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4ㆍ13 총선, 진보정당과 시민운동 (장상환, 2001)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6.03.29 / 수정일 : 2021.06.21
장상환, 2001 「4ㆍ13 총선, 진보정당과 시민운동」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2』 한울.

이 글은 2000년 4월 13일 16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나타난 현상을 투표율이 낮았고, 지역주의 투표형태가 지배했고, 총선시민연대의 낙천ㆍ낙선운동이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고, 민주노동당은 당선자를 내지 못했다고 요약한다. 이 글은 이러한 특징들을 담고 있는 총선의 의미를 평가하고 민주노동당 총선투쟁의 성과와 한계를 진단한 후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는 글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민주노동당 울산 북구 후보 경선을 둘러싼 노동조합과 정당 간 관계를 검터하고, 진보정당과 시민운동 간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실천할 것인가를 모색하고자 하는 글이다. 

진보정당의 관점에서 시민운동과의 관계 설정에 대해 이 글이 제시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조직확대를 위해 시민운동단체 회원과 정당참가의 이중 멤버십을 시민운동단체가 당연한 것으로 인정하도록 정착시켜야 한다. 그리고 시민운동단체들이 제기하는 환경, 여성, 인권 등의 문제들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투쟁함으로써 진보정당과 시민운동 간의 연대를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시민운동은 부르주아민주주의의 완성이라는 과제를 넘어 자본주의적 모순의 심화라는 문제에 대응하는 고민을 해야 체제 내화 되지 않을 수 있다고 제언한다. 


*저자 소개

장상환  
1951년 대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상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민주노동당 부설 진보정치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에 <진보정당을 말한다>, <한국 농업 농민 문제 연구 1>(공저), <한국 사회의 이해>(공저), <한국 사회의 현단계>(공저), <제국주의와 한국 사회>(공저), <한국 경제론 강의>(공저), <한국의 농업 정책>(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에 <경제학의 역사>, <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 <경제학사 입문>, <자본주의, 공산주의 그리고 공존>, <서양 경제사 강의> 등이 있다.  


*목차

1. 머리말
2. 낮은 투표율: 보수 여ㆍ야당에 대한 불신 심화
3. 낙천ㆍ낙선운동의 의의와 한계
4. 민주노동당의 성과와 한계
5. 울산 북구 문제의 본질과 해결책
6. 민주노동당의 향후 과제
7. 맺음말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6.03.29 / 수정일 : 2021.06.21 / 조회수 : 23484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