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OTY 2022 - 이용자들이 주목한 콘텐츠들 (2022)
현안과이슈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3.01.13 / 수정일 : 2023.01.26

 2014년부터 공익정보 아카이브는 수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자료를 소개하면서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해왔습니다. 만 9년의 시간동안 쌓여왔던 자료들을 다시 돌아보면서 각 해별로 많이 주목받았던 주제들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 순서는 AOTY(Archive Of The Year) 2022입니다.




국제개발협력, ODA 관련 연구

: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원조를 받다가 원조를 제공하는 나라로 탈바꿈한 유일무이한 사례.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앞에 붙는 수식어입니다. 국제개발협력은 ODA를 아우르는 폭넓은 개념으로, 개발 및 빈부의 격차를 줄이고 빈곤 문제를 해결하여 인간의 기본권을 지키고자 노력하는 국제사회의 노력과 행동을 의미합니다. 정의에서도 볼 수 있듯, 국제사회 일원으로서의 의무를 행하는 것인데요, 자칫 ‘남의 나라 도와주고 우리는 손해 보는 일’로 여길 수도 있지만, 최근 들어 국제개발협력의 관점에서 ‘국익’ 개념을 재정의하고 국익과 인도주의의 이분법을 넘어서기 위한 노력들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새로 출범한 윤석열 정부의 국제개발협력 관련 정책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지에 대해 탐구한 자료도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더 보러가기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정보 모아보기 (정책, 통계포털, 학술지)

[이슈 요약] 왜 OECD는 코로나19 백신지원을 ODA로 계상했을까?

한국 ODA에 인간개발지수(HDI) 관련 전략이 필요하다





비영리섹터 각종 정보

: 비영리 분야의 활동가들은 경험하고 싶은 것도, 해보고 싶은 것도, 공부하고 싶은 것도 많습니다. 그래서 아카이브에 올라오는 다양한 비영리 관련 정보들에 주목하곤 하죠. 정보는 이미 많지만, 흩어져 있으면 한 눈에 보기 힘드니까요. 미국에서 열리는 비영리 컨퍼런스 정보 국내 비영리기관이 주최하는 컨퍼런스/포럼들이 대표적입니다. 그 외에도 비영리조직의 블로그 운영을 위한 팁이나 사람에 투자하는 방향으로 사회혁신을 이끌어내고 있는 비영리섹터의 경향에 대해서도 주목할만합니다. 



더 보러가기

한 해의 성과를 의미있게 담아내는 연차보고서

비영리조직의 발자취는 기관의 역사이자 성과다





국가 별 안락사 정책

: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방식으로 죽을 권리, 안락사는 등장부터 지금까지 늘 뜨거운 감자였습니다. 아무래도 죽음이라는 민감한 주제와 연관이 되어 있다 보니 법적, 윤리적 문제와 연결이 될 수 밖에 없었죠. 아카이브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나라마다 이 ‘죽을 권리’에 대처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차이가 나는 이유를 그 사회의 맥락과 함께 살펴보면 한국이 안락사 정책을 어떻게 수립해나가야 하는지 조금의 힌트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요?



더 보러가기

마지막 권리 8. 디그니타스, 영국의 ‘죽음 아웃소싱’ 비난

마지막 권리 5. 조력자살의 일론 머스크, ‘닥터 데스(Dr. Death)’





이주, 난민, 디아스포라 

: 자신이 태어난 나라로부터 떠날 수 밖에 없었던 사람들의 삶은 비극적이면서도 역동적입니다. 떠나온 한 사람의 인생은 개인적이지만 그 사람들의 인생이 모여 역사가 되는 법이죠. 왜 그들이 떠나야 했는지 속사정을 듣는 일은 개인적 비극이 역사책의 한 구절이 생생한 이야기로 다가오게 만들지 않나 싶습니다. 특히 ‘코리안 디아스포라’ 시리즈는 우리와 가장 가깝지만 가장 멀기도 한 이주자들의 고달픈 백년 역사를 조명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해외 사례도 주목할만합니다. EU의 난민 정책을 통해 유럽 사회가 이방인을 대하는 방식을 이야기하고, 네덜란드 사회가 난민 문제로 골머리를 썩히는 모습에서는 난민을 수용하는 일이 결코 쉬운 과제가 아님을 드러냅니다. 핫한 이슈가 될 수 밖에 없고, 또 앞으로도 첨예한 이슈로 부상하게 될 것인만큼 아카이브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더 보러가기

[언론자료] 올해의 주요 비영리 뉴스 (3) 이주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3.01.13 / 수정일 : 2023.01.26 / 조회수 : 6521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