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서] 성공적인 지역사회개발(재생) 추진을 위한 5가지 원칙 (by Community Development St. Louis Fed.)
실무도구 / by 실버라이닝 / 작성일 : 2020.12.24 / 수정일 : 2021.12.01

"깨진 유리창의 법칙", 길가에 주차된 두 개의 차가 있습니다. 두 차는 모두 본넷을 열어두고 있었습니다. 한 차는 깨끗한 외관을 가지고 있는 차였고, 다른 차는 유리창에 금이 가있었습니다. 며칠이 지난 후, 첫번째 차는 먼지만 살짝 앉아 있을 뿐, 처음과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반면, 다른 한 차는 낙서가 되어 있고, 다른 차창이 깨져 있고, 바퀴를 도난 맞거나 타이어가 펑크나 있었습니다. 낙후된 지역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더 낙후되지 않도록 하는 팁핑 포인트가 되는 지점을 찾아,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소중히 할 수 있는 곳으로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로, 도시 재생, 낙후 지역 개선 사업에 자주 인용되는 심리학 이론 중 하나입니다. 그럼 이러한 지역사회 거주 및 생활 환경을 개선하는 활동을 어떻게 시작해야할까요? 우리나라와 달리, 민간에서 이니셔티브를 만들고, 이끌어 가는 경험이 많은 미국에서, 도시 재생,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고려해야할 점들을 정리한 안내서가 연방 준비 은행에서 발간되어 소개 합니다.

* 이 글은 미국 연방 준비 은행 내 지역사회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Community Development at St. Louis Fed.에서 발행한 안내서인 <Five Principles for Launching a Successful Community Development Initiative> 를 번역정리한 것으로 인용시 반드시 원문 출처를 밝혀주세요.


*
언급된 개발(Development)’을 지칭하는 개념은 한국에서 용어와 개념이 사용되는 맥락에서는 ‘지역사회 재생’ 또는 지역사회 협력에 더 가깝습니다. 본 글에서는 개발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철거와 신축을 골자로 하는 '재개발'을 의미하지 않음을 밝힙니다.


원문 바로가기

안내서 목차 

도입 - 지역사회개발 개요
1- 사람 People : 최적의 팀 구성하기
2- 계획 Plan : 지역사회 개발 재원조달 계획 구체화를 위한 평가와 데이터 활용
3- 과정 Process : 지역사회 개발 추진을 위한 재원 조달
4프로젝트 : 우수 사례 소개 



안내서 목적 

지역사회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 성과를 이끌어내는 5가지 원칙에 대한 이해와 적용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 과정 전반에 대한 개괄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에 도움이 되거나 또는 약화시키는 시장 요인에 대한 파악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를 이끌어갈 수 있는 능력의 강화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 재원 조달 방법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 개발(Community Development)이란?  

지역사회 개발은 단순히 지역의 경제성장만을 추구하지 않음. 지역사회 개발 과정에 해당 지역 주민을 참여, 즉 재원과 개발 자산에 대한 결정 과정에 참여시키며, 자원이 지역에서 그동안 해결되지 않던 문제를 해결하고 발현되지 못하던 장점의 기회를 살릴 수 있도록 개발하는 과정



지역사회 개발에 대한 기본 이해
지역사회 개발의 4가지 개념 

- 해당 지역사회에서 생활 또는 거주 하는 주민 등 관련 이해당사자의 필요와 욕구, 바라는 바에 대한 높은 관심지역사회 구성원이
- 적극적인 참여자로서 개발 과정에 참여하며
, 결정하고 관리.
지역사회 개발과정에서 지역 주민의 자기주도 및 주인의식의 중요성 ('자조' self-help)
- 지역내 각각의 목표와 활동이 서로 배치되지 않도록 고려하는 지역사회에 대한 총체적 관점(holistic view) 



지역사회 개발의 주요 흐름 3가지 

- 정부 재원지출 방식의 변화
- 재원 출처의 구성의 변화
- 근거 및 정보 기반, 성과 기반 지향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 구성 요소 

성공적 프로젝트 = 사람 + 계획 + 과정



성공적인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5가지 핵심 요소 

 

원칙

개요

관련 질문

원칙 1

지역사회로부터 참여 
Community Engagement

지역사회로부터의 지지

- 지역사회로부터의 지지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 지역사회로부터의 지지를 행동과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어떻게 할 것인가? 

