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ional
Review of The Definition of Volunteering in Australia 요약 발췌(2)
앞서 이 연구에서는 자원봉사의 정의는 시대상을 반영한다는 것을 표명하며, 1996년도에 만들어진 자원봉사의 정의를 현재 호주 사회에 맞게 재정의하고자 하는 Volunteering Australia(VA)의 의도를 설명한 바 있다.
다음 장은 ‘자원봉사’를 정의하는 데에 있어서 많이 논의되고 있는 문제에 대해 설명한다. 아마도 어떤 분들에게는 낯선 이야기일 수도 있겠다. 대표적인 쟁점은 두 가지이다. 자원봉사활동의 영향력을 측정하는 문제, 비공식 자원봉사를 자원봉사로 볼 것인가의 문제. 이 글에서는 후자에 대한 부분을 다룬다. 다시 말해, 어떤 사회가 비공식 자원봉사를 자원봉사의 범주에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비공식 자원봉사.
자원봉사에 공식은 뭐고 비공식은 뭘까? 자원봉사의 전통적 정의는 조직을 통하거나 조직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을 자원봉사라고 봤다. 폭설로 눈이 쌓였을 때, 골목길의 눈을 치우는 문제를 예를 든다면, 설해 제거 활동을 하는 단체에 신청하여 혼자 또는 여럿이 참여하는 경우는 공식 자원봉사라고 한다. 만일 단체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골목길의 눈을 치웠다면 비공식 자원봉사라고 볼 수 있다. 노인복지관에서 하는 어르신 급식 봉사, 환경단체에서 하는 환경 보호 캠페인 등은 공식 자원봉사, 그러나 환경 보호 차원에서 지인들과 집에 모여 천연 수세미 뜨거나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알리는 글을 SNS에 올리는 등의 활동은 비공식 자원봉사라고 할 수 있다. 길거리의 휴지를 줍고, 노인의 짐을 들어주는 것, 우리가 알고 있는 선행들 역시 비공식 자원봉사다. 비공식 자원봉사가 중요한 이유는 일상 속에서 우리들이 하는 크고 작은 공익적 활동들을 자원봉사로 볼 경우, 자원봉사의 저변이 더욱 넓어지고, 시민의 자발적 참여의식이 더욱 강조되기 때문이다.[1] 자원봉사 저변이 넓어진다는 것은 일상의 작은 실천들이 자리 잡아 공식 자원봉사로도 확장되어 가는 저변이 넓어진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UN, ILO 등과 같은 국제기구, 캐나다, 영국과 같은 서방국가들에서 자원봉사의 정의에 비공식 자원봉사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해 살펴본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자원봉사의 정의에 기저하고 있는 정신이다.
한국 사회를 보면, 시민사회운동, 마을공동체활동, 사회적 경제활동, 사회복지 서비스 등 비영리 공익 생태계가 마치 하나의 커다란 파이를 나눠 가지듯이 배타적으로[2] 존재하고 있다. 그런데 자원봉사는 파이를 나누듯 나눌 수 없다. 앞에 언급한 다양한 비영리 공익활동들에 시민들의 참여는 필수적이며, 대가를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은 누구나 자원봉사자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하는 활동은 자원봉사야’, ‘아니야! 우리가 하는 건 시민운동이야’, ‘그냥 동네에서 혼자 하는 일인데, 자원봉사는 아니야’ 이런 논의가 무엇이 중요한가. 중요한 건, 그래서 시민들이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자기가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신이 원하는 영역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이지!
이 연구에서는 자원봉사를 말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이 글을 읽으며 개인적으로 다시 한 번 되새기는 점은 각 정의에 근간을 이루는 정신이다.
자원봉사를 설명하는 다양한
방식
자원봉사의 개념은 매우 다양하고 이를 바라보는 사고의 방식도 한 가지로 말할 수 없다. UNV는 자원봉사의 보편적 특성과 가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자원봉사는 인간의 행동이며 모든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인간관계를 나타낸다. 사람들은 저마다 다양한 이유로 자원봉사에 참여하며, 이를 나타내는 말은 다양한 언어와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자원봉사가 포함하고 있는 가치는 상식적이고 보편적이다. 자원봉사는 공익에 기여하고, 자유의지에서 비롯되며, 연대의 정신을 가지고, 물질적 보상에 대한 기대를 하지 않는 것이다. (UN, 2011) 자원봉사는 참여와 협력을 증진하고, 개인과 사회 전체의 안녕에 기여한다. 자원봉사는 사람들이 자신이 속한 지역과 사회에서 참여하는 방식이자 소속감을 갖게 하고, 그들 삶의 방향에 영향을 준다. 자원봉사는 사람들이 사회의 주요한 행위자가 되고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만들어가도록 한다.’
