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팁]워크숍 운영 어디까지 알고있니?
실무도구 / by 꼬모 / 작성일 : 2018.12.03 / 수정일 : 2023.03.31

워크숍/회의 운영 및 사회 조사 방법에 도움이 될 자료들을 연속하여 소개할 예정입니다. 관련 자료들은 #회의#워크숍#조사#조사방법론 태그가 붙여질 예정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과정으로 워크숍을 진행하고 계신가요?"

사전적 정의를 찾아보니 기술 또는 아이디어를 시험적으로 실시하면서 검토하는 연구회 및 세미나로 정의 되어 있습니다진행 방법을 살펴보면 `문제제기 문제해결을 위한 조언- 문제해결법의 강구와 해결 모색- 잠정적 결론의 형성의 과정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합의에 의해 얻어진 결론은 어디까지나 가설적 성격을 지니고, 실천을 통해 그 결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게 된다'고 설명 되어있습니다. (출처-두산백과)

 

그런데, 제가 근래 경험한 워크숍들은 과정과 결과에 있어 과연 의미있는 워크숍들이었던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워크숍 진행의 과정들은 지켜졌지만, 결론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는 과정을 간과하거나 워크숍의 성격에 적합한 참여자(Right Person)가 참석하지 않아 전체 분위기를 저해하는 경우, 문제인식(가설수립)이 잘못 된 경우, 적절한 워크숍 툴이 적용 되지 못한 경우, 충분한 논의 시간이 주어지지 않은 수박 겉핡기식 워크숍 등  많은 불편한 지점들을 경험하기도, 듣기도 하였습니다사실 많은 분들이 공감하고 개선 되어야 하는 부분이라 지적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에 대한 토로도 많이 있습니다.

 

함께 공부하고, 정성을 들인다면 좋은 변화를 맞이 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우선, 워크숍의 운영 툴에 대한 설명이 잘 정리 되어 있는 희망제작소- 워크숍 활용설명서 와 `더 이음 사이트' 를 공유합니다 희망제작소의 자료는 26가지 워크숍의 방법이 상황 별로 꼭꼭 채워져 있습니다. 자료의 양이 꽤 많기는 하지만, 목차를 확인하여 필요한 내용들 먼저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희망제작소 '워크숍 설명서'

"아무리 좋고 효과적인 방법이라도 그 중심에는 사람이 있고,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대화가 있습니다. 열린 마음으로 경청하고, 공감하고, 이해하는 것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지름길일 수 있습니다. 우리 주위의 문제를 정의하고,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26가지 워크숍 방법이 상황별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PDF자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워크숍 구성으로 살펴보기 이슈발견 워크숍 / 이슈발견(응용) 워크숍 /실행계획 워크숍 / 실행계획(응용) 워크숍 / 자원지도 워크숍 / 자원지도(응용) 워크숍 / 사회상상 워크숍 / 사회상상(응용) 워크숍 / 이슈지도 워크숍 / 이슈지도(응용) 워크숍 / 세대공감 워크숍 / 세대공감(응용) 워크숍 
*워크숍 방법으로 살펴보기 아이스브레이킹 / 아이디어 확장 / 이슈,자원 찾기 / 점검 도구 / 실행계획 수립 / 전체논의

▷워크샵 설명서 다운로드 바로가기





2
 
더 이음 `워크숍'

섹션은 오랜 전 업데이트 된 자료들이지만 여전히 유용합니다. 사이트 방문하시어 훅 훝어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 기사목록의 제목을 누르시면 해당 글로 바로 연결됩니다. 
▷더 이음 '워크숍' 바로가기 


▷대화 그 자체에 가치를 두는 놀리지 카페(Knowledge Cafe)
​기술을 이용한 문제해결 아이디어를 모으는 해커톤(Hackathon)
​짧은 시간 동안 많은 발표를 들을 수 있게 하는 모임방법, 스피드 기킹(Speed Geeking)





작성자 : 꼬모 / 작성일 : 2018.12.03 / 수정일 : 2023.03.31 / 조회수 : 19258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