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O 지속가능성보고서] #11. OXFAM 옥스팜
활동사례 / by HyoJ / 작성일 : 2016.11.06 / 수정일 : 2023.03.30

 

옥스팜은 2006 6, NPO 글로벌 책임 헌장(Global Accountability Charter for the non-profit sector)에 가입하여, 핵심가치 및 운영원칙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경제/사회/환경 성과를 파악 및 보고하며 국제기구로서 투명성 의무를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다 투명성과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 글에서 소개하는 옥스팜 책무성 보고서 2013-2014(Oxfam Accountability Report 2013-2014)에서는 옥스팜 국제사무국과 몇몇 지부의 책임활동 전반을 포함하려고 노력하였으며, 다음 2014-2015보고서에서는 모든 지부의 노력 활동을 포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개요

 

보고서명

OXFAM Accountability REPORT 2013-2014

발행연도

2015(추정)

보고기간

2013~2014

보고범위

옥스팜 국제사무국 및 5개 지부(캐나다, GB, 홍콩, Intermón, 뉴질랜드)

보고내용

경제/사회/환경 성과(이해관계자 책임활동 포함)

보고기준

GRI 가이드라인, INGO Accountability Charter

 

 

목차 구성 |

옥스팜은 GRI 가이드라인 및 GRI NGO 부가지표를 바탕으로 보고내용을 작성하고 있으며(부록A), 목차는 아래와 같이 구성하고 있습니다. 옥스팜 내부 규정이나 구체적인 성과 및 자료들은 부록B~H에 별도로 보고하며, 본문에서는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지속가능성 활동 및 성과에 대해 보고하고 있습니다.

 

 

M | 최고관리자 메시지

1 | 보고서 개요

2 | 옥스팜 소개

3 | 지배구조

4 | 이해관계자 참여

5 | 재정 관리

6 | 환경영향력 관리

7 | 구성원 관리

부록A | GRI 가이드라인 인덱스

부록B | 옥스팜 프로그램/사업 표준

부록C | 옥스팜 GB의 효과성 평가(일부)

부록D | GROW 캠페인 중간성과평가(일부)

부록E | 옥스팜 GB의 연간 고충처리 보고

부록F | 윤리적 모금 관련 국가표준 멤버십 현황

부록G | 온실가스 배출 감소 이니셔티브(지부별)

부록H | 구성원 현황 통계

 

각 섹션 내 작성된 본문 내용은 문단 별로 번호 표기해 두었으며, 부록AGRI 가이드라인 인덱스 상에 보고지표와 관련된 내용이 어느 문단에 있는지 찾아볼 수 있도록 연계하였습니다. 이는 페이지 번호를 표기하는 것보다 정확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어 이해관계자 관점에서 한 번 더 생각하여 보고서를 작성한 노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해관계자 참여 |

4번째 섹션은 이해관계자 참여로 구성하여 옥스팜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파악하고 각 이해관계자와 관련된 지속가능성 이슈에 대응하는 옥스팜의 책임 있는 활동들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해관계자 참여] 섹션에 구성된 세부 목차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이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이해관계자 파악 (4.1)

- 전략 및 정책 수립에서의 이해관계자 참여 (4.2~4.5)

-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에서의 이해관계자 참여 (4.6~4.7)

- 파트너 협력에 대한 공통 기준 (4.9~4.10)

- 프로그램 모니터링 및 평가에서의 이해관계자 참여 (4.11~4.13)

- 성 평등 (4.14~4.15)

- 옹호활동에서의 책무성 (4.16~4.20)

- 지역사회 영향력 관리 및 기타 협력들 (4.21~4.23)

- 고충처리 및 피드백 (4.24~4.25)

 

옥스팜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파악하고 있으며, 조직 운영 전반에 걸친 이해관계자 참여 활동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운영전략 및 정책에서의 이해관계자 참여에서는 전략 수립 단계, 국가별 프로그램 단위, 지역지부 본부 단위 등에서 어떤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고 있는지 관련 내용을 담았습니다. 프로그램/사업 운영 차원에서는 기획 단계에서부터 운영, 모니터링/평가에 이르기까지 각 과정에서의 이해관계자 참여 활동을 보고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사업 의사결정에 이해관계자를 참여를 지원해 온 활동 성과를 자체적으로 잘한 점과 부족했던 점을 평가하여 보고하고 있습니다. 파트너십(4.6~4.7)에서는 건강한 협력을 위해 수립한 6대 파트너십 원칙으로 비전 및 가치 공유, 목적 및 가치의 상보성, 자율성과 독립성, 투명성과 상호책임, 역할과 책임에 대한 명확성, 공동 학습 의무를 설명합니다. 각 국가/지역지부의 활동은 보라색 박스로 구분되게 표기하여 활동 성과 및 사례를 함께 보고하고 있습니다.

 

 

OXFAM Accountability Report 2013-2014 (바로가기)

관련 링크 | OXFAM Intenational 홈페이지 (바로가기)

 

 

다음 글에서는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국외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12. Amnesty International UK 국제앰네스티 영국지부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10. 이해관계자와 소통하기 - 참여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9. 중요 이슈 작성하기 사례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8. 중요 이슈 파악하기 중요성분석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7. 서울시NPO지원센터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6. 이해관계자 분석 적용사례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5. 이해관계자 분석 이해하기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4. 미디액트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3. 유엔인권정책센터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2. 여성환경연대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1. 지속가능성 보고 (바로가기)



작성자 : HyoJ / 작성일 : 2016.11.06 / 수정일 : 2023.03.30 / 조회수 : 29242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