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OTY 2015 - 이용자들이 주목한 콘텐츠들 (2015)
현안과이슈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2.12.20 / 수정일 : 2022.12.28

2014년부터 공익정보 아카이브는 수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자료를 소개하면서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해왔습니다. 2022년을 마무리하면서, 만 9년의 시간동안 쌓여왔던 자료들을 다시 돌아보면서 각 해별로 많이 주목받았던 주제들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두 번째 순서는 AOTY(Archive Of The Year) 2015입니다.






인권, 차별, 격차 등 불평등 관련 이슈

: 인권 문제는 한국 사회가 직면한 가장 급박한 문제들 중 하나입니다. 그러면서 또한, 국제적인 관점에서 한국사회의 위상을 살펴보기에 좋은 주제이기도 하죠. 미국의 디지털 격차를 통해 한국의 정보통신 정책을 다듬어볼 수도 있고, 국제적으로 합의된 인권규약을 통해 우리나라는 어디까지 제대로 보장하고 있는지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한국으로 돌아오면, 한국의 활동가들이 진단하는 인권운동 현황부터 인권교육이 어떻게 진행중인지 살펴보는 일까지. 인권에 대해서 우린 여전히 할 이야기가 많습니다. 



더 보러가기 

[자료집] 정보화 사회에서의 인권 : 국가인권위원회 토론회 

[보고서]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의 참여격차와 정책적 대응방안





환경, 건강권, 대안적 삶 관련 이슈

: 매 분 매 초, 환경은 파괴되고 있고 우리의 건강은 위협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장에 큰 일이 나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크게 신경쓰지 못하는 것도 사실이죠. 더 나은 삶을 위한 대안을 상상하는 것은 그래서 어렵습니다. 하지만 아카이브에서는 대안적 삶을 상상하는 이야기들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만큼, 이런 논의들과 함께라면 어렵지 않습니다. 다른 삶을 상상하는 사람도서관을 통해서, 돌봄과 살림의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토론을 통해,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선물을 구매하는 방법을 통해서, 그리고 기후와 환경변화가 우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방식을 통해서라면, 대안적 삶을 상상하고 나아가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더 보러가기 

[논문소개] 화장품 전성분표시제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도시, 정책 관련 연구

: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도시이지만, 그래서 더더욱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놓치기 쉬운 것 같습니다. 사람과 사람이 만드는 건축물, 그리고 그것을 지원하거나 규제하는 정책들이 모여 도시를 구성합니다. 도시농업이 나타나는 양상과 그 기능, 1인가구의 공간적인 특성과 그 특성을 만들어내는 요인, 공동체 활동을 돕는 도구로서의 커뮤니티매핑이 21세기 도시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매커니즘에 대한 분석 등이 많은 반응을 얻은 도시 연구 콘텐츠입니다. 이를 기반으로 비혼여성 1인가구 정책지원의 방향성을 논의하고, 도시기본계획을 성인지 관점으로 분석하며, 서울시의 주택재개발사업의 개선방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더 나아갔습니다. 



더 보러가기

주민들이 제안한 공유도시 정책

좋은 디자인과 좋은 삶은 서로 떼어 놓을 수 없다 - 윌리엄 모리스의 레드하우스




환경 캠페인 관련 정보 

: 흑두루미, 점박이물범, 연산호, 수달… 쉽게 볼 수 없는 동물들의 이름입니다. 그런데 왜 쉽게 보기 어려울까요? 인간이 저지른 수많은 환경오염 때문입니다. 영양실조, 농약 중독, 전선 충돌… 이들을 지키기 위해서는 이들이 어떤 위협에 직면하고 있는지부터 알아야겠죠. 녹색연합의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특집은 환경단체가 진행하고 있는 효과적인 인식개선 캠페인이라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그 외에도 가리왕산을 지키기 위한 활동, 노후원전 안전성에 대한 검토 등 다양한 환경 의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사람에게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성장호르몬이나 화장품에 대한 이야기도 주목할만합니다. 



더 보러가기

에코 컨퍼런스 : With A Cup

(영상) 그린라이트 : 녹색연합에서 신입활동가로 사는 법





공익활동가를 위한 실무도구/전략

: 일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더 잘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일잘러’가 되는 방법은 활동가라면 누구나 고민하는 부분일것입니다. 그래서 아카이브에는 활동가를 위한 다양한 실무도구를 소개하는 콘텐츠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이런 도구들을 잘 써야 좋은 효과를 낼텐데요, 어려워서 제대로 못 쓰게 되면 아까울테니까요.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공익활동 역시 인터넷과 모바일의 체계를 잘 이해하고 써먹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지식이 필요합니다. ‘공익활동가를 위한 생활코딩’ 시리즈는 공익활동에 유용한 HTML 이론을 소개합니다. 더 나아가 비영리부문에서 디지털을 더 잘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체인지온의 자료들 역시 실무도구에 관심이 많은 활동가들에게 주목을 받았습니다. 



더 보러가기

[changeon] 비영리의 모바일 활용을 돕는 10가지 방법

[changeon] 비영리 홍보 전략, 검색부터 사로잡으세요

비영리실무노하우 BEST 10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2.12.20 / 수정일 : 2022.12.28 / 조회수 : 11793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