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측정] 변화이론 설계 퍼실리테이터 활동 안내서 – 3부: 세션 2(경로) & 세션 3(가정&개입)
실무도구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11.05 / 수정일 : 2023.03.30

비영리활동이 우리 사회에 일으킨 긍정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의도하는 변화, 즉 사회성과가 어떤 것인지 구체적으로 정의해서 명확하게 상을 그려야 합니다. 또한 그 성과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하위 성과와 활동 결과, 활동 간의 관계가 논리적으로 타당해야 합니다. <변화이론>은 변화의 구체성, 인과성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성과측정을 위해 기획단계, 성과관리 단계, 평가 단계에서 <변화이론> 또는 그와 유사한 논리관계틀을 요구합니다. 그리고 <변화이론>은 변화와 변화에 이르는 다각적 측면을 보여주도록 하기 위해서 다수의 이해관계자와의 의사소통을 중요하게 간주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변화이론> 설계 과정에서 참여자의 활동을 촉진을 돕기 위해서 퍼실리테이터가 어떤 역할해야 하는가를 알려주는 <변화이론> 퍼실리테이터 안내서를 소개합니다.* 

*가능한 자세한 내용을 전달 드리기 위해서, 해당 글은 총 3회에 걸쳐 소개됩니다.
**이 글은 <변화이론>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사회적 기업인 액트놀리지(ActKnowledge)2012년에 배포한 <변화이론> 설계 퍼실리테이터 활동 지침서인 <Facilitator’s Source Book Source Book for Facilitators Leading Theory of Change Development Sessions>의 일부를 번역·편집하였습니다. 인용 및 배포 시 원문 출처를 반드시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원문 다운로드 받기

▶1부 바로가기 
▶2부 바로가기 


<변화이론> 설계, 세션 별 퍼실리테이팅 활동 내용

(
이어서)


세션 5: 지표 정의하기 Defining Indicators

 

지표의 역할

- 우리가 구체화한 성과가 달성되고 있는가를 알려주는 역할

 

지표정의는 <변화이론> 설계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입니다.

 

지표정의 및 선정 단계는 성과측정과 정보에 대해서 익숙한 사람과 함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가능하다면, 성과관리 및 평가 전문가의 자문을 받도록 합니다. 그리고 전체 과정은 아니더라도, ‘지표정의/선정 단계에 관여한다면 더욱 바람직합니다. “실질적으로 측정가능하고, “의미있는” ‘지표설정은 프로그램 관리, 중요 의사결정, 향후 평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5-1 지표를 가져야 하는 성과’(활동성과, 중간성과, 장기적 성과 등)*는 어떤 것인가?

*<변화이론>에서 다음 성과를 위한 사전조건’(Preconditions) 역할을 함.

 

이상적으로,

<변화이론>을 구성하는 모든 성과지표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최소한 가장 최초의 개입에 따른 성과에 대한 지표는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최종 장기성과에 이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간 수준의 성과에 대한 지표는 정의하고 설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선정된 지표1)어떻게 측정할 것인지 (측정방법), 2) 어떤 수단으로 측정할 것인지 (측정수단), 3) ‘지표의 정보 출처는 무엇인지 (정보 출처)를 반드시 함께 정의해야합니다.

 

5-2 지표의 주요 특징이 무엇인가?

 

지표가 타당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의 사항을 확인합니다.

1) 누가 영향을 받는가? (측정 대상)
   e.g.
은평구 신사동 한부모 가정 중고등학생


2)
얼마나 많이 변화할 것인가? (측정 범위)
  e.g.
은평구 소재 중고등학교 중 목표 학교 00


3)
어느 정도 변화할 것인가? (지표의 변화 정도)
  e.g.
독해능력 20퍼센트 이상 향상


4)
언제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보이는가? (측정 시점)
  e.g. 2020
12

 

 

세션 6: <변화이론>에 대한 개괄작성하기 Writing the Narrative

 

6-1 <변화이론> 개괄(Narrative)?

- 아래의 내용을 전달하는 <변화이론>의 요약입니다.

 

항목

설명

필수 항목

- 변화의 실현까지에 이르는 논리적 경로에 대한 설명

- 주요 논리적 가정’(Assumption), 논리(Rationale), ‘개입’(Intervention)에 대한 강조

- 프로그램이 어떻게, 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되는가를 보여줄 설득력있는 대표 사례 제시

선택 항목

- <변화이론>의 전체적 비전

- 대상 지역사회의 맥락

- 프로그램 관련 이력

 

 

6-2 <변화이론> ‘개괄의 목적

- 도출한 <변화이론>의 주요 필수 요소에 대한 전달

- 도출한 <변화이론>의 주요 필수 요소가 전체적으로 어떻게 서로 작동하는가에 대한 이해도 향상

 

주의사항

<변화이론> ‘개괄1 페이지가 적당하며, 2 페이지를 넘지 않도록 합니다.

<변화이론> ‘개괄초안 작성 후, 참여자가 모두 검토한 후 합의한 최종안을 도출하도록 합니다.

 

 

세션 7: 시각적 분석 및 품질 검토 Visual Analysis / Quality Review

 

세션 7<변화이론> 설계의 마지막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 지금까지 설계한 <변화이론>이 아래의 세 가지 항목에 부합하는지 구성원 간에 합의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검토 항목

설명

합리적 타당성

Plausible

- 완성된 당신의 <변화이론>이 설득력 있게 보입니까?

- 완성된 <변화이론>이 이해할 수 있는 내용입니까?

- <변화이론>를 구성하는 성과들이 바른 순서에 따라 배치되었습니까?

- ‘사전 조건들이 당신이 의도한 성과에 정말로 이르게 하는 사전 조건입니까?

- <변화이론>의 논리에 비약이 있습니까?

실현 가능성

Feasible

- 프로그램 또는 활동계획을 통해서 장기적 성과를 달성하는 것이 얼마나 현실적인가?

- 구체화된 모든 개입을 수행할 역량과 자원을 가지고 있습니까?

- 추가 파트너를 합류시킬 필요가 있습니까?

- 도출한 <변화이론>의 범위, 기대치 및 기대내용, 시간을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까?

검사 가능성

Testable

- <변화이론>에 선정한 지표들이 충분하게 되었습니까?

- 시기적절하게 평가될 수 있도록 하는 온전하고, 측정가능한 지표를 파악해두었습니까?

- 여러분이 찾은 지표가 <변화이론>이 올바르게 진행되도록 가이드 하도록 충분한 증거를 제시합니까? 또는 <변화이론>의 이행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근거를 제공합니까?

- 지표가 핵심 중요 청중을 설득할만합니까?

 

 

 ​
(끝)

액트놀리지(ActKnowledge), 

비영리 활동이 어떻게 그리고 왜 작동하는가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사회 변화를 위한 실제 활동과 연결짓는 활동을 수행하는 미국의 사회적 기업입니다. 지역사회 조직/기관, 비영리단체/기관, 비영리재단, 정부 등과 함께 환경, 제도, 공공영역의 바람직한 전환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관 바로가기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11.05 / 수정일 : 2023.03.30 / 조회수 : 1870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