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적 지원 사업에 대한 이해 시리즈 #3 아시아⋅태평양지역 재난대응을 위한 국제적 활용도구 및 서비스 안내서 Disaster Response in Asia and the Pacific- A Guide to International Tools and Services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공선주 별빛 / 작성일 : 2016.06.28 / 수정일 : 2023.02.17





인도적 지원 사업에 대한 이해 시리즈
#3

 

아시아태평양지역 재난대응을 위한 국제적 활용도구 및 서비스 안내서

Disaster Response in Asia and the Pacific

- A Guide to International Tools and Services

 

아시아태평양 지역 재난대응을 위한 국제적 활용도구 및 서비스 안내서는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 2011 Regional Humanitarian Partnership Workshop for the Asia-Pacific Region에 참가한 UN회원국과 인도적 지원 활동 관계자들이 재난관리자의 국가, 지역 및 국제간 인도적 상호대응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핸드북 제작을 요청함에 따라 발행되었다(p. 7). 인도적 대응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국제적 도구와 서비스 방법을 각 국 재난관리자들이 기본지식으로 습득하여 활용하도록 하여 재난 대응 및 재난대응대비 역량을 지원하는 목적(p. 8)을 가지고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외의 각국 정부와 지역 내 인도주의 기구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APEC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SEAN (Association of South East Asian Nations):아프가니스탄, 호주, 방글라데시, 부탄, 캄보디아, 중국, 북한, ECHO(European Commission Humanitarian Aid Office, 피지,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라오스,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네팔,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SAARC (South Asian Association for Regional Cooperation), 사모아, 싱가포르, 솔로몬제도, SPC (Secretariat of the Pacific Community), 스리랑카, 태국, 미국, 바누아투, 베트남.- 하고, UN과 관련 국제기구, RCRC Movement, NGOs 등 광범위한 인도주의 분야의 지원과 자문을 통해 작성되었다(p. 2).

 

따라서 본 안내서는 안내서는 재난관리 사이클을 기준으로 재난발생시점부터 대응대비 단계에 이르기까지 재난관리자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주요 도구와 서비스에 초점을 맞춰, 각국 NDMO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와 재난대응 및 재난대응대비 관련 정부부처들을 위한 안내서이자, 정부간기구 대표, 민간분야 활동가와 이재민들을 위한 참고자료(p. 7)로 활용된다.

아태평양 지역 인도적 대응활동에 관련한 웹사이트: http://www.unocha.org/roap

 

아래는 아시아태평양지역 재난대응을 위한 국제적 활용도구 및 서비스 안내서 한국어버젼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안내서는 외교부가 주최하고, KOICA가 주관하며, KCOC가 수행하고 있는 2014 인도적지원민관협력사업의 일환으로 번역 및 발간되었으며, KCOC(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의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서명
: 아시아태평양지역 재난대응을 위한 국제적 활용도구 및 서비스 안내서

발행인: 이제훈

편집인: 윤현봉

발행처: KCOC(한국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목차

 

약어

I. 도입

 

II. 국제 인도적 지원 체계

 

A. 규제행동

국가간 법적 구속력을 갖는 규제 합의

국가간 법적 구속력이 없는 규제 합의

인도적 지원 활동을 위한 자발적 가이드라인

 

B. 인도적 지원 활동 주체

UN (United Nations)

국제적십자적신월운동(RCRC Movement)

지역내 정부기구 및 포럼

비정부 기구(NGOs)

공여국 지원

민간부문

 

C. 국제적 조정 메커니즘

국제적 수준의 메커니즘

국가적 수준의 메커니즘

브릿징 (Bridging)’ 메커니즘

 

III. 재난 대응을 위한 활용도구와 서비스

A. 기술팀 운영

양자 간 운영

정부 간 운영

국제적십자적신월운동(RCRC Movement)

 

B. 기술서비스 운영

구호자산 및 비축

기술적 네트워크

상시대기 및 긴급 상황 단기파견인력(Surge Rosters)

 

C. 재정자원 운영

초동기금체계

전략적 기금 활용도구

 

D. 정보관리 및 평가

정보관리 서비스

보고서 활용 도구

인도적 지원 관련 웹사이트

인공위성이미지 및 지도 작성(Mapping)

현황파악 활용 도구

 

IV. 재난대응대비를 위한 활용 도구와 서비스

A. 기술 훈련 프로그램

국제적 기술훈련

양자 간 기술훈련

 

B. 준비 계획

법적 대비

통합적 대피요소와 임무

국가사고관리체계(NIMS) 지원

 

C.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국제기구 주도의 훈련

지역기구 주도의 훈련

 

D. 조기경보체계

기상예보, 홍수경보

쓰나미 경보, 복합위험요인

 

V. 웹사이트 정보

  


작성자 : 공선주 별빛 / 작성일 : 2016.06.28 / 수정일 : 2023.02.17 / 조회수 : 11013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