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조직의 네트워크 특성 및 지역사회에의 영향 분석 : 성수동 소셜벤처 밸리를 중심으로/이유리(석사논문)/2016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아지 / 작성일 : 2016.07.19 / 수정일 : 2016.07.19

서명: 사회적경제조직의 네트워크 특성 및 지역사회에의 영향 분석 : 성수동 소셜벤처 밸리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network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and its impact on local community : focusing on social venture valley in Seongsu-dong Area
저자: 이유리 
형태사항: vii, 127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명훈,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부록 수록, 참고문헌: p. 108-11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도시개발경영·부동산학과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주제어: 도시계획 
소장기관: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Abstract) 
도시재생의 패러다임 변화로 현재의 도시재생사업은 지역사회의 물리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측면의 조화를 고려한 종합적 도시재생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토교통부는 2013년 12월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였으며, 2014년 4월 전국에 걸쳐 13곳의 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지정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서울시의 경우, 낙후·쇠퇴지역의 복합적 재생, 지역경제 활성화, ‘커뮤니티’ 활용 및 활성화를 강조한 서울형 도시재생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2014년 12월 5곳의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 구역을 지정하였다.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 구역 중 한 곳인 성수동의 경우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으로 지정되기 이전부터 사회적경제조직에 의한 민간 차원의 자생적 도시재생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었다. 성수동의 사회적경제조직은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협업·연계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커뮤니티를 강조하는 현 도시재생의 목표와 부합하는 것으로, 이에 성동구는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에서 사회적경제조직과 그들의 커뮤니티 네트워크와 연계를 통한 도시재생사업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성수동의 사회적경제조직 커뮤니티 네트워크인 ‘소셜벤처 밸리’의 사례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 측면에서 사회적경제조직의 네트워크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조직의 움직임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경제조직을 활용한 도시재생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을 하였다.
연구의 분석은 1단계인 ‘사회적경제조직 특성 분석’과 2단계인 ‘사회적경제조직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먼저, 1단계의 사회적경제조직 특성 분석의 경우 사회적경제조직 대상의 대인면접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성수동 사회적경제조직 커뮤니티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커뮤니티 네트워크의 중추조직을 분석하였다. 또한, 2단계의 사회적경제조직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분석에서는 주민 대상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사회적경제조직의 유입 및 움직임에 의한 지역사회의 변화와 주민인식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1단계 분석 결과, 성수동 사회적경제조직의 커뮤니티 네트워크는 조직형태, 활동특성과 관계없이 조직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내·외부 커뮤니티가 혼합되어 커뮤니티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커뮤니티 네트워크의 중심성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2가지 유형의 중추조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사회적경제조직 커뮤니티에 물리적 시설 제공, 지원, ‘커뮤니티’를 담당하는 조직으로 내부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중추조직의 유형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경제조직 커뮤니티의 내부 커뮤니티에 속해 있으나 지역·주민단체와 같은 지역사회와의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는 조직으로 지역사회와 사회적경제조직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중추조직의 유형이 나타났다. 즉, 성수동의 사회적경제조직은 이 2가지 유형의 중추조직을 중심으로 내·외부 커뮤니티 네트워크와 지역사회와의 커뮤니티 네트워크 관계를 형성·확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단계 분석은 1단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경제조직의 움직임으로 인한 지역사회의 변화 및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경제조직에 의해 지역사회에 제공되는 주요 활동 및 공간의 경우 대부분이 중추조직에 의해 주최·제공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커뮤니티 네트워크 기반의 협업·연계가 활발한 중추조직(2Cc)에 의해 제공되는 활동 및 공간에 대한 인지여부, 참여/이용경험, 만족도가 다른 조직에 의해 제공되는 활동 및 공간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경제조직의 유입 및 움직임이 지역변화 및 주민인식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항목별 지역경제 활성화, 이웃 주민과의 관계 개선(또는 형성), 사회적경제조직과의 소통 및 교류 증가, 마을 행사 참여 및 관심 증가, 지가 및 임대료 상승이 이에 해당하여, 삶의 질 개선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경제조직의 움직임이 지역사회의 발전 및 개선, 네트워크 요소 형성과 더불어 도시재생 측면에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그러나 사회적경제조직의 근본적 사회 목적 활동 활성화 및 지역사회에의 영향 극대화를 위해서는 첫째, 사회적경제조직에 대한 경제적 기반 안정화를 통한 비영리 영역의 활동 증대 및 네트워크 구축 확대가 요구된다. 둘째, 커뮤니티 네트워크의 중추조직 육성·지원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형성 및 인적·공간적 거점을 마련하여 도시재생사업의 참여주체로서 사회적경제조직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3
1. 공간적 범위 3
2. 시간적 범위 4
3. 내용적 범위 5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과정 7
제2장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10
제1절 사회적경제조직의 의의 10
1. 사회적경제조직의 개념 및 정의 10
2. 사회적경제조직과 지역사회 14
3. 사회적경제조직과 네트워크: 조직간 네트워크 16
제2절 도시재생의 개념 및 유형 19
1. 도시재생의 정의 및 개념 19
2. 도시재생과 사회적경조직의 관계 20
제3절 소셜네트워크 분석의 개념 및 특징 23
1. 소셜네트워크(Social Network)의 개념 23
2. 소셜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이론 23
제4절 선행연구 고찰 28
1. 관련 선행연구 동향 28
2. 본 연구의 차별성 34
제3장 분석의 틀 35
제1절 연구의 분석 체계 35
제2절 설문의 설계 및 조사방법 37
1. 설문의 설계 37
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42
3. 분석방법 46
제4장 소셜벤처 밸리의 사회적경제조직 특성 47
제1절 대상지 개요 47
1. 대상지의 공간 및 정책 변천 47
2. 사회적경제조직의 유입 및 현황 62
제2절 사회적경제조직의 특성 68
1. 사회적경제조직의 커뮤니티 네트워크 분석 68
2. 사회적경제조직의 주요 활동 선정 79
제3절 소결 81
제5장 사회적경제조직과 지역사회와의 관계 83
제1절 사회적경제조직의 지역사회 움직임 83
1. 사회적경제조직의 주요 활동 83
2. 사회적경제조직의 주요 공간 86
제2절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88
1. 인구통계학적 분석 88
2. 사회적경제조직에 대한 인식특성 분석 91
3. 지역변화 및 주민인식변화 분석 96
제3절 소결 100
제6장 결론 102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102
1. 연구의 요약 103
2. 연구의 시사점 104
제2절 연구의 한계 107
참 고 문 헌 108
부 록 115

출처: RISS(http://www.riss.kr/link?id=T13960411

첨부파일


작성자 : 아지 / 작성일 : 2016.07.19 / 수정일 : 2016.07.19 / 조회수 : 19343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