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로고

정보·자료

1더하기 1은 3? 우리의 자원과 너의 자원을 합쳐 시너지를 일으키자 <혼합금융과 임팩트투자>_상편

작성자 오성주 등록일 2025-10-18 조회수 12
활동직무 사업운영 활동분야 자원/배분 국제연대/국제개발협력
자료출처 기관/단체 자료형태 문서

1. 서론

 

1) 혼합금융(Blended Finance)의 개념과 특징

혼합금융은 공적자금과 민간자본을 전략적으로 결합하여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개발을 촉진하는 혁신적인 금융 기법이다. 세계경제포럼(WEF)과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는 혼합금융을 "개도국 시장으로의 민간투자재원 동원을 위한 개발금융과 자선 자금의 전략적 활용"으로 정의하고 있다.

혼합금융 지원수단 및 구조화 기법
(출처 : 혼합금융 지원 수단 및 구조화 기법  https://brunch.co.kr/@14f89cf1c46542e/7)

 

혼합금융의 핵심은 공공 재원이 촉매 역할을 하여 민간 투자의 위험을 완화하고, 적정 수익률을 보장함으로써 개발도상국으로의 민간 자본 유입을 촉진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공공부문에서 제공하던 서비스를 민간이 담당하게 하는 민관협력(PPP)보다 광범위한 개념으로, 기존에 공공부문에서 담당하지 않았던 부분까지도 적용할 수 있다.

 

혼합금융의 주요 특징:

● 위험 분담 구조: 정부-민간 간 위험 분담을 통해 민간 투자재원을 개발 효과가 높은 영역으로 동원

● 다양한 금융 수단 활용: 증여, 보증, 지분투자, 대출, 메자닌 투자 등 다양한 금융 수단과 비금융 수단을 구조화

● 레버리지 효과: 공적 재원을 활용하여 민간 상업 재원을 개발 목적 사업으로 동원하는 효과적 수단

● OECD가 제시한 혼합금융의 5대 원칙은 개발목적성, 민간재원 동원, 현지 개발 환경에 대한 고려, 효과적 파트너십, 모니터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임팩트투자(Impact Investing)의 정의와 핵심 요소

임팩트투자는 재무적 수익과 함께 측정 가능한 긍정적인 사회적 또는 환경적 임팩트를 창출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행하는 투자를 의미한다. 글로벌 임팩트 투자 네트워크(GIIN)는 임팩트투자를 "재정적 수익 창출뿐만 아니라 긍정적이고 측정가능한 사회적·환경적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투자"로 정의한다.

 

임팩트투자의 4가지 핵심 특성:

● 의도성(Intentionality): 사회적·환경적 임팩트를 창출하여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는 명확한 의도

● 근거(Evidence & Impact Data): 투자 설계 시 타당한 근거와 임팩트 데이터 활용

● 성과 관리(Impact Management): 수익 창출을 포함한 임팩트 성과 관리에 집중

● 성장(Contribute to the growth): 투자의 유효성, 기준과 원칙 개발을 통해 임팩트 투자 활성화에 기여

 

임팩트투자는 J.P. 모건이 정의한 바와 같이 "재무적 이익과 더불어 긍정적인 사회·환경적 임팩트도 달성하는 자본 투자"로서, 반드시 원금과 플러스 수익을 기대하는 규모 있는 자본 투자라는 점에서 기부금과 차별화된다.

자산투자 스펙트럼
(출처 : 자산투자 스펙트럼  https://www.pwc.com/kr/ko/insights/insight-research/pwckorea_inight-flash_impact-investing.pdf)

 

3) 혼합금융과 임팩트투자의 관계와 차이점

혼합금융과 임팩트투자는 같은 분야에 있지만 서로 다른 층위의 개념이다. 임팩트투자는 궁극적으로 '임팩트'를 원하는 투자자가 하는 투자 철학이자 접근법인 반면, 혼합금융은 재원을 혼합하는 방식이다.

 

주요 차이점

● 목적의 차이: 임팩트투자는 모든 투자자가 임팩트 창출을 목표로 하지만, 혼합금융에서는 공공·자선 분야는 임팩트를, 민간 투자자는 재무적 수익만을 추구할 수 있다.

