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한국사회 시민사회의 개념과 실제 /손혁재, 2003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4.11.27 / 수정일 : 2020.06.19
필자에 따르면 시민사회 개념은 공공과 대비되는 민간, 민중영역과 대비되는 시민영역, 정치사회, 경제사회와 구별되는 제3섹터, 시민운동이 전개되는 영역의 용법으로 사용됩니다. 이 글은 시민사회를 시민운동이 벌어지는 영역으로서의 제3섹터로 이해하면서 NGO활동의 기반이 되는 시민사회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기능과 역할은 무엇인지, 시민사회와 새로운 사회운동의 관계는 어떠한지에 대해 논의하는 글입니다. 여기에서 제3섹터는 “국가와 시장에 대비해서 자발성, 비당파성, 비영리성, 독립성 등의 가치를 지닌 사회적 공간”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조효제, 2002). 이글은 이러한 관점에서 그간의 시민사회에 대한 논의들을 정리하고 있으므로 시민사회에 대한 논의를 한 번에 파악하고 싶은 분들께 유용한 글입니다.

손혁재. 2003. 「한국사회 시민사회의 개념과 실제」 『아시아의 시민사회-개념과 역사』 아르케.

저자 소개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참여연대 운영위원장과 한국유권자운동연합 의정평가단 부단장 등을 역임하였습니다. 2006년 현재 성공회대 연구교수로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시민사회의 영역
3. 시민사회 개념의 역사
4. 한국에서의 시민사회 개념
5. 맺음말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4.11.27 / 수정일 : 2020.06.19 / 조회수 : 2011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