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동북권NPO지원센터 설립타당성 및 운영전략 연구보고서
NPO센터발간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7.12.14 / 수정일 : 2023.04.02






시민사회
가 성장하면서
, NPO는 국가적 의제부터 지역 복지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시민사회는 사회 안정의 중요한 보루이자, 공공서비스의 중요한 축으로 기능하며, 공공성을 지키는 역할을 담당합니다그람시는 강력한 시민사회가 존재하는 곳에서 혁명은 불가능하다고 말합니다. 시민사회는 폭력적 방식이 아닌 대화와 타협을 유도하며, 시민들은 시민사회를 통해 사회화되고 범죄 등 반사회적 행위와 일탈이 억제됩니다. 이런 시민사회를 조직하고 지키는 중요한 행위자가 바로 NPO입니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행정상의 지방자치단위와 별개로 인접한 자치구를 아우르는 지역 활동 거점지원센터 설립의 필요성 검토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민관 거버넌스의 필요성과 현황, 문제점, 풀뿌리 지역활동 및 지역활동가 현황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지역 활동을 하는 단체나 네트워크 확장을 고민하는 분들에게도 좋은 연구 자료가 될 것입니다.
 

 

동북권NPO지원센터 설립타당성 및 운영전략 연구보고


연구수행기관_한신대학교 평화와공공성센터

연구책임자_이기호(한신대학교 평화와공공성센터 담당, 특성화 교수정조교양대학 및 사회혁신대학원 소속 교수)

공동연구원_이재경(한신대학교 민주사회 정책연구원 연구원강북구사회적경제협의회 전략기획팀장), 
                   안영신(시민모임 즐거운 교육상상 공동대표서울교육단체협의회 집행위원장성북구 주민감사청구 시민대표

■ 연구보조원_김소희(강북구사회적경제협의회 디딤돌학교사업팀 코디)

 

-목차-


연구보고서 요약문 p.
3

I
. 머리말: 지역운동과 협치에 대한 문제제기 p.9


II.
지역사회의 위기와 지역공동체의 복원 p.13

  1. 활동가 없는 지역운동의 쇠락 p.13

  2. 협력적 네트워크의 취약성과 시민사회의 약화 p.16


III.
서울시 권역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 p.21

  1. 서울시 권역 단위의 등장 배경과 도시발전의 모델 p.21

  2. 자치와 분권 그리고 협업을 위한 권역의 필요성 p.24

   1) 구 단위의 경계를 넘어선 열린 자치구

   2) 공간의 재인식과 공공성의 재구성

   3) 생활권에 입각한 마을공동체의 활성화 전략

   4) 권역단위의 사회적 자원의 공유

   5) 인접 구간의 협치를 통한 상하위 행정단위와의 수평적 협업


IV.
동북권역의 특징과 필요성 p.33

  1. 동북권의 특징 p.33

   1) 동북권의 범위: 동북 4구인가, 5구인가

   2) 서울외곽의 발전모델이 서울의 새로운 역사모델로

   3) 교육자원 네트워크를 통한 혁신교육의 모델

   4) 동북 지역, 새로운 문화 창조의 생활공간

  2. 동북권역의 필요성 p.37


V. NPO
지원센터의 역할과 기대 p.41

  1. 중간지원조직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제기 p.41 

   1) 왜 NPO를 지원해야 하는가?

   2) 왜 동북권NPO지원센터인가?

   3) 또 중간지원조직을 만들어야 하는가?

  2.중간지원조직으로서 NPO지원센터의 역할과 기대 p.46

   1) NPO지원센터의 위상과 역할

   2) 중간지원조직의 설립유형별 특성과 협치의 가능성

   3) 중간지원조직의 기능과 역할

   4) 변화와 혁신 그리고 희망을 통한 세대 간의 협력의 고리


VI. 
동북권 NPO지원센터는 무엇을 할 것인가 p.55

  1. 동북권 공익활동가들에 대한 실태조사 p.55

  2. 동북권 NPO지원센터의 운영전략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p.72

   1) 지역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

   2) 찾아가는 지원조직의 역할

   3) 마을단위의 특성을 고려한 섬세한 배려와 단계적 접근

   4) 독자사업 추진에 대한 경계

  3. 동북권 NPO지원센터의 역할 및 기대무엇을 할 것인가 p.76

   1) 지역협력 촉진 및 자생력을 갖추기 위한 마중물 사업

   2) 청년활동가 육성지원 그리고 세대간 연대 프로그램

   3) 시민사회의 확장과 지역공공성의 활성화

   4) 씽크네트워크의 구축


VII. 
맺음말 p.83


참고문헌 p.87

추진과정 보고 p.89

별첨자료 1 : 포커스 그룹 인터뷰 기록 p.101

별첨자료 2: 동북권 공익활동가 실태조사 설문지 p.121

첨부파일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7.12.14 / 수정일 : 2023.04.02 / 조회수 : 2618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