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사례] 변화의 가능성을 담은, 지도 - 2019년 이후를 중심으로
활동사례 / by 생강 / 작성일 : 2021.04.19 / 수정일 : 2023.03.30

  

 지금부터 볼 지도는 지리적 경계를 표시한 지도처럼 장기간 유의미할지, 봄날의 벚꽃처럼 한순간 사라질지 모르는 지도입니다. 다만, 지금 상황에 유의미하거나 앞으로 변화를 가져올지 모르는 내용을 담은 지도입니다. 그래서 변화의 가능성을 담은 지도라고 이름 붙여 봤습니다. 2019년에서 2021년사이에 제작되거나 알려진 지도를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주로 나온 주제는 플라스틱 프리, 채식, 소수자와 관련된 내용들이었습니다. 민간에서는 시민들의 참여로 지도를 만든 경우가 많았는데 정부기관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습도 보입니다. 앞으로 빅데이터를 어떻게 사용하게 되는가도 관심있게 지켜볼 영역인 것 같습니다. 제작된 지도가 유의미있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접근성과 홍보 영역에서 노력이 필요한 것 같으며 정기적으로 내용 갱신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지도는 해당 정보가 필요한 채식인, 소수자 등에게는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며, 공익활동가들에게는 활동내용을 시민들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2021년부터 큐레이터로 활동하게 된 생강이라고 합니다. 첫 시작으로 무엇이 좋을까 고민을 하다가 ‘지도’라는 주제를 정해봤습니다.


요즘 활동하는 모임에 채식지향을 하는 친구가 있습니다. 이 친구와 같이 회의나 식사를 하려면 갈 곳이 참 없습니다. 갈 곳 없음을 경험하면서 다양한 지향 ․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이 편하게 갈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접하면 좋겠다 생각을 했습니다. 물론, 편하게 갈 수 있는 가게 자체도 많아져야 하구요.


갈 곳에 대한 정보는 스마트폰의 지도앱을 이용하면 참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도를 생각해봤습니다. 공익과 관련된 지도들이 있을까? 있다면 그 지도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고, 어떤 형태일까? 이와 같은 의문을 차근차근 해소해보기 위해 지도와 관련된 사례를 조사하고 정리했습니다.

 

지도는 이동약자 · 먹거리 · 플라스틱 프리 관련 주제가 많았습니다. 충남이나 서울의 경우 충청남도공익활동지원센터와 스마트 서울맵에서 다양한 주제를 보여주고 있어, 충남과 서울에 거주하는 사람/단체라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내용들이 풍부했습니다.
지도 만든 방법을 살펴봤을 때 시민단체에서는 시민이나 회원들의 참여로 만든 지도가 대다수였고, 서울시 등은 빅데이터를 활용하기도 했습니다. 

 

지도를 조사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지도를 실제 사용한다고 생각했을 때, 지도의 유용성을 고려하여 2019년부터 검색되는 지도를 중심으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뉴스, 지인 등을 통해서 알고 있던 곳 + 구글에서 ‘완전일치’조건으로 ‘지도로 표시한 공익활동’, ‘공익지도’라는 검색어를 ‘2019년 1월~2021년 4월 12일’기간 설정”을 하여 조사했습니다.
 

지도를 조사, 정리하면서 느낀 바가 많습니다. 우선 열심히 지도를 만들었으면 활용에 대한 고민도 충분히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번 조사로 처음 알게 된 지도들이 많았습니다. 미리 알았더라면 가봤을 공간들을 이제야 알게 된 것이죠. 아쉬웠습니다. ‘국내 제로 웨이스트 가게 대동여지도’의 경우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지도사이트를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질 수 있도록 홍보를 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 다음은 지도 갱신 방법입니다. 한 때 의욕을 가지고 지도를 만들었지만 몇 년 갱신을 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인 것이 특정 주제를 다루는 지도라고 생각합니다. 제작한 사람/단체가 계속 갱신을 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참여자를 모집하고 같이 만들어 나가는 방식을 도입한다면 지도가 생명력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도 생각해봤습니다.
 

지도는 정보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더불어 시민단체의 활동을 어떻게 사람들과 만나게 할 수 있을까에 대한 답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조사/정리한 지도가 실질적인 활동에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1. 국내 제로 웨이스트 가게 대동여지도 (피프리미)

 

제로 웨이스트 가게를 표시한 대동여지도는 플라스틱 프리와 제로 웨이스트 활동을 하는 ‘피프리미’라는 프로젝트 팀에서 만든 자료입니다. 대동여지도에는 2021년 4월 19일 현재 99곳의 제로 웨이스트 및 리필 가게 등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운영되는 가게에서 판매하는 상품은 식재료부터 세제, 화장품, 자동차 세척용품 등이 있습니다.

