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워라밸하고 있습니까?_관련 논의와 재충전 지원 사업 정보
실무도구 / by 그림 / 작성일 : 2018.09.17 / 수정일 : 2023.03.31

서울시NPO지원센터는 활동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전제조건 중 하나로서 활동가의 워라밸, 즉 일과 삶의 균형(Work and Life Balance)에 대한 공론장을 꾸준히 만들고 있습니다. 활동가의 워라밸은 개인의 노력만으로 만들 수 없습니다. 조직과 구성원들이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활동가에게 워라밸이 필요한 이유와 워라밸 만들기 꿀팁 등 조직에서 관련 논의를 시작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소개합니다. 개인적, 조직적 노력으로 시간적 여유를 확보했다면 국내 공익재단들이 실시하고 있는 활동가 재충전 지원사업을 이용해 보세요. 이 글 하단에 소개하였습니다 :) 

[NPO스쿨] 공익활동가의 일과 삶의 균형 만들기 <원데이 워크숍> ▷바로가기

[정보아카이브] <비영리활동가의 일과 삶의 균형(Work and Life Balance)> 시리즈

-행복한 활동가가 행복한 세상을 만든다 ▷원문보기

-진정으로 행복한 삶은 하루하루 균형 잡힌 삶을 사는 것 ▷원문보기

-호모 심파티쿠스의 비애, 활동가의 감정노동 ▷원문보기


출처: https://www.zevohealth.com/en/blog/importance-of-having-work-life-balance/
 




활동가에게 워라밸이 필요한 이유


Beth Kanter, Aliza Sherman(2016)은 조직의 리더들에게
구성원들의 소진을 예방하고 보다 높고 보다 지속가능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조직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들이 소개하는 각종 연구결과를 보면 장시간노동은 성과의 달성으로 이어지지 않고(주 50시간 이상 근무는 생산성이 떨어진다), 노동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주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사람은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한다. 수면 부족은 기분, 집중력, 뇌의 활성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근무시간을 8시간에서 6시간으로 단축한 스웨덴의 실험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아픈 시간이 절반으로 줄었고 20% 더 행복감을 느꼈다고 합니다. 따라서 리더는 구성원들에게 근무 외 시간에 일하거나 야근을 요청하지 않고, 개인 시간에 자기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권장해야 합니다(예: 전자기기 끄기, 저녁과 주말에 직장 이메일 보지 않기, 수면시간 확보 등) 출처 ​Beth Kanter, Aliza Sherman, “Updating the Nonprofit Work Ethic”, Stanford Social Innovation Review, 2016년 9월 22일 ▷원문보기



워라벨 만들기 꿀팁


출처: http://goodyfeed.com/work-life-balance-singapore-head-lah/


Idealist Careers(2014)는 “당신에게는 일과 삶의 균형이 있습니까? 당신은 사무실을 벗어나면 체크아웃할 수 있습니까? 당신은 친구, 가족 그리고 연인과 온전히 함께할 수 있습니까? 당신은 단지 즐겁기 때문에 자주 하는 일이 있습니까? 당신은 일과 관련없는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있습니까?”라고 물으며 자신이 소진(burnout)되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조언합니다. “당신이 일과 삶의 균형을 원한다면 인생을 얻어라. 직업을 선택한만큼 인생을 선택하라.” 다음의 목록을 보며 자신이 어떤 상태인지 체크해 보세요.



비영리섹터에서 일과 삶의 균형을 방해하는 것

1. 모든 것에 “yes”라고 말한다. 마지못할 때에만 “no”라고 말한다.

2. 취미를 갖지 않는다.

3. 여기저기 얕게 발을 담근다. 한번에 너무 많은 일을 시도한다.

4. 모든 일을 스스로 한다. 왜 위임하는가? 누구도 당신의 일을 당신만큼 할 수 없다.

5. 일하면서 먹고 자고 마신다. 하루 종일, 심지어 주말과 휴가 중에도 일에 머문다.

6. 일에서 자신의 가치를 찾는다. 성공=매우 바쁜 것.

7. 불평을 많이 한다. 왜 긍정적으로 봐야 할까?

8. 휴가를 가지 않는다. 개인적인 일은 화장실 가는 것 정도이다.

9. 자신을 돌보지 않는다. 헬스장은 너무 비싸고, 빨리 자는 것은 노인들이나 하는 것이고, 패스트푸드는 저렴한다.

10. 업무시간을 당신이 정말로 신경쓰지 않는 것들을 하며 보낸다.

※출처 Idealist Careers, “Tackling work-life balance in the nonprofit sector”, 2014년 6월 4일 ▷원문보기

 

Michelle Sawyer(2016)과 Commongood  Careers은 워라밸을 만들기 위한 방법을 제안합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1)업무시간 중에는 업무를 방해하는 일, 관계, 환경 등을 정리하여 최대한 효율을 높이고 시간 내 업무를 완료한다, 2)퇴근 후나 주말에는 사적인 관계, 취미, 휴식 등을 즐긴다.  


비영리세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는 10가지 전술

1. 회고부터 한다.

2. 업무관계를 평가한다.

3. 재충전 시간을 우선순위로 둔다.

4. 가능한 “No”라고 말하고 위임하는 법을 배운다.

5. 일찍 일어나기 위해 노력한다.

6. 정기적인 사회 활동이나 “당신의 시간”을 계획한다.   

7. 더 열심히 일하지 말고, 더 스마트하게 일한다.

8. 업무환경을 최적화한다.

9. 완벽주의자가 되지 않는다.  

10. 조직구성원들과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해 이야기한다.