오늘날 자원봉사의 정의들이 가지는 가장 중요한 차이는 비공식 자원봉사를 포함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비공식 자원봉사는 개인이나 사회를 위해 비영리조직이나 구조화된 조직 이외에서 행해지는 활동을 의미한다. (Finkelstein & Brannick, 2007) UN의 자원봉사 정의는 공식 자원봉사와 비공식 자원봉사의 개념을 모두 포함한다.
UN의 정의(UN, 2011:3-4) 자원봉사는 개인의 자유의지에 따라 자발적으로, 금전적 보상, 법이나 계약에 의한 요구, 학업상의 필요에 의하지 않고, 공익을 위해 행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공식 단체에서 정기적으로 하는 활동 이외의 활동도 포함한다. |
2014년 호주에서 개최되었던 세계자원봉사컨퍼런스(IAVE Conference)에서는 호주의 경우 원주민 사회의 관점에서 볼 때 비공식 자원봉사는 호혜적 문화와 가족적 의무감의 발로로 여기기 때문에 자원봉사로 간주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자원봉사활동을 저평가하거나 공식적 인정의 기회를 갖지 못하게 할 우려가 있다고 언급된 바 있다.
Broun은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자원봉사의 개념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다양성을 반영하여 역동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자원봉사가 공식적이고 구조화된 방식으로 실행되지 않는 호주 원주민 사회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자유의지’ 개념의 적절성에 의문을 던진다.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에 내재된 사회적 의무감은 ‘자유의지’나 ‘개인의 선택’의 문제로 적용되기 어렵다.”
국제노동기구(ILO)의 정의(ILO, 2011) ILO는 자원봉사를 ‘무보수 비강제적 일’이라고 정의한다. 즉, 개인이 보수를 받지 않고 조직을 통해서 또는 직접적으로 자신의 가정이 아닌 타인을 위해 시간을 할애하는 것을 의미한다. |
ILO은 ‘일’이라는 제한적 개념, 즉 ‘수혜자에게 잠재적 가치를 가져오는 재화나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활동’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이 정의의 핵심은 ‘자원봉사활동의 가치 측정’을 위한 개념이라는 점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자원봉사활동의 측정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쟁이 있다. 어떤 연구자들은 유연한 자원봉사의 정의가 ‘자원봉사자들의 기여에 대해 신뢰와 존중’을 갖지 못하게 한다고 주장하는 한편, 다른 연구자들은 자원봉사활동을 측정하려는 대부분의 시도들이 오히려 자원봉사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주장한다.
Volunteer Canada는 다음과 같이 개념을 확장하여 볼 것을 제안한다.
Volunteer Canada의
정의(2011) 오늘날 리더십, 능동적 시민의식, 사회적 행동, 지역사회 참여와 같은 개념들이 자원봉사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원봉사’라는 단어는 서비스나 자선과 같이 협의적 개념으로만 인식되고 있다. Volunteer Canada는 ‘자원봉사’를 일상생활의 한 부분으로서, 지역사회에 참여하고, 자신과 다음 세대를 위해 우리가 바라는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방법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
캐나다 자원봉사활동강령(Code for Volunteer Involvement, 2012)에서는 자원봉사자를 ‘아무런 금전적 보상 없이 자신의 자유의지에 따라 공익을 위해 시간과 에너지, 기술을 자유롭게 제공하는 사람’, 자원봉사는 ‘우리 사회의 시민의식과 박애정신을 보여주는 가장 근본적인 행위’라고 설명한다. (Volunteer Canada, 2012) 이 강령은 자원봉사활동의 넓이와 깊이를 고려한 자원봉사 참여의 스펙트럼을 보여주며, 자원봉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캐나다 자원봉사활동강령(2012) 이슈를 알리거나, 공익적 명분을 지지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해결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수동적인 참여 수준부터 가장 능동적인 수준까지 이르는 연속적 개념이다. |
Volunteering England(VE)
역시 공식 자원봉사와 비공식 자원봉사를 모두 포함한다.
