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운동의 제도화 (2)] 시민운동의 제도화와 시민사회의 정치참여/조대엽/2003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6.08.02 / 수정일 : 2016.08.02

*저자명: 조대엽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시민사회와 NGO 1권 1호 시작쪽수 19p, 전체쪽수 31p 1599-8568 KCI후보
*발행정보: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 2003년
*주제분야: 사회과학 > 사회학
*서지링크: 한국학술정보

세계화, 정보화, 민주화의 재구조화라는 맥락 속에서 시민사회의 재구조화에 따른 정치참여방식의 변화와 댜양화에 대해 논하고 있는 논문이다. 시민사회의 다양한 조직들이 공론영역을 주도하고 제도정치에 관여하게 된다. 저자는 제도화 수준이 높은 시민단체의 안정적인 정책 참여와 유연자발집단의 인터넷 공론영역에서의 참여와 정치의 문화화 현상에 입각한 새로운 참여들을 구분하여 접근한다. 이러한 분석에 따라 정치참여는 제도정치에서 사회운동에 기여를 둔 사회적 자본으로 점점더 이전되고 있다고 진단한다.

제도정치와 사회운동이라는 구분에서 봤을 때 제도적 민주화 이후 사회운동정치의 제도화에 주목하고 있는 논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전과는 달라진 맥락때문에 제도정치와 사회운동의 관계에 대해 더욱 심도 높은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시민운동이 민주정부 초기에 여러 방식으로 정치참여하던 당시의 맥락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글은 여전히 도움이 될 수 있다. 


목차

1. 거대한 전환: 지구적 사회변동과 정치변동
2. 운동사회의 제도화와 새로운 사회자본
  1) 시민사회의 재구조화와 운동사회의 제도화
  2) 시민사회의 조직화 수준과 새로운 사회자본
3. 제도로서의 시민단체와 정치참여
  1) 제도정치와 운동정치 사이
  2) 순응적 정치참여와 역응적 정치참여
4. 유연 자발집단과 정치참여
  1) 시민정치와 정치의 문화화
  2) 정당에서 사회자본으로
5. 전환의 과제: 시민사회의 민주화와 참여정치의 전망


링크: KISS(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me.asp?tname=kiss2002&key=2411091)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6.08.02 / 수정일 : 2016.08.02 / 조회수 : 20102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