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시장의 새로운 시각을 가진 3곳
실무도구 / by 얼대왈 / 작성일 : 2021.12.12 / 수정일 : 2023.03.31



반려동물 시장의 새로운 시각을 가진 3곳

1
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애완견/애완묘를 비롯한 반려 생물에 대한 관심과 관련 시장은 점차 다양해지고 넓어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개, 고양이, 햄스터, 토끼 외에도 물고기, 도마뱀, 식물 등 키워지는 생물도 함께 올해 반려동물 시장은 약 6조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2019년엔 이미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은 1,500만 명이 넘었습니다. 이와 함께 동물복지와 동물권의 논의가 사회/정치 분야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난 10월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개 식용 종식을 언급하여 많은 기대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대통령이 직접 언급했다는 점에서 88올림픽 개최로 시작된 개 식용 논란이 이제는 실질적인 추진될 것으로 기대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애완시장은 단순히 가축을 넘 이에 따른 다양한 사회문제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유기되는 동물의 증가와 이들에 대한 무분별한 학대, 입마개 착용이나 배변 처리 등의 산책 문화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를 해소 및 예방하기 위해 비영리 영역에서는 동물권 교육 및 영화제 등 동물권과 관련된 문화를 만들어가는 NGO 동물권 행동 카라나 유기동물을 입양하는 포인핸즈 등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반려동물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3곳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 갑작스러운 이별을 대비한 장례 기초 수습 키트 GS25

- 당연하게도 반려동물과 살아간다는 것이 마냥 행복한 일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갑작스러운 사고와 질병 그리고 이어지는 이별이 발생합니다. 예고되지 않은 상황이기에 누구나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고 어찌할 바를 모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 가운데 국내 편의점 시장의 2인자인 gs25 편의점에서 의미있는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바로 반려동물의 장례 문화가 없던 국내에 반려동물 장례 전문서비스를 제공하는 21그램(https://21gram.co.kr/)과 함께 반려동물 장례를 돕는 기초 수습 키트를 출시한 것입니다. 해당 키드에는 반려동물 사체 수습 방법, 장례 절차, 동물등록 변경(말소) 절차 등을 알려주는 가이드북, 세정 티슈와 거즈가 들어간 기초수습 도구, 중형견까지 들어갈 수 있는 운구용 방수 가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gs25시에 따르면 수익금의 일부는 유기견 보호단체에 기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고객들의 반응은 애써 생각하지 않았던 반려견과의 죽음을 맞닥뜨려서 당황할 수 있는 때를 상상하며 기초 수습 키트의 출시에 대해 응원을 하였습니다. 어느새 현대인의 생활에 깊숙이 들어와 버린 편의점과 반려동물의 문화가 진일보한 콜라보레이션으로 반려인들의 숨겨진 니즈를 잘 파악한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photo(cc) : gs25_offical(instgram)

-링크 : https://www.instagram.com/p/CUZNdBqlPTc/

-기사출처 : GS25, 반려동물 장례 돕는 기초수습키트 출시, 연합뉴스

-링크 : https://www.yna.co.kr/view/AKR20210823030600030

 





2. 인간에게 지문이 있다면
, 애완견에겐 코가 있다 ‘NOSEiD’

 - 애석하게도 애견시장과 문화가 활발해질수록 유기견의 수 또한 늘어나고 있습니다. 작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표한 ‘2020 반려동물 보호·복지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강아지 13401마리가 버려졌다고 합니다. 하루 평균 357마리가 길거리로 내몰린 것으로 지난 2018년에는 121077마리, 2019년에는 135791마리의 강아지가 주인을 잃어왔습니다. 포획되지 못해 측정되지 않은 유기견의 수를 고려한다면 그 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측합니다. 미국 또한 다르지 않습니다. 매년 1천만 마리 이상의 반려동물이 실종됩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은 집으로 돌아오지 못합니다. 그래서 펫 케어 브랜드인 IAMS는 특별한 앱을 개발하였습니다. 바로 강아지의 코 지문을 활용한 NOSEiD라는 앱입니다. 지문은 사람과 원숭이 등 땀샘이 있는 영장류들만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이 손바닥이나 발바닥에 땀샘이 없는 강아지나 고양이들은 지문이 없습니다. 그러나 흥미로운 점은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강아지와 고양이에겐 바로 비문이 있습니다. 지문과 마찬가지로 나이가 들어도 변하지 않고 복제 동물의 경우에도 비문은 다르게 나오기 때문에 코 무늬만 있다면 어떤 강아지인지 확인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미국과 중국에서는 비문을 활용한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반면 2014년부터 반려동물 등록제를 시행한 우리나라는 마이크로칩을 반려동물의 체내에 삽입하거나 외장형 칩을 보관하는 것에 그쳐 아쉬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전국적으로 불의의 사고 및 유기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비문을 활용해보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합니다. 이 가운데 작년 국내에서도 한 스타트업에서 인공지능 딥러닝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펫나우(pet now)란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많은 스타트업이 생기며 애견시장을 겨냥한 제품과 서비스가 나오고 있습니다만 시장의 확대가 아닌 문제해결 및 방지를 위한 아이템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참고이미지. https://www.iams.com/noseid