원칙 2

핵심 추진 그룹과 리더십 
Leadership

지역사회 개발 과정을 이끌 핵심 지지 집단 및 리더

- 해당 프로젝트에 맞는 적절한 리더그룹이 누구인가

- 해당 프로젝트를 이끌기 위한 리더가 되려면 무엇을 갖춰야 하는가? 

​원칙 3

협업
Collaboration

함께 프로젝트에 참여할 협업 파트너를 찾고 이들과 성공적인 팀이 될 수 있도록 네트워킹

- 해당 프로젝트에 맞는 적절한 협업 파트너, 협업 주체는 어떤 기관, 기업, 단체인가?

​원칙 4

 

평가
Evaluation

 

근거 및 정보 기반 의사결정 Data-driven decision-making

- 의도한 목표와 달성하고자 하는 성과를 명확하고 타당하게 보여주는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프로젝트 계획을 어떻게 만들까

- 재원을 제공하는 사람이 중요하게 보는 부분이 무엇일까? 

원칙 5

현장 기반 맞춤형 추진(적용성)
Adaptability

 

- 프로젝트의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서 가능한 수단은 무엇인가
- 필요 예산보다 조달 재원이 부족할 때 어떤 상황이 발생할 것인가
- 프로젝트의 실제 진행 상황 및 진행된 경과가 계획가 얼마나 차이가 발생했는가

- 의도한 목표와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유연성과 회복성을 확보해야하는가? 




(사진 출처: Five Principles for Launching a Successful Community Development Initiative)


주요 내용 자세히 읽기
사람 People : 최적의 팀 구성하기
원칙 1 : 지역사회 관계자와 주민의 안정적 참여 여건 조성 

 정의

 "지역사회로부터의 참여(Community Engagement)"지역사회의 당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과 의사결정과정에 지역 주민이 참여하는 것을 의미.

 특징

 다양한 면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하며일시적인 것이 아닌 진행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함.

 효과

 지역사회 이해관계자가 지역사회 개발 계획 수립 초기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참여할수록 프로젝트 종료 후 결과물이 지역사회에 용인되고 정착할 가능성이
높음.
   


♣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방법

지역 내 자산 기반 지역사회 개발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ABCD)​*

○ ​지역사회가 가진 역량과 자산/자원을 발굴하고 지역사회 개선에 활용할 수 있도록 규합하는 방식의 지역사회 개발 전략

○ ​지역사회가 가진 강점에 초점을 두며강점이 지역사회 개발 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

○ ​거주자들이 가진 기술지역사회의 제도적 강점과 같은 근린 자산에서부터 시작

○ 지역사회의 부족한 부분에 초점을 두기 보다 가지고 있는 장점이 부각되고 강화될 수 있도록 치밀하게 관심을 두는 방식

○ 착수 단계부터 지역사회 이해관계자가 참여
○ ​프로젝트 추진 과정과 추진 후 자생 단계에 필요한 역량을 지역사회 내부에서부터 강화할 수 있음.

○ ​지역 내 시장 참여자의 참여 동력을 끌어낼 수 있음지역사회 내 자리 잡도록 도우며 변화가 지속가능하도록 지역 내 자산과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함.