 




출처

- 플라스틱 프리 플랫폼 ‘피프리미’ : https://pfree.me/

- 국내 제로 웨이스트 대동여지도 - 카카오 지도 :

https://map.kakao.com/?map_type=TYPE_MAP&folderid=4049789&target=other&page=bookmark

2. 대안적 소비 실천을 위한 지도(바이왓유빌리브/사회적기업)


바이왓유빌리브는
점차 심화되는 천연자원고갈, 극심한 자연재해, 국제간 불평등심화, 빈부격차심화, 쓰레기문제, 환경오염으로 인한 질병 등 나와 내 주변에 끼치는 수많은 문제에 대해 자각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안적 소비’를 제안하고 있는 곳입니다.
대안적 소비 실천을 위한 지도는 
대안적 소비를 위해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며 경제활동을 하는 개인 및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비영리단체 등이 운영하는 작은가게 및 시설과 더불어 서비스 및 상품’을 사회적 가치와 지역적 가치라는 판단기준을 가지고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도의 카테고리는 5일장부터 공익식당 · 의류공유 · 커뮤니티카페 등으로 다양하며, 채식주의자들을 위한 가게 · 독립/예술영화전용관 등 13개의 테마지도가 있습니다. 그런데, 2019년 1월 1일부로 회원서비스를 종료한다고 홈페이지에 나와 있습니다. 아직 지도를 통해서 검색은 가능하나 가게 운영여부는 확인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
테마지도 –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병원


출처

- 바이왓유빌리브 : http://www.bwyb.net/

 

3. 모두를 위한 여행 (대전사회혁신플랫폼 시민의제)

 

‘모두를 위한 여행’은 대전사회혁신플랫폼 시민의제 중 하나로 장애인의 시선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장애 여행 코스를 만들고, 향후 대전시의 문화 정책 및 프로그램 전반에 활용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만든 홈페이지며 여기에 편의시설 등을 조사해서 기록한 시민참여단 지도가 있습니다.

 



출처

- 모두를 위한 여행 시민참여단 지도 : https://moyeoyou.kr/app/map/index?md_id=travel2

 

4. 모두의 축구장, 모두의 K리그(한국프로축구연맹)

 

‘모두의 축구장, 모두의 K리그’는 누구나 쉽게 경기장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배리어프리 경기장)을 만들어 가는 캠페인이자 프로젝트입니다. ‘모두의 축구장, 모두의 K리그’는 총 8개 축구장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동약자(휠체어로 이동하는 장애인, 유모차와 함께하는 가족, 노인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 등)가 어려움 없이 경기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기장 주변 교통시설부터 추천 경기장 입구(및 장애인석)까지의 추천 경로와 동선을 보여줍니다.


- 출처 : 모두의 축구장, 모두의 K리그 http://map.kleague.com/

5. 베프 지도(커뮤니티매핑센터)

  

베프지도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을 비롯해 임산부와 노약자 등 교통약자가 공공시설 및 문화시설에 쉽게 접근하는 Barrier-Free를 목표로 위치 정보를 수집·공유하고 있는 지도입니다. 베프지도는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참여하여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베프지도를 주최·주관하는 곳은 커뮤니티매핑센터입니다.

커뮤니티매핑센터는 2013년 설립하여 커뮤티니매핑(공동체 참여지도 만들기)을 활용해 집단지성과 시민참여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곳입니다.


출처

- 베프지도 : http://bfzido.org/home/#/home

- 커뮤니티매핑센터 : http://cmckorea.org/

 

6. 서울시 채식음식점 현황 & 스마트 서울맵 (서울시)

 

서울시 채식음식점 현황표에 들어가면 자치구별로 채식음식점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더불어 비건, 락토 등 채식유형도 표기되어 있습니다. 현황표로 보기에 불편하다면 스마트 서울맵에 들어가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지도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스마트 서울맵에서는 ‘서울시 채식음식점 현황, 공공 생리대 비치기관, 청년공간정보’ 등을 찾아볼 수 있으며, 복지 ․ 문화 ․ 환경 등 다양한 주제별 지도가 제공됩니다.

 





출처

- 서울시 채식음식점 현황 : https://map.seoul.go.kr/smgis2/short/6O6NT

- 스마트서울맵 :

 

7. 이지트립 무장애지도(모아스토리/사회적기업)

 

무장애지도는 청소년, 다문화가정, 장애인 및 취약계층과 함께 하는 다양한 사업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모아스토리에서 제작하였습니다. 무장애지도는 문턱이 없거나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의 넓이도 적당해서 휠체어, 유아차 접근이 가능한 식당, 카페,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2021년 4월 19일 현재 전북 군산, 서울 망원동, 서울 연남동에 대한 지도가 공유되어 있습니다.