Volunteer
England의 정의(2014) 자원봉사는 가까운 친지, 또는 친지가 아닌 개인이나 그룹, 환경을 위한 목적으로 자신의 시간을 할애하여 대가 없이 참여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이 정의의 핵심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공공기관이나 민간단체들의 공식 활동뿐 아니라 비공식적인 지역사회 참여도 포함한다. |
영국의 자원봉사 실천강령(UK Compact Code of Good Practice) 역시 위와 같이 정의하고 있지만 (Zimmeck, 2009), 자원봉사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이어야 한다는 점은 정의가 아닌 실천원리에 추가적으로 언급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UN 세계자원봉사실태조사 보고서(UN State of the World’s Volunteerism Report)에 따르면, 자원봉사의 정신은 ‘연대, 호혜, 상호 신뢰, 소속감, 임파워먼트 등 삶의 질을 높여주는 모든 가치들을 포함한다. (UN, 2011)
단체명 |
자유선택 |
참여구조 |
수혜 대상 |
보수 |
Volunteering Australia |
자유 의지 |
비영리 조직 |
지역사회(공동체) 및 |
무보수 |
Volunteering Canada |
자유 의지 |
모든 조직 |
지역사회(공동체), 개인, 자원봉사자 |
무보수 |
Volunteering England |
자유 의지 |
모든 조직 |
환경, 개인, 가족 |
무보수 |
Volunteering Ireland |
자유 의지 |
모든 조직 |
지역사회(공동체), 개인 및 공익 |
현금 실비 |
Portugal |
- |
조직 안에서 |
사회적, |
일부 보상 |
Sweden |
자유 의지 |
모든 조직 |
조직 |
무보수 |
IAVE |
자유 의지 |
표시 없음 |
타인 및 |
무보수 |
ILO |
자유 의지 |
조직을 통하거나 |
가족이 아닌 수혜자 |
무보수 |
자원봉사에 관한 용어
'자발적 일', '자발적 활동', '무급 노동', '무보수 자원봉사', '프로보노', '무보수 행동', '시민 참여', '능동적 시민의식', '지역사회 참여', '지역사회 서비스' 등 '자원봉사'와 바꿔 쓸 수 있는 다양한 용어들이 있다. 어떨 때엔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또 어떨 때에는 전혀 다르지 않다. (Zimmeck, 2009) Zimmeck은 이렇게 다양한 용어들을 사용할 경우, 무엇이 자원봉사인지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고 잘못 오해할 소지가 있으며 자원봉사의 범위나 가시성을 감소시킨다고 지적한다. 용어의 유연성이 자원봉사를 폭넓게 이해하게 해준다는 입장과 자칫하면 '타임뱅킹'과 같은 활동까지 다 포함할 정도로 경계가 없어질지 모른다는 입장 등 여러 의견들이 부딪치고 있다.
Rochester 등(2010)은 자원봉사에 대한 광범위한 의미로서 다음 3가지를 제시한다.
- 보수를 받지 않는 일 또는 서비스
- 시민 행동
- 여가 활동
‘보수를 받지 않는 일’이라는 생각은 앵글로 국가에서 지배적이며, ‘시민행동’이라는 관점은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이나 남반구의 개발도상국에서 일반적이다. ‘여가 활동’으로서 자원봉사는 1970년대에 처음 논의되기 시작했는데, 자원봉사를 여가 시간에 행하는 선택적 재량적 활동으로 바라봤다. 이러한 관점이 자원봉사를 중요하지 않은 일로 보이게 한다는 우려 때문에 비영리분야에서는 최근에 와서야 자원봉사를 여가의 개념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여가로서 자원봉사는 참가자들의 동기, 노력, 임팩트에 관한 것이며, 참가자들은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자신의 경력을 개발할 수도 있다. 박물관의 투어 가이드, 예술, 공연, 음악, 스포츠 분야의 활동 등에 자원봉사의 문을 열어주는 계기가 되었으며, 현재에는 소방과 수색 및 구조 분야까지도 포함한다.
2011년 한국에서 열린 제13차 IAVE 아태지역 자원봉사 컨퍼런스의 참가자들은 자원봉사의 보편적 특성(자유 의지, 이타심, 무보수성 등)에 합의하고, 자원봉사를 이기주의와 이타주의, 자유의지와 강제적 의무, 유급과 무급과 같이 이분적 개념이 아니라 하나의 연속된 개념으로 볼 것을 제안했다. 이는 오늘날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방식의 자원봉사를 포괄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 및 전략의 수립, 자원봉사활동의 측정 등에 있어서는 혼란을 줄 수 있는 어쩔 수 없는 딜레마를 갖는다.
IAVE워크샵에서는 자원봉사를 다음과 같이 4가지 차원에서 설명하는 성과를 냈다.
