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협업의 과학-마을 연대의 매니지먼트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루비캣 / 작성일 : 2017.07.06 / 수정일 : 2023.04.04






• 서 명 : 지역협업의 과학

• 원 제 : 地域協動の科學 まちの連携をマネジメントする

• 저 자 : 사토 시게루, 소다 오사무

• 역 자 : 나주몽, 박성현, 박종현

• 출 판 : 전남대학교 출판부

• 발행일 : 2016.01.25

​>> 책 보러가기 (링크 클릭)

• 목차

서장 지역협업의 시대와 마을만들기

제1장 지역협업의 기초이론

1-1 지역협업의 접근

1-2 거버넌스의 디자인

1-3 협업 계획의 기초이론

제2장 파트너십의 구축원리

2-1 파트너십 도입의 판단

2-2 파트너십의 형성과학

2-3 지역협업의 세 가지 요인

2-4 파트너십의 개별요소와 포진

2-5 파트너십을 지지하는 신뢰관계와 아이덴티티

2-6 파트너십의 자원동원

2-7 파트너십의 기반 개척

제3장 파트너십의 운영기술

3-1 파트너십 개척의 구조만들기

3-2 협업의 마을만들기 프로세스와 방법

3-3 다양한 주체의 협업 마을만들기 프로세스 디자인

3-4 정책화 프로세스

제4장 마을만들기에서 파트너십의 전개

4-1 역사도시에서 파트너십 기반만들기

4-2 지방 항구도시의 지역재생 파트너십

4-3 상점가의 공공(公共)공간성과 파트너십

이 책의 구성은 크게 서장과 4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략적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 서장 “지역협업의 시대와 마을만들기”에서는 마을만들기의 현대적 의미와 향후 마을만들기의 과제,

마을만들기의 역사, 지역운영 및 그 과제를 살펴보고, 종래의 통치와 시장주의를 넘어,

파트너십에 의한 협업의 마을만들기에서 요구되는 마을만들기 윤리를 기록합니다.

제1장 “지역협업의 기초이론”에서는 국제비교를 통해 지역협업의 정책배경을 살펴보고,

일본의 지역협업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 기초이론의 계보를 살펴본 후

협업에 의한 거버넌스 디자인과 이를 토대로 지역협업의 계획 만들기를 위한 기초이론을 살펴봅니다.

제2장 “파트너십의 구축원리”에서는 지역협업의 조직화 최종단계인 파트너십의 구성 및 그 메커니즘을 살펴보기 위해,

파트너십 유형과 포진의 검토, 이를 구성하는 신뢰와 자원의 겹합 방식, 파트너십에 의한 지역협업의 네트워크 구축과

분석수법을 다룹니다.

제3장 “파트너십의 운영기술”에서는 파트너십에 의한 마을만들기를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를 살펴보기 위해

2장에서 살펴본 이론화된 개념을 마을만들기의 프로세스 디자인을 통해 검토한 후 협업의 마을만들기 프로세스와

수법을 고찰하여 구체적인 운영방법 및 정책화 프로세스를 기술합니다.

제4장 “파트너십의 마을만들기 전개”에서는 앞서 소개한 이론에 대한 파트너십 실천 사례로서,

사이타마현 치치부시 사례(역사도시), 미야자키현 니치난시 아부라쯔지구 사례(지방 항구도시),

사이타마현 카와구치지구와 와세다대학 사례(상가)를 살펴봅니다.

이처럼 이 책은 지역협업의 기초이론, 파트너십의 구축원리 및 운영기술, 이를 통한 파트너십 마을만들기의 전개 등

이론과 수법, 그리고 풍부한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체의 참여에 의한 지역협업 마을만들기 전개에 있어

초기 단계에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글쓴이_루비켓 / 서울시NPO지원센터 아카이브 큐레이터

보석같은 시민들의 이야기를 엮어가는 지역 팟캐스터이자, 소셜 스토리텔러

크고 작은 마을 안 공동체와 소모임, 커뮤너티 커넥터로 활동하고 있으며

시민 민주주의, 지방자치, 지방 분권에 관심을 갖고 있는 건강한 마을지기입니다


작성자 : 루비캣 / 작성일 : 2017.07.06 / 수정일 : 2023.04.04 / 조회수 : 20932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