출처​ Michelle Sawyer, “10 Tactics to Achieve Work-Life Balance in the Nonprofit World”, GiveGab Blog, 2016년 2월 18일 ▷원문보기



비영리직업에서의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탐구


1. 일주일간 시간을 기록한다: 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발견하고 시간낭비를 제거할 수 있다.

2. no라고 말하는 법을 배운다: 과도한 yes는 현재 업무에 영향을 미치고 스트레스를 만든다.

3. 의사소통을 명확하게 한다: 실수를 예방할 수 있다.  

4. 당신의 조직이 제공하고 있는 것을 활용한다: 유연근무제, 재택근무제 등을 활용하고 휴가를 적절히 사용한다.   

출처​ Commongood  Careers, “THE QUEST FOR WORK-LIFE BALANCE IN A NONPROFIT JOB” ▷원문보기

 



국내 공익재단의 지원사업을 이용해보자!  
 

work life balance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출처: http://www.vermints.com/blog/take-our-work-life-balance-quiz/

※ 아래의 내용은 2018년 9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아름다운재단 <변화의시나리오 활동가 재충전 지원사업>


- 사업목적: 활동가의 지속가능한 활동 보장

- 지원자격: 변화의시나리오 단체 기준에 부합하는 시민사회단체 또는 지역풀뿌리단체 활동가 / 현 단체에서 만 3년이상 근속한 상근 활동가(반상근, 비상근 제외)

- 지원대상: 여행, 취미 등 온전한 휴식을 위한 활동 / 활동가 스스로 기획한 재충전 프로그램에 대한 비용 지원

 ※ 단체의 전체 활동가, 자원활동가, 회원 연수 및 교육 등은 제외

- 지원금액: 1팀당 최대 500만원 (10팀 선정)

- 공모횟수/시기: 연 1회 / 3월  

-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change.beautifulfund.org/1796/



한국여성재단 <짧은여행 긴 호흡 [연대팀]>


- 사업목적: 활동가로서 정체성과 비전을 환기할 수 있도록 휴(休)프로그램 지원

- 지원자격: 여성·시민사회단체 상근활동가로 경력 1년 이상의 여성활동가

 ※ 대표단체의 경우, 비영리 여성단체 및 시설이어야 함

 ※ 최소 2개 단체, 5인 이상 연대를 구성하여 참여해야함

- 지원대상: 여성·시민사회단체 활동가로서의 정체성과 비전을 환기할 수 있는 휴(休) 프로그램

- 지원금액: 팀별 최대 650만원 (국내 1인당 70만원 이내, 국외 1인당 130만원 이내)

- 공모횟수/시기: 연 1회 / 2월  

-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omenfund.or.kr/38/?idx=14095435&bmode=view



한국여성재단 <짧은여행 긴 호흡 [단일팀]>


- 사업목적: 활동가로서 정체성과 비전을 환기할 수 있도록 휴(休)프로그램 지원

- 지원자격: 여성단체 상근활동가로 2018년 2월 기준 경력 1년 이상의 여성활동가

 ※ 동일단체, 최소 3인 이상의 소속 상근 여성활동가로 팀을 구성하여 신청

- 지원대상: 여성단체의 조직 결속력을 강화하고 여성활동가의 비전을 구축할 수 있는 휴(休) 프로그램

 ※ 여행사 패키지 이용 불가. 단, 공정여행사를 통한 여행 기획 및 상품이용 가능

- 지원금액: 팀별 최대 350만원 (국내 1인당 70만원 이내, 국외 1인당 130만원 이내)

- 공모횟수/시기: 연 1회 / 2월  

-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omenfund.or.kr/38/?idx=14095435&bmode=view



인권재단사람 <일단, 쉬고>


- 지원자격: 3년 이상 활동경력이 있는 현 인권단체 소속의 상임 및 반상임 활동가

 ※ 2인 이상 그룹이 팀을 이뤄 지원 가능. 단, 팀 소속 활동가는 모두 지원대상에 해당해야 함

- 지원대상: 쉼과 재충전을 위해 활동가 스스로 기획한 여행, 취미 활동 등 인권활동가 개인 프로젝트

- 지원금액: 1인당 최대 100만원/팀당 최대 200만원

- 공모횟수/시기: 연 1회 / 3월  

-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hrfund.or.kr/support/?keyword_type=all&keyword=%EC%9D%BC%EB%8B%A8%2C+%EC%89%AC%EA%B3%A0



공익활동가사회적협동조합동행 <공익활동가 재충전 지원사업>


- 지원자격: 공익활동가 사회적협동조합 동행 조합원으로 가입한지 6개월이 지났고, 시민사회 공익활동 총 경력이 3년 이상인 자 / 조합원 개인 또는 조합원으로 구성된 팀(조합원으로 구성된 팀의 경우 구성원 모두 공익활동 총 경력 3년 이상, 동행 조합원 가입 6개월 이상 조건을 충족시켜야 함)

- 지원대상: 공익활동가 스스로 기획한 국내외 여행프로그램(연수 및 교육 제외)

- 지원금액: 1인당 최대 100만원/팀당 인원에 따라 차등

- 공모횟수/시기: 연 1회 / 비정기  

-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activistcoop.org/1565133156


이외에도 천안풀뿌리재단, 부천희망재단, 충남공익활동지원센터, 부산시민운동지원센터 등 지역의 공익재단과 중간지원조직들이 활동가 재충전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지역의 활동가들은 이를 참고해 주세요.  
 





작성자 : 그림 / 작성일 : 2018.09.17 / 수정일 : 2023.03.31 / 조회수 : 25921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