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운동의 제도화 (1)] 시민운동의 정치참여와 정당의 변화에 관한 연구/이영제/2006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6.08.01 / 수정일 : 2016.08.01
*저자명: 이영제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시민사회와 NGO 4권 1호 시작쪽수 247p, 전체쪽수 29p 1599-8568 KCI후보 권호별 논문보기
*발행정보: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06년
*주제분야: 사회과학 > 사회학
*서지링크: 한국학술정보


저자에 따르면 민주화 이후에도 한국의 정당체계는 폐쇄적이었고 이는 시민운동의 정치참여와 사회운동의 정치세력화를 추동하는 요인이 되었다. 시민운동은 어떻게 정치에 참여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정당이 시민운동의 압력을 상쇄하거나 해소하려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시민운동이 고유한 목표와 정책을 가지고 정치참여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운동은 제도정치로부터의 독자성을 유지해야 하지만 휘발되거나 주장에 그치지 않기 위해 제도화 또한 어떤 식으로든 고민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 논문은 시민운동과 제도정치 내지는 제도화의 관계에 관한 관점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목차

1. 서론
2. 시민운동의 정치참여와 정당의 대응
  1) 시민운동의 정치참여 유형
  2) '참여의 위기'와 정당의 대응
  3) '정당의 위기'와 정당의 지향 변화
3. 시민운동의 정치적 도전과 정당의 변화
  1) 민주화운동과 정당체제의 변화
  2) 시민운동의 성장과 정치적 도전
  3) 정당의 성격 변화 시민운동의 '정책 추구적' 정치참여

4. 결론 



출처: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me.asp?tname=kiss2002&key=2587429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6.08.01 / 수정일 : 2016.08.01 / 조회수 : 21842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