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별 진단 워크샵 결과보고서_녹색연합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또랑 / 작성일 : 2017.07.19 / 수정일 : 2020.08.13




​이 자료는 진저티 프로젝트와 함께 세대별 워크샵을 2016년 6월에 진행한 결과보고서입니다. 
지금 이 시기에도 단체의 세대간의 특성에 대한 오해와 편견과 소통의 부족으로 많은 갈등이 존재할 것입니다. 
세대에 따른 경험의 차이, 그리고 그 경험의 차이에서 오는 생각과 행동방식의 차이
세대의 강점과 장점들이 잘 어울러진 운동조직이 될 수 있는 좋은 실제 연구자료가 될 듯 합니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타 단체들도 세대별 워크샵을 진행하고 세대별 소통과 공감이 더욱 촉진되었으면 합니다. 

최근 진행된 밀레니얼 세대에 대한 깊은 연구자료와 함께 보시면 더욱 의미있는 자료가 될 것 같습니다. 

 밀레니얼 연구 조사보고서 아카이브 내용보러가기

녹색연합 워크샵 요약

 

세대 워크샵, 어떤 의미였나?

예전에도 세대 별 토크 같은 시도가 있었지만 세대 간의 차이를 확인하고 끝난 것 같은 아쉬움이 있었다. 이번 워크샵은 시간적으로 충분치는 않았지만 상호 간 이해하는데 조금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서로의 다름을 이해해보려 시도한 것이 가장 의미있었고 열린 마음으로 이야기 했다.

워크샵 활동을 통해 무엇을 배웠나?

첫 번째로 진행한 각 세대의 성취와 이 워크샵 활동이 참 좋았는데 시간이 부족했다. 중요 사건 위주로 나열하고 설명하고 공유할 시간이 충분치 못했던 것이 조금 아쉽다. 개인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친 사건들을 좀 더 깊게 고찰하고 공유하면 세대 간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고 각 세대의 성취들을 존중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특히 각 세대가 경험한 사건들의 본질, 영향, (녹색연합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도록 좀 더 워크샵 활동을 해 보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와 세 번째로 진행된 다른 세대는 우리를 어떻게 생각할까나의 역할과 해야 할 일은 세대 간 솔직한 이야기를 이끌어 내고 세대 간 이해를 증진시킨 면이 있었다. 하지만 세대 간의 좀 더 깊이 있는 이해와 소통을 위해서는 이러한 활동들이 좀 더 세분화되고 강화될 필요가 있다.

워크샵을 통해 드러난 세대 별 고민은 무엇인가?

녹색연합의 밀레니엄 세대는 자신의 아이디어들이 실제로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고 느껴 성취감을 필요로 하는 상태로 느껴졌다. 엑스 세대는 실제적인 조직 변화를 만드느라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아직 충분히 지지받지 못하는 것으로 느끼는 것 같았고 베이비붐 세대의 고민이 가장 큰 것 같았다. 직책이나 영향력이 예전같지 않고 신뢰도 못 받고 있는 것 같이 느껴 자괴감이 있어 보였다. 실제로는 서로를 불신하지 않는데 현실적으로 다른 세대들에게 신뢰받고 있다는 느낌을 못 받고 있었다.


 워크샵 이후를 위한 제언

 

1. 각 세대의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 중요한 사건들을 깊게 이야기해보자

녹색연합은 다양한 세대가 균형있게 일하는 흔치 않는 비영리조직이다. 수십 년의 연령과 경험의 차이가 존재하고 각 세대는 환경과 사회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환경운동에 동참하게 된 동기와 맥락도 세대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각 세대가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건과 자신의 세대의 성취를 좀 더 깊게 이야기한다면 각 세대가 지닌 독특한 관점과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2. 세대 간 이해는 서로의 욕구를 이해하는 데에 시작되는 것임을 기억하자

이전 워크샵에서는 각 세대가 느끼는 감정과 생각을 개괄적으로 들어 볼 수 있었다. 하지만 각 세대가 실제적으로 가지고 있는 욕구와 필요를 구체적으로 듣는 시간은 제대로 주어지지 못했다. 특히 세대를 뛰어넘어 함께 일하기에서 제시되었던 각 세대의 독특한 욕구(. 베이비붐 세대가 느끼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안정의 욕구)를 잘 살펴보고 녹색연합의 세대별 욕구를 살펴보도록 하자.

3. 워크샵을 통해 드러난 차이를 깊게 파고들자

워크샵의 2번째 활동에서는 다른 세대가 나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발표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실제 다른 세대가 우리 세대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상세하게 들어보는 기회는 마련되지 못하였다. 향후 세대별 생각의 차이는 어떤 지점에서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는지 이러한 생각의 차이를 좁히기 위해서는 어떠한 실행이나 소통이 필요한지 좀 더 깊게 드러내는 조치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세대별 그룹 인터뷰나 개인인터뷰 등도 고려할 만 하다)

4. 신뢰를 구축하는 프로세스를 고민하자

세대 별 이해와 소통은 결국 조직 내부의 신뢰를 구축하는 단계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서로에 대한 소통과 대화, 정보와 경험의 공유, 인정과 지지의 과정을 조직 운영의 반영하여 세대 간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 통합적 프로세스가 무엇인지 함께 고민해보도록 하자

첨부파일


작성자 : 또랑 / 작성일 : 2017.07.19 / 수정일 : 2020.08.13 / 조회수 : 1998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