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제3섹터 : 국가와 시장 사이에서 길을 묻다/박태규 외/2016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아지 / 작성일 : 2016.06.24 / 수정일 : 2016.06.24


서명: 한국의 제3섹터 : 국가와 시장 사이에서 길을 묻다 
저자: 박태규, 정구현, 김인춘, 황창순 
발행사항: 서울 : 삼성경제연구소, 2016 
형태사항: 332 p. ; 23 cm 
ISBN: 9788976339614 93320: \16000 
자료유형: 일반단행본 
출판년: 2016 
책 소개
공공성 위기의 시대, 제3섹터에 주목하라!

정부(제1섹터)와 시장(제2섹터) 사이의 대안적 영역을 가리키는 제3섹터는 다소 생소한 용어이지만 오랜 기간 조합이나 비영리조직(non-profit organization)의 형태로 정부와 시장이 감당하지 못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왔다. 최근 들어 글로벌화, 경제위기, 인구고령화 등 환경 변화에 따라 점점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자본주의적 모순을 해결할 한 가지 대안으로까지 거론되고 있다. 

각 나라의 역사와 상황에 따라 성격을 달리 하며 발전해온 제3섹터는 한국에서도 꾸준한 발전의 역사를 찾을 수 있으며 지금은 사회적 목적에 따라 영리 추구도 가능한 사회적기업이나 협동조합 등 새로운 형태의 조직들이 속속 합류하고 있다. 변화된 현실에 맞추어 개념 확장과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책은 관련 분야를 꾸준히 연구해온 저자들의 지난 연구 성과를 쉽게 정리한 책으로 제3섹터의 개념부터 발전과정, 관련 법과 제도, 자원봉사활동과의 연관성, 기업사회공헌과의 연계, 지배구조상 개선점까지 종합적으로 다루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 제3섹터의 내일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저자 소개
박태규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아나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를 지냈다. 현재 국제비영리학회(ISTR) 학술지 Voluntas 편집위원으로 있으며, 경제학의 관점에서 비영리조직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관련 공저서로 《한국의 민간기부에 관한 연구》, 《공익법인 관리체계의 근본적 개선방안》 등이 있다.

정구현
KAIST 경영대학교 초빙교수이자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석사학위, 미시간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교수를 거쳐 삼성경제연구소장, 한국경영학회장, 자유경제원 이사장을 역임했다. 세계화와 국제경제, 기업의 글로벌화, 기업 지배구조, 동아시아 기업경영, 비영리조직 등을 연구하고 있다. 공저서로 《한국의 기업경영 20년》,《한국기업의 글로벌 경영》,《혁신의 시간》 외 다수가 있다.

김인춘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연구교수.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정치사회학, 시민사회, 사회정책 등이며 유럽의 복지국가 및 노동문제에도 관심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신자유주의적 유럽통합의 경제사회적 결과”, “자본주의 다양성과 한국의 새로운 발전모델”등이 있으며, 저서로 《스웨덴 모델, 독점자본과 복지국가의 공존》등이 있다. 

황창순
순천향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 사회학과에서 석사학위,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욕시립대학교(CUNY)의 박애와 시민사회연구소(Center for the Study of Philanthropy and Civil Society)에서 International Fellow, 워싱턴대학교 방문교수 등을 거쳤고 한국비영리학회 회장을 지냈다. 기부와 자원봉사, 기업사회공헌활동 등을 연구하고 있다. 공저서로 《사회복지조사론》 등이 있다. 

김성민
시카고 로욜라대학교 교수. 연세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클리블랜드주립대학교 교수, 삼성경제연구소 초빙교수, KAIST 초빙교수 등을 지냈다. 조직경제학에 기초한 전략 경영과 기업가정신을 연구하고 있다. 공저서로 Valuation of Intangible Assets in Global Operations(글로벌 운영의 무형자산 평가) 등이 있다.

목차
책을 내며? 왜 지금 제3섹터를 말하는가?

제1장 제3섹터, 그 자율성과 공공성을 되묻는다 (정구현·김인춘)
1. 한국의 제3섹터, 새로운 논의가 필요하다
2. 왜 제3섹터인가?

제2장 제3섹터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개념, 구성요소, 역할 (김인춘)
1. 제3섹터 개념의 역사적 발전
2. 서구의 시민사회와 제3섹터
3. 한국의 시민사회와 제3섹터
4. 제3의 자본으로서의 제3섹터

제3장 한국의 제3섹터가 걸어온 길 (황창순)
1. 한국 최초의 비영리조직은?
2. 전통적인 상호부조단체
3. 시민사회단체의 형성과 발전
4. 사회복지조직의 시작과 변천
5. 장학법인의 설립 증가
6. 학교법인의 역사와 현황
7. 비영리의료조직과 공익법인 
8. 사회적기업의 제도화 과정
9. 협동조합 및 사회적협동조합
10. 한국 비영리조직의 역사적 특징 7가지 

제4장 제3섹터를 뒷받침하는 법제와 세제 (박태규)
1. 비영리조직과 관련된 법제
2. 비영리조직의 설립 및 운영과 관련된 법제 
3. 비영리법인(조직)에 대한 사후관리 법제 
4. 제3섹터 비영리법인에 대한 세제
5. 기부자에게 부여하는 세제혜택 및 최근의 변화
6. 공익활동 효과를 높이는 법제는 무엇일까?
부록 / 비영리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 

제5장 한국 사회의 기부문화, 어디까지 왔나? (박태규)
1. 민간기부의 사회적 역할
2. 자발적 민간기부를 이끌어내는 요인은?
3. 민간기부의 현황
4. 기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의 상관성
5. 조세정책은 민간기부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6. 기부문화 성숙을 위한 향후 과제

제6장 ‘작지만 크게’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공공적 시민과 제3섹터 (김인춘)
1. 자원봉사자들, 제3섹터의 주요 인적자원
2. 한국과 주요 선진국의 자원봉사 현황
3. 한국 자원봉사 발전을 위한 전략
4. 자원봉사활동이 직면한 도전과 과제

제7장 기업사회공헌의 기원과 발전방안 (황창순)
1. 기업사회공헌에 대한 관심 증가
2. 기업사회공헌의 기원과 배경
3. 기업사회공헌의 주요 패러다임 
4. 한국 기업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규모
5. 기업사회공헌과 비영리조직의 관계
6. 이제는 질적인 도약이 필요하다

제8장 사회적경제 생태계 패러다임과 사회적기업 (정구현·김성민)
1. 조화와 통합을 추구하는 하이브리드 조직,‘사회적기업’
2. 사회적기업의 영역과 존재의의
3. 사회적경제 생태계와 사회적기업 정책
4. 한국 사회적기업의 현황과 성과
5. 사회적기업에 주어진 기회와 과제

제9장 제3섹터의 지배구조,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정구현)
1. 한국 경제제도의 특징과 비영리부문 
2. 영리기업과 비영리조직의 지배구조
3. 한국 NPO의 현실 
4. 새로운 패러다임 아래 재편되는 제3섹터
5. 자본주의적 모순의 대안으로서의 ‘제3섹터’

제10장 한국 제3섹터의 내일을 위한 5가지 과제 (박태규·황창순)
1. 정체성 획득이 필요하다
2. 재정 불안을 극복해야 한다
3. 경영 선진화가 이뤄져야 한다
4. 세제혜택 차등 적용을 개선해야 한다
5. 공익재단 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출처: yes24 http://www.yes24.com/24/goods/24341061?PID=146417]

작성자 : 아지 / 작성일 : 2016.06.24 / 수정일 : 2016.06.24 / 조회수 : 16113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