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크라우드펀딩 투자를 통한 커뮤니티 임파워먼트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신열매 / 작성일 : 2019.06.16 / 수정일 : 2019.06.23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는 커뮤니티를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Nesta에서 발행한 <Taking Ownership: Community empowerment through crowdfunding investment>는 크라우드펀딩 커뮤니티 투자가 커뮤니티가 운영하는 프로젝트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여 커뮤니티 주도의 지역재생을 가능하게 하고, 지역의 회복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살펴봅니다. 또한 크라우드펀딩 투자를 통한 자금조성에 관심을 갖고 있는 커뮤니티 조직들에게 '하우투(how-to)' 가이드를 제시하고, 지방정부나 재단 등 기관이 이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Nesta 보고서 다운 받기


보고서는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장. 
크라우드펀딩의 프로세스 및 커뮤니티 그룹이 사용할 수 있는 주요 금융 및 거버넌스 모델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기 전에, 펍(pubs)에서 커뮤니티 공원에 이르기까지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와 다섯 가지 요소(프로젝트, 커뮤니티, 투자 모델, 지속가능성 비즈니스 계획 및 거버넌스 모델)를 개괄하여 크라우드펀딩 커뮤니티 투자가 의미하는 바를 설명합니다.

2장.
다양한 옵션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프로젝트 상황에 맞는 재무 및 거버넌스 모델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과 함께 크라우드펀딩 커뮤니티 투자를 위한 '하우투(how-to)'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3장.
커뮤니티 프로젝트 및 기관과의 인터뷰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커뮤니티 투자, 거버넌스 및 소유권에 대한 주요 기회와 도전과제를 확인하고 분석합니다.

기회들

 도전과제

 재무적 및 비재무적 기여를 통한 커뮤니티 임파워먼트

 풀뿌리 모금에서 커뮤니티 조직 운영으로의 전환과
다양성과 통합에 대한 부정적 영향력 완화

- 보다 전통적인 경로(예: 보조금, 은행 대출 등)를 통한 자금 조달이 아닌 새로운 방법으로 프로젝트 지원

- 새로운 수익 흐름의 창출을 촉진하고, 커뮤니티에서의 사용을 증가시켜 보다 재정적으로 안정적인 커뮤니티 이니셔티브 창출

- 자원봉사 및 기타 비재무적 기여 증가(예: 공간 및 지역 지식에 대한 접근성)

- 커뮤니티를 하나로 모아 지역의 회복력, 자기결정력 및 사회기반 시설 강화 

 - 상충되는 우선순위, 재정 또는 전문지식 부족으로 인해 커뮤니티 사용을 위한 자산 접근성 획득

- 성공적인 투자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의 계획 및 실행

- 펀딩 과정에서 커뮤니티의 참여 유지

- 커뮤니티의 대표성 : 평등, 참여 및 포용의 보장

- 정부 펀딩과의 관계에 대한 걱정



4장.
지방정부, 재단 등의 기관이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커뮤니티 그룹을 지원해 커다란 사회적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역할의 사례들을 공유합니다. 다음의 표를 통해 확인된 도전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들을 요약했습니다.

주제

 도전과제 

 기관(정부 및 재단 등)의 가능한 역할

 유연한 자금조달

- 성공적인 투자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의 계획 및 실행

- 펀드레이징에서 커뮤니티 비즈니스로의 전환

- 설정 및 운영 비용을 모두 부담할 수 있는 유연한 보조금 옵션의 제공

- 대출을 통한 펀딩 갭의 해소

- 매칭 크라우드펀딩 계획의 설정

- 전환가능한 보조금(convertible grants)의 제공

 토지(공간) 접근성

 커뮤니티 사용을 위한 자산 접근성 확보

 - 미사용 토지 소유자에 대한 데이터 제공, 프로젝트와 토지 소유주 사이의 중매인 역할을 통해 공간을 찾는데 도움 제공

- 정보와 지원을 제공하여 자산이전 과정의 용이함 제공

- 커뮤니티 그룹들이 커뮤니티 투자를 늘리는 동안 브릿지론(bridging loans)이나 자산 확보를 통해 자산 매입을 위한 재정적 지원 조정

- 프로세스를 촉진하고 프로젝트 추진 그룹이 공간을 얼마나 오래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미사용 공간에 대한 지원

 활동적 커뮤니티 개발

- 성공적인 투자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의 계획 및 실행

- 펀드레이징에서 커뮤니티 비즈니스로의 전환

- 커뮤니티 대표성 : 평등, 참여, 포용의 보장

 - 커뮤니티 내 공식, 비공식 이벤트 진행을 통한 커뮤니티 구축 촉진

-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협업 지원으로 지원가능한 범위의 확대

- 커뮤니티 그룹의 역할에 대한 전략 설계

- 우선순위 영역에서 활동하는 커뮤니티 그룹에 대한 홍보, 기술 및 자원 공유

- 영향력을 행사하여 인식을 높이고 커뮤니티 프로젝트가 장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

- 커뮤니티 단체에 귀 기울이는 한편, 도전과제 완화를 위한 정책 변화 애드보커시 활동 지원 

 기술 인지 및 역량 

- 커뮤니티 대표성 : 평등, 참여, 포용의 보장

- 성공적인 투자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의 계획 및 실행

- 펀드레이징에서 커뮤니티 비즈니스로의 전환

 - 온라인, 인쇄물 또는 이벤트를 통한 성공 사례의 공유

- 모델 및 거버넌스 옵션에 대한 온라인 및 인쇄물의 형태로 정보 생성 및 공유

- 크라우드펀딩 캠페인 실행, 비즈니스 계획 및 운영, 투자 및 펀드레이징, 조직적 거버넌스,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훈련 및 툴킷 제공

- 피어 네트워크(peer networks) 생성 및 지원  


이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크라우드펀딩 투자가 낙후된 지역사회에 새로운 지역 자산을 만드는 자금 조달의 원천이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기존 금융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에 크라우드펀딩 투자를 통해 새로운 자금 조달 기회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커뮤니티 이니셔티브를 활용해 커뮤니티를 새롭게 결집시켜 커뮤니티 회복력과 자기결정력을 강화시킵니다. 풀뿌리 펀드레이징에서 프로젝트 실행으로의 전환, 사용할 수 있는 자산에 대한 접근성 획득 등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있지만 커뮤니티 임파워먼트 차원에서 크라우드펀딩 투자가 갖는 의미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작성자 : 신열매 / 작성일 : 2019.06.16 / 수정일 : 2019.06.23 / 조회수 : 1387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