetSmart Charities는 총 7820만 달러의 기부금을 모금했는데, 이 중 56%인 4400만 달러가 포인트 기부 캠페인을 통해 모금되었습니다.
간접적 이점
포인트 기부 캠페인은 직접적인 기부금 모금 외에도 여러 간접적인 이점을 제공합니다. 자선 단체와 이를 후원하는 기업들에 대한 홍보 효과가 있으며, 높은 기부율은 잠재적인 대규모 기부자들에게 해당 자선 단체가 대중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중요한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비용 대비 효과
포인트 기부는 일반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낮은 비용과 중간 비용 조건에서 높은 비용 조건에 비해 더 많은 기부 행동이 나타났습니다.
장기적 영향
ThriftCart의 보고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POS(Point of Sale) 기부가 3억 8900만 달러에서 7억 4900만 달러로 거의 두 배 증가했습니다. 이는 포인트 기부 프로그램이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7. 포인트 기부의 미래 전망 및 발전 방향
포인트 기부의 미래 전망 및 발전 방향은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변화에 따라 계속 진화하고 있습니다.
AI를 활용한 개인화된 포인트 기부
AI 기술의 발전으로 포인트 기부 시스템이 더욱 개인화되고 효율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AI는 기부자의 선호도와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맞춤형 포인트 기부 제안을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부자들은 자신의 관심사와 일치하는 캠페인에 더 쉽게 포인트를 기부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소액 포인트 기부의 증가
소액 기부, 특히 포인트를 활용한 마이크로 기부가 더욱 활성화될 전망입니다. 이는 기부자들이 부담 없이 자주 기부에 참여할 수 있게 하며, 장기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포인트 기부 플랫폼들은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더 작은 단위의 포인트 기부 옵션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VR/AR을 활용한 몰입형 포인트 기부 경험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한 몰입형 스토리텔링이 포인트 기부 분야에도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기부자들은 자신의 포인트 기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직접 체험할 수 있게 되어, 기부에 대한 만족도와 참여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데이터 기반의 포인트 기부 전략
2025년에는 데이터 분석이 포인트 기부 전략 수립에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비영리 단체들은 기부자의 포인트 기부 패턴, 선호도, 기부 금액 등을 분석하여 더 효과적인 캠페인을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속 가능한 포인트 기부 프로그램의 중요성
정기적인 포인트 기부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정기 기부자의 유지율이 78%로, 일회성 기부자의 유지율보다 훨씬 높습니다. 따라서 비영리 단체들은 지속 가능한 포인트 기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강화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8. 결론
포인트 기부는 현대 사회에서 새로운 기부 문화로 자리잡고 있으며, 그 잠재력과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첫째, 포인트 기부는 기부의 문턱을 낮추어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기부에 참여할 수 있게 합니다. 현금 기부에 비해 심리적, 경제적 부담이 적어 기부 문화의 저변 확대에 기여합니다. KB국민카드의 포인트리 기부금이 3년 전 대비 167% 증가한 것은 이러한 접근성 향상을 잘 보여줍니다.
둘째, 포인트 기부는 미사용 포인트의 가치를 사회에 환원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적립만 하고 사용하지 않는 포인트를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개인에게는 만족감을, 사회에는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합니다.
셋째, 포인트 기부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과 고객 참여를 효과적으로 결합합니다. 기업은 포인트 기부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면서 동시에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넷째, 기술의 발전과 함께 포인트 기부 시스템은 더욱 효율적이고 투명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의 기술은 기부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기부금의 사용 효율성을 개선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포인트 기부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기부 방식으로 자리잡았으며, 앞으로도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포인트 기부 시스템이 더욱 발전한다면, 우리 사회의 나눔 문화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9. 참고문헌
- "데이터로 보는 기부와 CSR(2024년 1월)", 오렌지랩, 2024.01.12, https://lab.myorange.io/insight/trendreport/2401
- "카드 포인트를 활용한 기부 방법", 사블로리아, 2025.01.17, https://savloria.tistory.com/290
-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기여 포인트 제도 도입 방안", 이법어때?, 2024.11.05, https://xn--yk3bv2r.com/23/?bmode=view&idx=125355883
- "[맞짱 토론] 신용카드 소멸포인트 자동기부 법제화해야 하나", 한국경제, 2015.08.28,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5082814141
- "국세청 세금포인트, 기부는 왜 안 될까?", 한국세정신문, 2021.03.22, http://taxtimes.co.kr/news/article.html?no=249011
- "카드 포인트 활용방법", 여신금융협회, https://customer.crefia.or.kr/common/forward.xx?url=%2Fcustomer%2Fguard%2FguardCreditcardUseGuide7
- "Miles4Migrants", 공식 웹사이트, https://miles4migrants.org/
- "American Airlines AAdvantage", 공식 웹사이트, https://www.aa.com/i18n/aadvantage-program/aadvantage-program.jsp
- "Singapore Airlines KrisFlyer", 공식 웹사이트, https://www.singaporeair.com/en_UK/sg/ppsclub-krisflyer/
- "Are Roundup Donations Profitable? [ANSWERED]", ThriftCart, 2024.12.26, https://thriftcart.com/blog/are-roundup-donations-profitable-answered
- "Wheel Pros Rewards", 공식 웹사이트, https://www.wheelpros.com/rewards
- "Primo International", 공식 웹사이트, https://www.primointernational.com/
- "Orbis Macau", 공식 웹사이트, https://orbis.org/en/where-we-work/macau
- "CJ ONE", 공식 웹사이트, https://www.cjone.com/
- "롯데카드", 공식 웹사이트, https://www.lottecard.co.kr/
-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239471&viewCls=lsRvsDocInfoR#
- "Checking Out Checkout Charity: A Study of Point-of-Sale Donation Campaigns", Vossler et al., University of Tennessee, 2022.09, https://volweb.utk.edu/~cvossler/files/Checkout%20Charity%20Manu%20(accepted).pdf
- "Blackbaud Institute", 공식 웹사이트, https://institute.blackbaud.com/
- "CAF (Charities Aid Foundation)", 공식 웹사이트, https://www.cafonline.org/
- "Vanco Payments", 공식 웹사이트, https://www.vancopayments.com/
- "Classy", 공식 웹사이트, https://www.classy.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