● 구조의 차이: 혼합금융은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진 조직이 각자의 목표를 달성하면서 함께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화된 접근 방식

● 적용 범위: 혼합금융은 전통적인 재무적 투자자를 임팩트 투자 시장에 유입시키기 위한 전략 중 하나로 활용된다.

 

혼합금융은 아직 실험 단계에 있으며, 기존 개발협력 방식과 가장 다른 점은 민간 재원의 '투자' 관점이 결합했다는 점이다. 이는 "서로 다른 렌즈를 조합하여 더 선명하고 질 좋은 상을 볼 수 있는" 복합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한다.

“…빛이 렌즈를 통과할 때 빛의 파장에 따라 굴절되는 정도가 달라서 적색광은 청색광과 약간 다르게 휘어지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도 있다. 볼록렌즈를 통과한 광선은 이론상 한점으로 모여야 하지만, 실제로는 렌즈 중앙에 가까운 곳과 먼 곳에서 빛이 휘어지는 방식이 미세하게 다르다… 하지만 렌즈 2개를 결합하면 수차가 상쇄되면서 더 선명하고 질 좋은 상을 볼 수 있었다.” – 볼트와 너트 중에서

(출처 : [투자자, 연금술사가 되다] 혼합금융 101 : 먼저 믿고 투자합니다  https://futurechosun.com/archives/115663)

 

혼합금융의 3대 요소:

● Leverage: 공공 개발재원과 자선기금이 외부 자본을 유인

● Impact: 사회적가치/사회-환경-경제적 진보 달성

● Returns: 외부 투자자에게 적정 수익률 제공

 

이처럼 혼합금융과 임팩트투자는 모두 재무적 수익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동시에 추구하면서도, 각각 다른 방식과 구조를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하는 혁신적인 금융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2. 혼합금융(Blended Finance)

 

1) 개념과 정의

혼합금융은 공적자금과 민간자본을 전략적으로 결합하여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개발을 촉진하는 구조화된 접근 방식으로, 세계경제포럼(WEF)과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는 이를 "개도국 시장으로의 민간투자재원 동원을 위한 개발금융과 자선자금의 전략적 활용"으로 정의한다.

혼합금융은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진 조직이 각자의 목표(재무적 수익과 사회적 가치 창출)를 달성하면서 함께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화된 접근 방식을 말한다. 이는 단순한 민관협력(PPP)보다 광범위한 개념으로, 기존에 공공부문에서 담당하지 않았던 사업 영역까지도 적용이 가능하다.

 

혼합금융의 핵심 메커니즘:

● 위험 완화: 공공부문이 민간투자자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역할

● 레버리지 효과: 공적 재원을 활용하여 더 많은 민간 상업 재원을 동원

● 개발효과성: 개발효과가 높은 영역으로 민간 투자재원을 동원

 

2) 구조적 특징과 작동 방식

혼합금융의 작동 방식은 크게 직접자금지원과 간접자금지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직접자금지원은 사업 초반에 개발 초기 비용을 상당 부분 부담하지만, 사업이 진행될수록 시장 조건에 맞는 유동성 공급을 통해 사업을 '시장화'시킨다. 간접자금지원은 사업 발전 단계와 무관하게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혼합금융에 사용되는 주요 금융수단:

● 증여(Grants): 직접투자방식의 촉매 자금

● 보증(Guarantees): 민간투자자의 위험 완화

● 지분투자(Equity): 직접적인 자본 참여

● 대출(Debt): 간접투자방식의 재원 제공

● 메자닌 투자: 대출과 지분투자의 중간적 성격

 

3) 구조화 메커니즘

혼합금융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조화될 수 있으며, 집합투자기구(CIVs) 방식의 퍼실리티 및 펀드가 총 혼합금융 거래의 74%를 차지한다. 주요 구조화 방식은 다음과 같다:

 

- 후순위 구조화(Subordination)

● 공공부문이 후순위 투자자로 참여

● 민간투자자는 우선순위 지위 확보

● 위험 분담을 통한 민간 참여 유도

 

- 신디케이션 대출(Syndicated Loan)

● 다양한 금융기관이 대주단을 구성

● 투자자들의 신뢰도 향상

● 거래비용 감소 효과

 