 



- 출처 : 모아스토리 portfolio ()

 

8. 차별없는 가게(다이애나랩&인포숍카페별꼴)

 

차별없는 가게는 다이애나랩과 인포숍카페별꼴이 함께 기획하였으며, 사회적 소수자가 지역사회에서 차별받지 않고, 동등한 하나의 개인으로 받아들여질 것을 동네 식당이나 카페 등 일상에 가까운 가게로부터 약속받아 지도에 표시하는 프로젝트로 탄생하였습니다. 

서울 강북지역 카페, 식당, 약국 등 32곳 정도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지도에 기록된 정보는 ‘턱 없는 입구, 휠체어 화장실, 성중립화장실, LGBTQ+환영, 모든 연령 환영, 발달장애인 환영, 음성안내, 점자 메뉴판, 동물 동반 가능, 유아차 동반가능, 채식 메뉴, 주차 가능’ 등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 다이애나랩은? 미디어 아티스트, 사운드 아티스트, 텍스타일, 사진, 영상 등 각 분야의 예술가들이 모여 만든 콜렉티브로, 장애인/비장애인이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및 교보재에서부터 물리적인 공간과 전체적인 분위기까지 섬세하게 기획하는 일을 합니다.

 




출처

- 차별없는 가게 : https://wewelcomeall.net/stores

- 다이애나 랩 : www.facebook.com/dianalab00/

9. 충남공익정보지도(충청남도공익활동지원센터)

 

충청남도 공익활동 지원센터 아카이브 메뉴에 있으며, ‘도민 생활의 편의를 돕고, 다양한 도민 공익활동의 기초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는 충남의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공익정보지도 출처는 공공데이터포털입니다. 충남공익정보지도를 몇가지 소개하면 마을변호사 지도, 충남 동물병원 현황 , 충남 지진대피소 및 구호소 지도 등이 있습니다.

 



출처

- 충청남도공익활동지원센터https://cncivil.org/bbs/board.php?bo_table=cn_map&page=2
- 공공데이터포털(예 : 충청남도 마을변호사 현황)https://www.data.go.kr/dataset/15017573/fileData.do

 

10. 플라스틱 없을지도(그린피스)

 

‘플라스틱 없을지도’는 그린피스에서 만들었으며 서울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소비 없이 장을 볼 수 있는 가게 19곳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플라스틱 없을지도’는 장바구니와 다회용 용기를 가지고 갈 경우 절반 이상의 식료품을 플라스틱 포장 없이 구매할 수 있는 선택권을 제공하는 곳을 소개하고 있다고 합니다.

 



출처

- 그린피스 홈페이지 캠페인 소식 – 지구를 살리는 장보기 필수품 ‘플라스틱 없을지도’ :

https://www.greenpeace.org/korea/update/6638/blog-plastic-plastic-zero-map-to-save-the-planet/

- 플라스틱 없을지도 – 카카오지도 :

https://map.kakao.com/?target=other&folderid=939229

 
11. 플라스틱없다방(여성환경연대)
 

‘플라스틱없다방’은 여성환경연대에서 제작하였으며 일회용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카페들을 모아놓은 지도입니다. 테이크아웃시 다회용컵 대여, 텀블러 할인, 일회용빨대 사용 여부 등의 정보를 조사해 표시했습니다. 2018년부터 서울에서 제주도까지 다양한 지역의 플라스틱 프리 카페 정보를 모아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출처

- 플라스틱없다방 소개 : https://www.noplastic-cafe.com/

- 2019 플라스틱없다방 지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 https://www.slideshare.net/ecofem/2019-plasticfreecafe-1

- 2019 플라스틱없다방 지도 ‘서울, 경기’ : https://www.slideshare.net/ecofem/2019-plasticfreecafe-2


12. (서울시)풀뿌리단체 지도(서울시민연대)

 

풀뿌리단체 지도(2020년)는 서울시민들의 보다 안락한 삶을 위한 정책제시와 실현 등을 목적으로 하는 서울시민연대에서 제작되었습니다. 풀뿌리단체 지도는 ‘2012 서울지역 풀뿌리단체 현황 조사 보고서’의 후속 사업의 성격으로 제작되었으며, 2020년 기준 115곳의 서울지역 풀뿌리 단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도에서는 단체명, 주소, 연락처, 목적/취지, 홈페이지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2020년 서울시 풀뿌리단체 지도는 서울시NPO지원센터 ‘NPO참여예산제’ 지원사업으로 이루어져 자료집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서울시민연대 : http://www.seoulin.or.kr/?cat=9

- 서울시NPO지원센터 아카이브 : 2020서울지역풀뿌리단체달의 생태지도(보고서) : http://www.snpo.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4516&sfl=wr_subject&stx=%EC%A7%80%EB%8F%84&sop=and

 


* 여기에 없지만, 공익정보를 다룬 지도가 있다면 또는 수정해야 하는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모아서 쌓이면 다시 정리/기록 하겠습니다.





 


작성자 : 생강 / 작성일 : 2021.04.19 / 수정일 : 2023.03.30 / 조회수 : 13844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