숙의적 의견 수렴 Deliberative Polling (DP)

○ 창안자 - James Fishkin (스탠포드대 교수)

○ ​지역주민에게 사전에 정보를 제공하고지역주민이 해당 정보를 인지한 상태에서 이들과 함께 주요 안건에 대해서 토론을 진행하는 방식 

<순서>
1. 특정 안건에 대해서 지역사회 주민 중 무작위로 표본 집단을 추출하여 설문을 진행
2. 설문에 응답한 표본 집단과 함께 안건에 대해서 숙의를 진행
3. 
숙의를 하게될 안건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참가자들에게 정보를 사전에 제공
4. 토론을 위해 모인 자리에서 회의촉진자를 중심으로 소규모 그룹으로 재배치
5. 소규모 그룹으로 나눠진 참가자들은 각 소그룹별로 해당 안건 관련 전문가와 행정관계자입법관계자에게 질의를 진행

6. 숙의 참가자 모두가 충분히 고려한 의견을 바탕으로 최종 질의의견을 결정함 

 *지역 내 자산 기반 지역사회 개발 관련 아카이브글 더 보기 



원칙 2 : 핵심 추진 집단 파악 및 구성

중요성 및 기능

 ○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지지를 역할
 ○ 직면한 도전과제를 극복할 전략과 방법을 고안하는 기능

 ○ 각 분야에 걸쳐 관심을 끌어오기

 ○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공식적인 확신을 제공하는 기능계획의 취지와 설계방향을 훼손하는 이해관계자 설득 및 계획 방향 방어

 ○ 중간에 이탈하거나 주저하는 이해관계자를 설득해서 지속참여하도록 격려하는 기능



원칙 3 : 협업 관계 파악 및 구축
지역사회 문제의 복잡성을 고려해서 다음 3가지가 필요.
1)
리더십
2) 범분야적 문제해결 접근
3) 전략적 협업

효과적인 전략 협업 구축시 주의 사항 

범분야 참여 주체 구성​

 프로젝트의 각 분야 요소가 통합적으로 이뤄지고각 분야가 서로 적절히 조응하고분야 간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범분야에 걸쳐진 다양한 협업 주체들로 협업 체계를 구축

공동 비전 합의 및 수립​

 지역 주민에게 개선이 꼭 필요한 성과 영역에 대한 내용을 담은 공동 비전 수립 과정을 원활하게 추진 필요​

통합 전략 계획 수립​

 사람 중심 전략(소프트웨어)과 공간 중심 전략(하드웨어)을 통합해서 고려한 포괄적인 전략 계획 수립

안정적 협업 기반 및
운영 체계 구축​

 프로젝트의 지속적인 진단과 평가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시기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는 협업 체계 및 구조협업 운영 과정의 구​축



협업 유형

 기부자 협업 

Funder Collaboratives

 공통의 의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복수의 재원 기부자 주체가 의제 실현을 위한 재원을 공동으로 마련하기 위한 형태​

 민관 파트너십 

Public-Private Partnerships 

 구체적인 사회 서비스 또는 사회적 혜택을 전달하기 위해서 민과 관이 파트너십을 형성​

 이해관계자 협의체 방식 

Multi-Stakeholder Initiatives 

 의제를 공유하는 서로 다른 분야의 이해관계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협업 활동 방식​

시민사회 분야 네트워크

Social Sector Networks

 시민사회 분야의 개인활동가 또는 기관/단체들 간의 유동적인 형태의 목적 지향적 관계 또는 공식/비공식적인 관계망

콜렉티브 임팩트 방식 
Collective Impact Initiatives

 특정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동의 아젠다를 공유하면서 각 분야의 중요한 행위자/주체가 형성한 장기적 비전 및 공약 사항

 


협업 사례
- Opportunity Chicago 사례 더 보기(언어: 영어)  

- Purpose Built Communities 사례 더 보기(언어: 영어) 



(사진 출처: Five Principles for Launching a Successful Community Development Initiative)



계획 Plan : 지역사회 개발 재원조달 계획 구체화를 위한 평가와 데이터 활용

원칙 4: 모니터링/평가 시스템의 내재화
모니터링/평가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의 필요성

○ 의제와 안건을 구체화하여프로젝트의 결과와 성과 예측을 보여줌

○ 재원 제공자를 설득

○ 재원 제공자의 의사결정

○ 안정적인 재원 조달을 위한 환경에 필요한 근거 생산



모니터링/평가 정보의 구성
1. 환경적 요인 Environmental Context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외부 요인으로 프로젝트와 관련된 외부조건과 상황을 이해하고 측정하기 위해서 파악해야 함.
 