- 퍼실리티 및 펀드 구조

● 특정 분야(기후, 식량 등)에 집중

● 다층적 리스크 구조 설계

● 보수적인 상업적 투자자의 참여 확대

 

4) OECD 혼합금융 원칙

OECD DAC는 2017년 효과적이고 투명한 혼합금융 실행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서 'OECD DAC 혼합금융원칙'을 채택했다. 이 원칙은 5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다:

● 개발목적성(Development Purpose): 개도국의 지속가능개발을 우선 목표로 설정

● 민간재원 동원(Private Finance Mobilization): 민간재원 확보가 불가능한 영역에 투자하여 추가성(additionality) 확보

● 현지 개발환경 고려(Local Context): 수원국의 정치·경제·사회적 환경 고려

● 효과적 파트너십(Effective Partnership):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력 체계 구축

● 모니터링(Monitoring): 성과 평가 및 투명성 확보

 

 

 

3. 임팩트투자(Impact Investing)

 

1) 정의와 핵심 특성

글로벌 임팩트 투자 네트워크(GIIN)는 임팩트투자를 "재정적 수익 창출뿐만 아니라 긍정적이고 측정가능한 사회적·환경적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투자"로 정의한다. 이는 '측정 가능하고 긍정적인 사회적·환경적 결과를 위한 의도적인 투자'라는 초기 개념에서 발전한 것이다.

 

임팩트투자의 4가지 핵심 특성:

● 의도성(Intentionality): 사회적·환경적 임팩트를 창출하여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는 명확한 의도

● 근거(Evidence & Impact Data): 투자 설계 시 타당한 근거와 임팩트 데이터 활용

● 성과 관리(Impact Management): 수익 창출을 포함한 임팩트 성과 관리에 집중

● 성장(Contribute to the growth): 투자의 유효성, 기준과 원칙 개발을 통해 임팩트 투자 활성화에 기여

 

2) 임팩트투자의 핵심 요소

임팩트투자는 목적성, 측정성, 수익성이라는 세 가지 주요 특징을 갖는다. 이는 전통적인 투자와 자선활동의 중간에 위치하면서도 고유한 특성을 보인다:

 

- 목적성(Intentionality)

● 명확한 사회적·환경적 임팩트 창출 의도

● 특정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직접적 기여 추구

 

- 측정성(Measurable)

● 임팩트 성과의 객관적 측정 가능성

● 표준화된 임팩트 측정 프레임워크 활용

 

- 수익성(Financial Return)

● 사회적 가치와 함께 재무적 수익 추구

● 원금 회수 및 적정 수익률 기대

 

3) 임팩트 측정과 평가 방법론

임팩트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임팩트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론과 프레임워크가 개발되었다:

 

- IMP(Impact Management Project) 5가지 차원:

● What: 임팩트가 창출한 성과(Outcome)는 무엇이고, 수혜자에게 해당 성과는 얼마나 중요한가?

● Who: 성과를 경험한 수혜자는 누구이고, 해당 수혜자들은 얼마나 취약한 상황에 놓여있는가?

● How much: 성과를 경험한 수혜자는 몇 명이고, 그들이 경험한 변화의 수준과 성과를 경험한 기간은 어느 정도인가?

● Contribution: 임팩트 투자를 하지 않았을 경우와 비교하여 실제 기여도는 얼마나 되는가?

● Risk: 예상한 바와 다른 방식으로 임팩트가 발생할 가능성은 무엇인가?

 

- IRIS+(Impact Reporting and Investment Standards)

● 글로벌 임팩트 투자 네트워크에서 개발한 표준화된 측정 방법론

● 임팩트 투자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틀 제공

 

- Impact IVM(Identification, Valuation, Management)

● 임팩트 식별, 가치평가, 관리의 통합적 접근

● 투자 현장에서 실무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 가이드라인 제공

 

4) ESG투자와의 차이점

임팩트투자와 ESG투자는 모두 사회적·환경적 가치를 고려하지만,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 투자 동기의 차이:

● ESG투자: 피해 방지(To avoid harm)에 중점, 네거티브 스크리닝 방식

● 임팩트투자: 솔루션 기여(To contribute to solving challenges), 포지티브 액션

 

- 임팩트 초점의 차이:

● ESG투자: 비즈니스 내부 운영 문제에 초점(Internal operational focus)

● 임팩트투자: 제품·서비스의 외부 영향에 초점(External product service focus)

 

- 측정과 평가:

● ESG투자: ESG 평가 점수를 통한 위험 관리 도구로 활용

● 임팩트투자: 측정 가능한 사회적·환경적 성과 창출을 핵심으로 함

 

5) 혼합금융과 임팩트투자의 상호 관계

혼합금융과 임팩트투자는 서로 다른 층위의 개념이지만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혼합금융은 전통적인 재무적 투자자를 임팩트 투자 시장에 유입시키기 위한 전략 중 하나로 활용된다.

