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운동의 제도화 (12)] 신사회운동의 제도화와 급진화: 영국의 도로건설반대운동을 대상으로/김성국/2000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6.10.06 / 수정일 : 2023.02.22

*저자명: 김성국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한국사회학 34,3(2000.9) pp.709-745

*발행정보: 한국사회학회 | 2000년 | 한국 |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사회학

이 논문은 영국의 도로건설반대운동을 통해 신사회운동의 제도화ㆍ급진화 경향을 다룬다. 저자는 도로건설반대운동의 급진성을 이념, 위치, 조직, 수단, 목표, 영향 등의 다각적인 요인 분석을 통해 확인한다. 저자에 따르면 이 운동은 정치사회의 주변부에 위치하지만 일시적-분산적-다원적 자유연합의 조직을 기반으로 저항을 예술, 게임, 축제와 통합하며 대안적인 생활양식 및 정체성을 추구한다. 저자는 이러한 경향이 제도화 경향에서 주로 참조하는 정치적 기회구조 모델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변혁의 잠재성이라고 본다. 시민사회의 과잉정치화에 의한 시민운동의 제도화를 우려하며 신사회운동의 급진화 경향들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저자의 제언이다.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자료수집

III. 이론적 논의

1. 신사회운동의 이념적 분화:자기제한적 급진주의와 자기확대적 급진주의

2. 사회운동론의 통합이론화:정치적 기회구조와 문화적-개인적 정체성의 결합

3. 분석차원 기존 신사회운동과 도로건설반대운동의 대비

IV. 신사회운동의 급진화로서 도로건설반대운동

1. 운동의 이념:직접행동의 아나키스트적 급진주의 계승

2. 운동의 위치:정치적 기회구조로부터 자유로운 정치사회의 주변부

3. 운동의 조직:일시적-분산적-다원적 자유연합

4. 운동의 수단:게임, 예술 축제로서의 저항과 반문화적 창조적 전술

5. 운동의 목표:새로운 생활양식과 정체성을 위한 자유해방의 공간

6. 운동의 영향

V. 결론:신사회운동의 자기확대적 급진화를 위하여


원문 보러가기 (링크 클릭)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6.10.06 / 수정일 : 2023.02.22 / 조회수 : 21460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