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OTY 2017 - 이용자들이 주목한 콘텐츠들 (2017)
현안과이슈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3.01.03 / 수정일 : 2023.01.04

  2014년부터 공익정보 아카이브는 수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자료를 소개하면서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해왔습니다. 2022년을 마무리하면서, 만 9년의 시간동안 쌓여왔던 자료들을 다시 돌아보면서 각 해별로 많이 주목받았던 주제들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네 번째 순서는 AOTY(Archive Of The Year) 2017입니다.






소수자 관련 정책, 포럼 자료

: 소수자 문제를 가지고 다양한 이야기가 가능할텐데요, 정책적으로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소수자의 존재를 좀 더 가시화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활동가들은 열심히 논쟁하고 토론하고 공부합니다. 아카이브에도 이 공부의 흔적들이 많이 남아 있는데요,  한국 성소수자 인권현안을 체계적으로 기록, 정리한 인권보고서나 성전환자의 성별정정의 요건과 쟁점을 법적으로 풀어보는 콜로키움의 자료집이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아직 제대로 해결되고 있지 않은 문제라서 여전히 힘을 발휘하고 있는 콘텐츠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통계와 정책 바깥에서 부유하고 있는 여성 1인가구를 어떻게 포착하고 그들의 경험을 의제화할 것인지에 대한 토론회 자료 역시 눈여겨볼만합니다. 


더 보러가기

[한국여성민우회] 2차 가해와 피해자중심주의 자료집

[트랜스로드맵Trans-Roadmap] 트랜스젠더 정보, 인권 가이드북





활동가의 실무에 필요한 자료/사이트

: 일을 하다 보면 일을 더 수월하게 하게끔 도와줄 수 있는 도구들의 필요성을 느낄때가 많습니다. 알면 알 수록 신기한 ‘실무도구’의 세계, 아카이브로 오시면 많은 이들이 주목한 실무도구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소하게는 인포그래픽 제작을 위한 파워포인트 서식부터 국내외 연구데이터 정책의 동향을 공유하는 컨퍼런스에 대한 정보까지 있고, 더 나아가서는 일을 하는 ‘조직’ 단위에서 조직의 문화와 리더십을 어떻게 세울 것인지 알려주는 자료도 있습니다. 비영리 분야에 몸담고 있거나 관심이 많은 분들이 아카이브를 많이 이용하는 특성상 이런 자료들이 각광을 받는 것 같습니다. 


더 보러가기

SERI형 조직문화 변화관리 모델 

NPO 사업의 우선순위와 전략 설정을 돕는 툴, 맥밀란 매트릭스 




비영리 영역의 사회적 가치 측정

: 비영리 분야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이 하나 있다면, 그것은 어떠한 가치를 창출하지 않거나 성과를 내는 일과는 무관하다는 게 아닐까요? 비영리 활동도 엄연히 일이고 그것을 하는 것도 조직인데 가치, 성과와 분리되어 있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영리 영역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도 맞기에, 성과를 측정하는 방식이 달라야 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비영리 활동가들이 이런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는 것 역시 아카이브를 살펴보면 잘 드러납니다. 가장 기본적으로는 사회적 가치는 정말로 측정 가능한지, 그리고 측정가능하다면 무슨 방법으로 측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부터 나눠봐야 할 것입니다. 더불어, 성과 측정을 위한 각종 측정방법을 개발하여 지자체의 정책을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일에 기여하고자 하는 연구 역시 성과 측정 관련해서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더 보러가기 

[평가] BSC(균형성과평가제도)의 비영리 적용 가능성

[성과측정] 사회혁신 평가 툴박스 SIMPACT

[성과측정] 콜렉티브 임팩트 평가 가이드




기부모금, 회계

: 공익법인 회계 기준? 기부금 단체와 기부금영수증? 펀드레이징? 말만 들어도 복잡하고 어려운 이런 개념들을 꼭 알아야 하는 이유는 결국 비영리 섹터의 ‘돈’ 문제와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하면 비영리 활동이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지에 대한 이야기만큼 법적으로 반드시 지켜야 하는 조항들 역시 공익활동을 하는 비영리조직들에게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이슈입니다. 공익법인의 재산에 대한 기초적이면서도 실무적인 이해를 돕는 자료나 공익법인에 적용되는 회계기준에 대한 자료가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한편, 고액기부자와 관계를 맺고 유지해 나가거나 부유한 개인 기부자의 동기를 이해하기 위한 전략은 기부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고민하는 비영리단체에게는 실무적으로 중요한 자료일수밖에 없습니다. 


* 이 자료는 2017년 기준이므로 기부모금이나 회계 관련 법적 정보는 2023년 기준으로 업데이트 된 자료를 참고하셔야 합니다. 



더 보러가기 

사례로 보는 공익법인 실무자가 주의해야 할 점

비영리 index 지표로 읽는 비영리의 현재와 미래

한국기업 사회공헌 투자의 지속성, 핵심역량, 가치사슬 연계활동 현황 및 효과분석





커뮤니티

: 지역 기반 공익활동의 특성은 기본적으로 그 지역에 애정을 가진 채로 뿌리를 두고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려는 의지가 강한 사람들이 많다는 데에 있을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단순히 정책을 제안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을까요? 주민들과 함께 호흡하며 긍정적인 방향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활동가의 몫인만큼, 풀뿌리 지역활동을 다룬 자료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협업 모델을 통해 연대 전략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를 다룬 자료는 거버넌스에 기초한 지역혁신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가장 기초적인 논의를 이끌어 냅니다. 그 외에도 해외의 사례도 주목 받았는데요, 사회혁신 생태계 관점에서의 몬드라곤 사례나 주민참여예산제의 시초라고 불리는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리의 실험을 분석하고 우리가 배워야 할 점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더 보러가기

주민과 시민 사이 : 한국 시민사회의 사회적경제활동 톺아보기

Making Waves - 운동에 근거한 사회혁신을 통해 도시와 지역의 잠재성 증폭시키기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3.01.03 / 수정일 : 2023.01.04 / 조회수 : 3500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