 

주요 연결점:

● 공통 목표: 재무적 수익과 사회적 가치의 동시 추구

● 위험 완화: 공공부문의 참여를 통한 민간투자 위험 감소

● 규모 확대: 민간자본 동원을 통한 임팩트 투자 시장 확대

 

혼합금융 구조에서 공공부문 투자자는 민간 투자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촉매' 역할을 하며, 낮은 이율을 수용하고 손실 위험을 감수한다. 이를 통해 공공부문은 투자 규모를 키워 더 큰 사회적 임팩트를 기대할 수 있고, 민간부문은 손실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혼합자본의 핵심 장점이다.

 

 

 

4. 혼합금융 해외 사례

 

성공 사례

1) CrossBoundary Energy의 아프리카 태양광 프로젝트

CrossBoundary Energy(CBE)는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지역에서 운영되는 태양광 발전 사업으로 혼합금융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미국국제개발처(USAID)가 추진하던 '파워 아프리카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추진된 이 프로젝트는 공적자금의 전략적 활용을 통한 민간투자 유치의 전형적인 모델을 보여준다.

CrossBoundary Energy 인증
(출처 : CrossBoundary Energy 인증  https://crossboundaryenergy.com/about/about-us/)

 

프로젝트 구조:

● USAID가 130만 달러를 후순위 자본으로 지원

● 최소 레버리지 비율 5:1을 요구조건으로 설정

● 결과적으로 750만 달러의 민간투자 유치에 성공

 

성과와 의의:

● 2024년 기준 314MWp의 태양광 발전 시설 운영 중

● 579MWh의 배터리 저장 시설(BESS) 구축

● AB InBev, Diageo, Heineken, Unilever 등 글로벌 기업들에게 전력 공급

● 제로 자본비용(Zero capex required) 모델로 기업 고객들의 재생에너지 전환 지원

 

CrossBoundary Energy는 2022년 나이지리아에서 ENGIE Energy Access와 6천만 달러 규모의 금융 계약을 체결하여 태양광 발전 미니 그리드를 배포하는 등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2022년에는 ARCH Emerging Markets Partners, Bank of America, Microsoft Climate Innovation Fund로부터 2천5백만 달러의 추가 자금조달에 성공했으며, 2022년 노르웨이의 Norfund와 KLP Norfund Investors로부터 4천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

 

2) 라오스 ADB 몬순 풍력발전 프로젝트

라오스의 몬순 풍력발전 프로젝트는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풍력발전 단지로서 혼합금융을 통한 인프라 개발의 성공 사례다. 이 프로젝트는 600MW 발전 용량의 133개 풍력터빈으로 구성되며, 총사업비 9억 5천만 달러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다.

 

혼합금융 구조:

● 아시아개발은행(ADB) 일반대출 1억 달러

● ADB 주선 평행대출 3억 8,255만 달러

● 신디케이트론 1억 5천만 달러

● 지원 자금 6천만 달러

● 공적개발원조(ODA) 1천만 달러

 

참여 주체:

● 임팩트에너지아시아개발(IEAD): 태국 BCPG와 일본 미쓰비시상사 합작회사

● 금융 참여자: ADB, 일본국제협력기구(JICA), 미쓰이스미토모은행(SMBC) 등

 

성과 및 임팩트:

● 연간 1,700GWh 이상의 청정에너지 생산 예정

● 25년간 베트남전력공사(EVN)에 전력 판매 계약 체결

● 프로젝트 기간 동안 3,500만 톤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효과

● 아시아 최초의 초국경 풍력발전 사업으로 기록

 

이 프로젝트는 라오스가 "동남아시아의 배터리"로 자리매김하려는 국가 전략과도 부합하며, 수력발전에 과도하게 의존하던 라오스의 에너지 포트폴리오 다변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3) GET FiT 프로그램 (독일, 노르웨이, EU, 영국 공동)

GET FiT(Global Energy Transfer Feed-in Tariff) 프로그램은 우간다에서 시작된 혼합금융 기반의 재생에너지 지원 프로그램으로, 독일, 노르웨이, EU, 영국이 공동으로 참여한 다자간 혼합금융의 성공 사례다.

