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시민사회의 정치개혁운동과 낙천ㆍ낙선운동 (조희연, 2001)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6.03.29 / 수정일 : 2021.06.21
조희연, 2001 「시민사회의 정치개혁운동과 낙천ㆍ낙선운동」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2』 한울.


이 글은 2000년 4.13 총선국면에서 한국 시민운동에 의해 전개되었던 낙천ㆍ낙선운동의 전개과정과 그 출현배경, 성과를 분석하고 전망을 검토하는 글이다. 낙천ㆍ낙선운동은 커다란 성과를 가져왔고 성공적인 운동 모델로써 여겨졌다. 낙천ㆍ낙선운동은 공천과 선거에서의 전면 개혁을 요구하고 이를 무시하고 공천된 인사들을 대상으로 낙선운동을 전개하는 운동이다. 이는 제도정치권에 대항하여 시민사회가 벌인 정치개혁운동이었다. 필자는 낙천ㆍ낙선운동이 1980년대 이후 분화 발전되어온 시민사회운동의 역량이 국민적 이슈를 중심으로 결집하게 된 것이고, 어떤 형태로든 이러한 연대운동이 정체된 민주개혁을 추동하는 힘으로서 지속적으로 존재해야 하고 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진단했다. 필자는 낙천ㆍ낙선운동은 아시아적 사회운동의 중요한 전범이 될 정도로 중요한 의의를 지녔고 향후 발전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저자 소개

조희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의장, 학술단체협의회 상임대표, 비판사회학회 회장,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소장, 성공회대학교 NGO 대학원장, 시민사회복지대학원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계급과 빈곤>,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 <민주주의 좌파, 철수와 원순을 논하다>, <동원된 근대화> 등이 있다.  

*목차

1. 머리말
2. 낙천ㆍ낙선운동의 전재
3. ‘정치지체’와 낙천ㆍ낙선운동: 활성화된 시민사회와 괴리된 제도정치
4. 낙천ㆍ낙선운동의 성과
5. 낙천ㆍ낙선운동에 대한 비판적 평가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6.03.29 / 수정일 : 2021.06.21 / 조회수 : 21380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