- 참조링크1. https://petnow.io/

- 참조링크2.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nkw4504&logNo=222421170021&parentCategoryNo=&categoryNo=60&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2023년 3월 기준 페이지 삭제로 접근 불가)



 

3. 행복한 소에게서 행복한 우유가 ‘HOWNOW’

 - 우유나 달걀은 생각보다 많은 곳에서 사용됩니다. 우유나 달걀은 그 자체를 많이 마시고 먹기도 하지만 커피와 치즈 등 각종 요리 등에서 많이 사용되어, 물가 지표에 중요한 기준이 되는 항목입니다. 그런 만큼 점차 윤리적 생산과 소비의 욕구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닭과 소, 돼지 등 작은 사육장에서만 살면서 우유와 계란만을 생산하기 위한 부품으로 전락한 요즘 동물복지를 위치는 소비자들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송아지는 태어나자마자 어미 소로부터 분리되어 우유가 아닌 분유를 먹고 자라며, 어미 소가 만들어낸 우유는 인간이 먹게 됩니다. 이마저도 암컷에게만 해당하며 수컷은 태어나자마자 도축되어 버리게 됩니다. 이러한 가운데 낙농 대국으로 알려진 호주에서 동물복지를 배려한 우유 '카인드 밀크(Kind Milk)'를 생산하여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빅토리아주에 위치한 <하우나우 목장(HowNow Dairy>에서는 카인드 밀크를 시작으로 올해 4월부터 페타치즈와 블루치즈도 판매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하우나우 목장은 동물 애호 활동가 출신인 캐시 팔머가 5년 전 낙농인 배우자와 함께 완전 방목 형태의 <하우나우 목장>을 시작하여 송아지가 어미와 살며 풀을 먹을 수 있는 생후 4개월까지 어미 소 젖을 먹으며 자랄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멋진 점은 보통의 목장들이 목장 확대와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소의 개체 수를 늘리는 목장이 많은 가운데, “행복한 소를 돌보려면 100마리가 한계라고 기준을 세워 운영한다는 점입니다. 그 밖에도 다른 목장에서 협조적이지 못한 성격으로 기를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된 유기소를 인수하는 일에도 적극적이라는 것입니다.

물론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서는 공적인 메시지도 중요하지만, 상품 경쟁력이 중요합니다. 하우나우의 우유는 2L(7.65달러)로 측정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호주에서 우유가 2L 기준으로 3~5불 정도로 측정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고가이지만 윤리적인 생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찾는 소비자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결과물만 만나게 될 수밖에 없는 소비자로서는 제품 생산과정을 알기란 쉽지 않습니다. 특히나 다품종 대량생산되는 제품일수록 더욱 그렇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우나우의 사례는 상품과 서비스의 본질과 배경에 대한 집중을 한 사례로 의미가 있어 추천드립니다.

 

- 내용출처 : season&work 88 뉴스레터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jHo_Q05AqNOwiSfWVwdgxtc2BJGfOQ

- 이미지출처1. 하우나우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hownowdairy/

- 이미지출처2. 하우나우 홈페이지

: https://www.hownowdairy.co.uk/


 


작성자 : 얼대왈 / 작성일 : 2021.12.12 / 수정일 : 2023.03.31 / 조회수 : 11885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