- 자유 선택(자유 의지--비교적 강제적이지 않은 의무)
- 보수 (무보수--기대 않음--실비 지급--활동비/낮은 보수)
- 운영체계(공식--비공식)
- 수혜 대상(타인에 혜택--친구 또는 친척에 혜택—자조적 활동)
1996년 이후의 트렌드
1996년 이후 호주의 자원봉사는 상당한 변화를 했지만, 정작 자원봉사의 방식이나 정의의 변화가 아니라 자원봉사나 자원봉사자에 대해 늘어나는 제도와 정책의 변화가 많았다. 무엇보다 비영리영역에서는 거버넌스, 위기관리, 직장 관리 등의 많은 정책적 변화가 있었으며, 두 번째로는 정부 정책의 변화를 통해 자원봉사단체 및 자원봉사자의 책임과 역할이 늘어나게 되었다.
VA가 2011년 실시한 전국조사에 따르면 사람들이 자원봉사를 하는 시간이 매우 유연해졌으며, 자원봉사의 구조적인 변화라기 보다는 선호하는 자원봉사 시간대가 달라진 사회 변화를 보여준다. (e.g. Brudney, 2005; Merrill, 2006). 자원봉사의 영역 또한 다음과 같이 확대되었다.
• 기술기반봉사활동
• 소그룹 자원봉사
• 기업 자원봉사 및 기업 섹터의 참여
• 청소년들의 핸즈온 자원봉사 체험
• 학습장을 통한 자원봉사
• 자발적 자원봉사(화재, 수해 등의 복구)
• 대규모 이벤트 자원봉사
• 온라인 자원봉사(가상 자원봉사)
• 참여시간의 변화 (핸즈온 자원봉사와 마이크로 자원봉사)
• 국제 자원봉사/국가간 자원봉사
• 다문화 사회 및 서로 돕는 방식의 다양성에 대한 인정
• 타임뱅킹
References
Brudney, J., (ed). (2005). Emerging areas of volunteering. ARNOVA
Occasional Paper Series, 1(2).
Cnaan, R. A., Handy, F., & Wadsworth, M. (1996). Defining who is a
volunteer: Conceptu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25(3), 364- 383.
Finkelstein, M. A., & Brannick, M. T. (2007). Applying theories of
institutional helping to informal volunteering: Motives, role identity, and
prosocial personality.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35(1), 101-114.
Merrill, M. (2006). Global Trends and the Challenges for Volunteer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Volunteer Administration, XXIV (1), 9–14.
Rochester, C, Ellis Paine, A & Howlett, S. (2010). Volunteering an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Basignstoke: Palgrave Macmillan. Salamon, L. M.,
Sokolowski, S. W., & Haddock, M. A. (2011). Measuring the economic value of
volunteer work globally: Concepts, estimates, and a roadmap to the future.
Annals of Public and Cooperative Economics, 82(3), 217-252.
United Nations (2011). State of the World's Volunteerism Report, 2011:
Universal Values for Global Well-being. United Nations Volunteers.
Volunteer Canada. (2012). Canadian code for volunteer involvement.
Available http://volunteer.ca/content/canadian-code-volunteer-involvement-2012-edition
Volunteer Canada. (2011). The World of Volunteering in 2017 and Beyond:
Summary of the round table discussions,
http://volunteer.ca/content/world-volunteering-2017-andbeyond (accessed
14/10/14).
Zimmeck, M. (2009). The compact code of good practice on volunteering:
Capacity for change: A review. Institute for Volunteering Research: http://www.ivr.org.uk/images/stories/Institute-of-Volunteering-Research/MigratedResources/Documents/C/Volunteering_Code-Review_IVR.pdf
오영수 (therys@hanmail.net)
나와 세상이
연결되어 있음을 깨달을 때 진짜 변화가 나타난다고 믿는다.
생각과 마음의
변화가 진정한 행동의 변화로 이어진다고 믿는다.
#자원봉사 #소셜 임팩트 #비영리조직 역량강화
이 글은 NPO스쿨 및 서초구자원봉사센터 블로그에도 게재 됩니다.
[1] 비공식 자원봉사에 관해서는 다음 글들을 읽어 보면 좋다.
- "시간관리 프레임을 넘어서는 일상의 자원봉사 문화" http://volunteeringculture.or.kr/archives/11720
- " 비공식 자원봉사 | 시간관리의 프레임을 넘어" http://volunteeringculture.or.kr/archives/11804
코멘트를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