 

프로그램 특징:

● 소규모 재생에너지 프로젝트(1-20MW)에 대한 프리미엄 요금제 제공

● 민간투자자에게 장기간 고정 수익 보장을 통한 투자 위험 완화

● 현지 그리드 연결 인프라 개발과 연계한 통합적 접근

(출처 : 인프라 투자 관련 혼합금융의 도전과제와 기회  https://overseas.mofa.go.kr/oecd-ko/brd/m_20809/view.do?seq=1260068&srchFr=&%3BsrchTo=&%3BsrchWord=&%3BsrchTp=&%3Bmulti_itm_seq=0&%3Bitm_seq_1=0&%3Bitm_seq_2=0&%3Bcompany_cd=&%3Bcompany_nm=)

 

4) 미국 BoA의 DFNS(Debt-for-Nature Swap) 거래

Bank of America가 주도한 가봉의 자연채무교환(Debt-for-Nature Swap) 거래는 혼합금융을 통한 환경보전과 재정 안정화를 동시에 달성한 혁신적 사례다. 이 거래는 가봉의 기존 부채를 재구조화하여 해양보호구역 확대를 위한 자금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출처 : 글로벌 혼합금융 확대 움직임과 시사점  file:///C:/Users/CHILD/Desktop/(20250630)%20%EA%B8%80%EB%A1%9C%EB%B2%8C%20%ED%98%BC%ED%95%A9%EA%B8%88%EC%9C%B5%20%ED%99%95%EB%8C%80%20%EC%9B%80%EC%A7%81%EC%9E%84%EA%B3%BC%20%EC%8B%9C%EC%82%AC%EC%A0%90.pdf)

 

- 공적자금의 전략적 활용

● 후순위 자본 제공을 통한 민간투자자의 위험 완화

● 보증 및 신용보강을 통한 투자 환경 개선

● 촉매자본으로서의 레버리지 효과 극대화

 

- 위험 분담 구조의 효과적 설계

● 각 투자자의 위험 선호도에 맞는 맞춤형 구조 설계

● 다층적 리스크 구조를 통한 보수적 투자자 참여 유도

● 현지 정부 및 국제기구와의 파트너십 구축

 

- 민간투자 유치를 위한 레버리지 효과

● 공적자금 대비 높은 민간자본 동원 비율 달성

● 시장 신호 효과를 통한 추가 투자자 유치

● 사업 모델의 검증을 통한 후속 투자 활성화

 

 

 

5. 임팩트투자 해외 사례

 

1) 미국 Fifth Third Bank의 주거 지원 프로젝트

Fifth Third Bank의 주거 지원 프로젝트는 미국 내 임팩트투자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평가받는다. 이 프로젝트는 160만 달러(약 22억 원)의 브릿지론을 제공하여 2021년부터 낙후된 지역의 주택을 매입한 뒤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거나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프로젝트 성과:

● 7개 주 9개 지역에서 흑인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

●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125만 달러를 1년간 무이자로 대출 제공

● 지역 정부의 상환 보장을 통한 안정적인 자금 회수

● 수혜자들로부터 신속한 지원에 대한 긍정적 평가 획득

 

성공 요인:

● 명확한 사회적 목표 설정 (주거 접근성 개선)

● 지역 정부와의 협력을 통한 리스크 관리

● 측정 가능한 임팩트 지표 (주택 공급 수, 수혜 가구 수)

Fifth Third Band 프로젝트 결과
(출처 : Fifth Third Neighborhood Program  https://www.53.com/content/fifth-third/en/personal-banking/about/in-the-community/community-and-economic-development.html)

 

2) 일본의 임팩트투자 생태계 성장

일본의 임팩트투자 시장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바탕으로 급속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2024년 기준 일본의 임팩트 투자 시장 규모는 750억 달러(약 105조 원)로 전년 대비 1.9배 성장했으며, 이는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뒷받침된 결과다.

