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CSR의 주요 키워드는 S.U.C.C.E.S.S!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아지 / 작성일 : 2016.03.30 / 수정일 : 2021.07.05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은 최근 국내기업 CSR 담당자와 외부전문가 150여명을 대상으로 ‘2016 국내기업 CSR 트렌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조사 결과, 'SUCCESS'라는 키워드로 2016 국내 CSR 5대 주요 이슈와 기업의 역할에 있어서의 2가지 트렌드를 설명하고 있는데요,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CSR 5대 주요 이슈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 관리
UN SDGs: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Climate Change: 신기후체제
CSV: 공유가치창출
Ethical management: 윤리경영 고도화

 기업의 역할에 대한 2가지 트렌드 
Solution Provider: 사회 문제에 대한 참여를 넘어 해결책을 제시할 것
Strategy: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제품 혁신 전략

주요 5대 이슈의 16개 항목 중 우선 순위에 따라 3개 이슈를 고르는 설문 결과,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대응이 총 84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신기후체제와 온실가스 감축 노력(80점), 공급망 관리(62점), 공유가치창출(46점), 윤리경영 고도화(38점) EU의 비재무성과 공시(27점), 정부·NGO와의 파트너십(25점) 순으로 결과가 나왔습니다. 어떤 이슈가 가장 중요한지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기업 실무자 사이에 생각의 차이가 있었는데, 기업 실무자들은 2020년 이후의 '신기후체제와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가장 많이 꼽았지만, 외부 전문가들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첫번째 이슈로 꼽았습니다. 


기업의 역할과 관련된 2가지 트렌드 중 하나는 Solution Provider, 즉 해결자로서의 기업의 역할 증대입니다. 지난해 발표된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신기후체제의 논의 과정에서도 국제사회는 환경과 사회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기업들이 적극 참여해 줄 것을 요청했고, 이러한 요구는 향후 점점 더 커지고 기업의 영향력도 증대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두번째 트렌드는 Strategy, 즉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혁신 전략의 강화입니다. 작년 폭스바겐 사태를 계기로 기업의 투명성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조직의 체질이 변해야 동반성장과 윤리경영을 실천하는 임직원들의 행동이 근본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경영원은 국내 CSR 트렌드 도출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 전 지구적 문제에 대해 해결자로서의 기업의 역할

- 지속가능성이 담보된 조직 문화와 제품 혁신
- 투명경영/윤리경영을 위한 기업문화의 혁신
- 인권과 노동 이슈에 대한 관심과 규제 증가
- 기업의 지속가능성 보고서의 다양화, 보고서에 대한 검증과 중요성 분석 이슈  
- 공유가치창출(CSV) 사례가 줄어들고 있으나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기대
- 저성장과 경영활동의 어려움이 CSR부서에 미칠 영향력

전문은 대한상공회의소 로그인후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작성자 : 아지 / 작성일 : 2016.03.30 / 수정일 : 2021.07.05 / 조회수 : 2043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