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O 지속가능성보고서] #2. 여성환경연대 – 실천하는 에코페미니스트들의 플랫폼
현안과이슈 / by HyoJ / 작성일 : 2016.06.29 / 수정일 : 2023.03.31

 

여성환경연대의 지속가능성보고서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 여성환경연대, 강희영 사무처장 | 서울시NPO지원센터 2016 사업설명회, ‘NPO의 자리에서

 

 

실천하는 에코페미니스트들의 플랫폼,

여성환경연대의 새로운 비전이자 2015 여성환경연대 지속가능성보고서의 이름입니다.

여성환경연대의 지속가능성보고서는 적절한 시기에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서 발간되었습니다. 지금부터 보고서에 담긴 의미 있는 활동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작동하는 비전을 위한 노력 | 14~19p


작동하는 비전은 조직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입니다. 많은 단체들이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비전 워크숍, 비전 위원회 등의 진행하지만 이런 노력 속에서도 .하도록 이끌어 내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멋있고 세련된 비전을 수립하여도 문구로만 남았다고 하는 곳도 있었고, 내부 구성원들조차 온도 차가 존재하거나 잘 인식하지 못한 것 같다는 곳도 있습니다.

 

여성환경연대는 지난 15년을 평가하고 앞으로의 10년을 위한 비전2025’ 중장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에 [2015 NPO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 지원사업]에 참여하였습니다. 지속가능성 보고 요소를 비전 수립 활동과 연계하여 적용하는 한편, ‘비전2025’에 대한 내용을 충실히 보고함으로써 연대의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여성환경연대가 처음으로 발간하는 보고서로, 향후에도 작동하는 비전을 가지고 지속가능한 활동에 대한 고민을 내•외부적으로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위와 같이 보고서에 작성된 내용을 통해 새롭게 수립된 비전과 목표를 앞으로의 활동에 적용하여 점검하고 평가하려는 연대의 의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적극적인 이해관계자 참여 | 17, 22~23p


여성환경연대는 첫 번째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하면서 연대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받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파악하였습니다. 영향력, 소통채널, 세부 이해관계자 리스트와 같이 다양한 측면에 대해 이해관계자 지도를 통해 정리하여 보고하고 있습니다.

 

 

분류된 이해관계자들에 대해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비전2025’에 대한 의견을 비롯하여 연대에 대한 내•외부 이해관계자 관심도를 파악하였습니다.

(이 때 참여한 이해관계자 중에 단체에 대한 다양한 이슈를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감동이었다는 별도의 피드백을 듣기도 하였습니다.)

 

향후 연대만의 지속가능성 이슈들에 대한 이해관계자 인식도 조사가 요구되지만, 최초 발간임에도 적극적인 이해관계자 참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습니다.

 

 

성과 평가 및 미래 계획의 보고 | 26~55p


연차보고서와 비교했을 때, 지속가능성보고서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과거의 성과뿐만 아니라 미래 계획에 대해서도 함께 보고한다는 것입니다. 단체의 매년 성과를 보고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미래 계획까지 보고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년 단체의 중요 이슈를 도출하고 그에 대한 성과 평가와 목표 설정이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작동하는 비전, 단체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의미 있는 활동입니다.

 

여성환경연대는 4개 지속가능성 주요 이슈를 선정하고 관련된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평가하는 한편, 해당 이슈에 대한 향후 계획까지 보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4대 이슈 외의 2015년 주요 사업에 대해서도 사업 성과와 함께 향후 방향 및 계획을 보고하였습니다.

 

 

[2015 여성환경연대 지속가능성보고서 - 실천하는 에코페미니스트들의 플랫폼]

2015년 여성환경연대 지속가능성보고서 보러가기 

 


다음 글에서도 최근 발간한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3. 유엔인권정책센터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1. 지속가능성 보고 (바로가기) 


작성자 : HyoJ / 작성일 : 2016.06.29 / 수정일 : 2023.03.31 / 조회수 : 23228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