 

정책적 지원 체계:

● 2019년 '휴면예금 활용법' 도입으로 연간 700억 엔의 재원 확보

● 기시다 전 총리의 '새로운 자본주의' 정책 방향 제시

● 21개 기관이 참여한 '일본 임팩트 중심 금융 이니셔티브' 출범

 

구체적 성공사례:

● 라이트 라이트(Light-Right)의 릴레이 플랫폼

● 소규모 기업 소유주와 인수 희망자를 연결하는 플랫폼 운영

● KIBOW 소셜 투자 펀드로부터 30만 달러 투자 및 경영 지원

● 1년 반 동안 미야자키현에서 3건의 사업 승계 성공

● 제과점 후계자 발굴을 통한 상권 활성화 및 8개 신규 사업장 유치

라이트 라이트 플랫폼
(출처 : 라이트 라이트 플랫폼  https://light-right.jp/)

 

3) 일본 ARUN의 동남아 임팩트투자

ARUN은 일본 최초의 임팩트 투자 펀드로, 캄보디아·미얀마 등지의 사회적기업에 직접 투자하며 현지 기업의 성장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동시에 지원하는 성공 사례다.

 

투자 특징:

● 현지 기업에 대한 직접 투자 방식

● 투자 이후 현지 경영진과의 긴밀한 소통 유지

● 일본의 경영 노하우와 네트워크 전수

● 현지의 필요와 맥락을 존중하는 맞춤형 접근

ARUN 젠더투자
(출처 : ARUN 젠더 렌즈 투자  https://www.arunseed.jp/arunsocialinvestment/gender)

 

4) 호주 Culture Amp의 B-Corp 유니콘 성장

Culture Amp는 직장 문화 개선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호주의 임팩트 스타트업으로, B-Corp 인증을 받으며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성과를 동시에 달성한 대표적인 성공 사례다.

 

성공 요인:

● 명확한 사회적 가치 제안 (직장 문화 개선)

●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한 확장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

● B-Corp 인증을 통한 사회적 가치 검증

● 지속가능성과 수익성의 균형 잡힌 추구

Culture Amp 소개
(출처 : 호주에 본사를 둔 Culture Amp, 기업이 문화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Work Tech의 최신 유니콘이 될 수 있도록 1억 달러 모금  https://1worktech.com/2021/07/30/australia-based-culture-amp-raises-usd-100m-to-help-companies-put-culture-first-and-becomes-work-techs-newest-unicorn/)

 

 

 

6. 실패/도전 사례 분석

 

1) 임팩트 워싱(Impact Washing) 문제

글로벌 임팩트 투자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문제는 임팩트 워싱이다. GIIN의 회원사 대상 설문조사에서 향후 5년간 가장 큰 위협 요인으로 임팩트 워싱이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임팩트 워싱 차트
(출처 : 2020 Annual Impact Investor Survey  https://thegiin.org/publication/research/impinv-survey-2020/)

 

임팩트 워싱의 주요 유형:

● 실제로는 사회·환경에 관심이 없으면서 가치 있는 일을 한 것처럼 포장

● 충분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면서도 임팩트투자로 마케팅

● 임팩트 관련 핵심성과지표(KPI) 관리 부재

 

구체적 사례:

● 2018년 월스트리트 투자은행의 ESG 펀드가 저임금 노동 및 기후 위기 연구 방해 기업에 투자한 사실이 영국 가디언지에 의해 폭로

● 국내에서도 성형 정보 플랫폼, e스포츠 회사를 임팩트투자 포트폴리오로 분류하는 사례 발생

 

2) 임팩트 측정과 관리의 어려움

임팩트투자의 가장 큰 도전 과제는 임팩트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GIIN 설문조사에서 2-4위와 9위를 차지한 문제들이 모두 임팩트 측정 관련 이슈였다.

 

주요 도전 과제:

● 임팩트 증명의 어려움 (2위)

● 임팩트 비교의 어려움 (3위)

● 임팩트 측정표준 결여 (4위)

● 사회·환경적 가치의 상대성으로 인한 객관적 척도 부재

 

 

 

이어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