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서] ‘공유가치’ 실행 준비상태 평가 항목
활동사례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11.29 / 수정일 : 2019.12.13

2011년 하버드 경영대 교수인 마이클 포터와 마크 크레이머가 발표한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는 기존의 기업의 사회책임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과 비교되며, 새로운 방식의 사회적 가치 향상을 위한 기업의 사회활동 전략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처음 CSV 개념이 소개된 이후 10년이 가까운 시간이 흘렀지만, 아직도 CSV의 사례를 찾아보기 쉽지 않습니다. 기업 활동이 사회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고, 기업이 경제활동과 무관한 의무로서의 사회적 책임 수행이 아닌, 기업활동 그 자체가 사회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곧 기업에게도 이익이라는 CSV. 기업이 CSV를 고려한다면, 어떤 부분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점검해볼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소개합니다

*이 글은 비영리 자문 단체인 FSGFSG 단체 홈페이지를 통해서 배포하는 <공유가치창출 준비상태 점검(Shared Value Readiness Assessment)>의 일부 번역·편집하였습니다. 인용 및 배포 시 원문 출처를 반드시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원문 바로가기


 

공유가치창출 (Creating Shared Value, CSV),

 

기업 활동과 연관된 물리적 지역, 분야, 사회적 분야와 영역의 사회적 · 경제적 여건을 동시에 향상시키면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정책, 전략, 기업운영 방식 (Porter & Kramer 2011)

 

 

CSV Vs. CSR

 

 

공유가치창출

Creating Shared Value,

CSV

기업의 사회적 책임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가치

투입 비용 대비 사회적, 경제적 혜택

선행

추진 동기

기업과 공동체 모두를 위한 공동의 가치 창출

시민의식, 자선활동, 지속가능성

중요도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 요소

기업의 자유 재량

외부 압력에 대한 반응

이윤창출활동

과의 관계

이윤극대화와 통합

기업의 이윤극대화와 별개 활동

의제 선정

기업이 구체적 형태로 내부적으로 의제를 창출

외부 보고 및 개인적 선호가 활동의 의제 결정

예산

기업 전체 예산에 반영

CSR예산 및 CSR활동 직접 범위에 한에 사회적 성과 발생

품질과 산출양의 증대를 위해서 조달 방식을 형질적으로 젼환

공정무역 형태의 구매 · 조달

 

(출처: https://sharedvalue.org.au/wp-content/uploads/2015/12/Harvard-Business-Review-Creating-Shared-Value.pdf)

 

 

CSV 추진 준비상태 평가 항목

 

1. 회사가 주요 사업의 사회적 목적을 격상시키며, 설정한 공유가치가 회사의 경쟁력을 고려하는 정도까지 통합되도록 하는 공유가치 비전을 설정했습니까?

 

 

2. 회사가 공유가치의 대표적 유형* 중 중점적으로 접근방식과 핵심 분야를 분명하게 파악했습니까? 회사가 어떤 사업 단위, 행위자, 지리적 범위에 대해서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까? 아래의 공유가치창출 유형 중 회사가 공유가치를 규모있게 다루려고 하는 유형은 어떤 형태입니까?

 

 

공유가치 유형

설명

사례

제품과 시장에 대한 새로운 방식의 구상

- 제품을 통해서 사회적 필요를 충족

- 취약 집단, 소외집단 등에 속한 소비자를 위한 경제활동을 고려하고 다루는 방식

노바티스 (Novartis):

 

건강·보건 접근성이 없거나 열약한 인도 농촌지역의 소비자와 닿기 위해서, 노바티스가 이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요구되는 보건·건강 이슈에 부합하는 의약품을 이들의 소득수준에서 구매가능하고 적절한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했고, 그 결과 해당 지역의 의사의 방문 증가는 물론, 기업의 기업 매출도 증가했다.

가치 사슬의 생산성에 대한 재정의

생산성 촉진을 위해서 사업파트너, 노동자, 자원을 더욱 바람직하게 활용하는 것을 통한 가치 사슬의 수행방식을 전환

더블에이(Double A):

 

목재 공급 농부들에게 작농법을 교육하고, 노동여건 및 후생복리 환경을 개선하고, 나무의 생육기간 전에 벌목되지 않도록 구매를 보장함으로써 적절한 생육환경에서 일정 기간 자란 목재가 원활하게 공급받아 복사 용지의 품질 확보

지역 단위 사회개발 활성화

생산성을 향상하고, 혁신을 촉진하고, 지역의 성장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기업이 활동하는 지역사회의 관련 제도, 공급자 토대, 가능한 기술을 향상시킴

쉐브론(Chevron):

 

 

쉐브론이 활동하는 지역의 경제적 여건을 향상시키고, 기업 운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 쉐브론가 니제르 델타지역에서 추진하는 파트너 이니셔티브는 해당지역의 실업률을 낮추고 새로운 시장 기회를 발굴하기 위해서 데이터 기반 접근을 사용한다.

 

(출처: https://www.sharedvalue.org/about-shared-value)

 

3. 회사가 새롭게 부각되는 공유가치기회를 점검 심사하기 위해서 새로운 기회 조달 작동구조를 개발했습니까?

 

 

4. 회사가 공유가치를 진행 중인 기획 및 투자 우선순위 결정 활동에 통합시키기 위해서 새로운 사업 절차 개발하거나 또는 기존의 사업 절차를 수정/개선 했습니까?

 

 

5. 외부 협업자와의 관계를 포함하여 공유가치활동을 운영, 관리하기 위해서 회사가 다기능적(범기능적)이고, 유연한 조직 구조를 갖추고 있나요?

 

 

6. 특정 공유가치계획 및 추진활동에 대한 사회적, 기업적 성과의 연관성을 측정합니까?

 

 

7. 적절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인재를 파악하고 채용하기 위한 계획은 가지고 있습니까? 회사가 공유가치에 요구되는 전문지식과 지도력 · 의사결정력을 가지고 있습니까?

 

 

8. 회사가 공유가치기회를 발굴해내고, ‘공유가치기업활동의 성공을 극대화한 구성원에게 보상을 하는 인센티브제도와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까?

 

 

9. 회사가 공유가치전략 관련 중요 이해관계자와 의지와 결과를 공유하고 점검하기 위한 외부 홍보 체계는 물론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내부 의사소통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까?

 


FSG,

FSG2000년에 설립된 전략수립, 평가, 연구 특화 비영리 자문 단체입니다. FSG는 범분야, 분야 융합을 통해서 활동하고 있으며, 오늘날 세계가 직면한 많은 도전 과제들에 대한 더 효과적인 해결책을 개발하기 위해 세계 많은 지역에서 비영리재단, 영리기업, 비영리단체, 정부와 협력관계를 맺고 협업하고 있습니다.

기관 바로가기 https://www.fsg.org/about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11.29 / 수정일 : 2019.12.13 / 조회수 : 1936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