대분류

중분류

 내용

각 조건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

거시 환경적 요인 
Macro Environmental Factors​​​

직접 통제할 수 없지만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
 
경제적 요인
Economy

물가 상승 

사업 주기 
고용 추세  
소매 및 상거래 행위 

자본 가용성 및 건설 활동  

<경제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

 - 노동 및 주택 시장 관련 경제적 조건이 어떤 상황인가?

 - 숙련 노동에 대한 부족이 있는가?
 - 소매 건설 분야(retail construction)*에서의 활동이 있는가? *주택 개보수인테리어 등과 관련된 건축 분야
 - 경제 분야 중 뒤쳐지는 분야가 있는가?
 - 자본신용 등 금융 서비스 중 가능한 것이 있는가

 - 어떤 유형의 금융 제도와 기관이 해당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는가? 

인구학적 요인 
Demographics

 가구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연령 분포 
교육
인종적 다양성
소득의 지리적 분포

<인구학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
 - 사업 대상지의 교육 수준은 어느 정도 수준인가?

 - 연령과 사회계층 변수가 사업 대상 지역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저소득 가구의 수가 지역공동체 서비스 중 특정한 구체적인 것을 필요로 하거나 요구하고 있는가? 

/행정적 요인 
Politics

규제 및 법안​

<정치/행정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 

 - 해당 사업과 관련된 법률/규제 관련해서 중앙 정부 차원에서 지자체 단위로 변화가 있었는가?
 -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개발/재생 추진 기관/단체의 법적 지위가 어떻게 되는가

 - 사업 대상 지역 내 활동에 어떤 영향력 또는 압력이 있는가? 

기술적 요인 
Technology

프로젝트의 내용과 전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상의 변화​

<기술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
 - 사업지역이 인터넷 접속 등 IT 통신 활용이 가능한가가능하다면 어떤 상태로 가능한가?

 - 사업 대상지역 내에 기술적 요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이 있는가? (대학교공공도서관 등

 - 기술이 생활방식과 일통근 양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자연 환경적 요인 
Natural Environment

도시재생 프로젝트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 및 기타 자연환경 관련 고려 사항​

<자연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 

 - 사업농업경제 개발 등과 관련해서 환경생태적 고려사항이 있는가?
 - 사업지가 자연재해의 피해를 받을 가능성이 있는가

 - 대기 및 수질 상태가 어떤가? 

사회 문화적 요인 
Social and Cultural Factors

 

<사회 문화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
 -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의 관계가 사업 대상지역의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를 대하는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
?
​ - 관광예술역사 보존에 어떤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가

 - 지역사회 사람들의 생활 방식 및 유형이 변하는가?

 

 

대분류

중분류

내용

각 조건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

미시 환경적 요인 
Micro Environmental Factors

시장
Markets

 

<사용자(소비자 또는 수혜자)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
 - 누구인가?

 - 본 프로젝트가 지탱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수요가 있는가?
 - 사용자가 계속 바뀌는가 아니면 변하지 않는가?
 - 사용자 행태를 알 수 있는 사용자 프로필을 가지고 있는가?
 - 해당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가 관련된 시장에서 다른 주체가 차지하고 있는 시장 점유율 확인을 위한 질문
 - 시장 점유에서 규모와 트렌드와 비교해서다른 주체(기존 또는 예상)가 가진 강점과 약점은 무엇인가?
 - 기존 또는 예상되는 주체에 희소한 자원 또는 자원이 이미 할당되어 있는가재원과 자원을 두고 경쟁을 해야하는 대상이 있는가?
 - 협업의 기회가 있는가

 - 비슷한 내용의 프로젝트 또는 기존의 서비스와 비교해서 당신의 계획이 가지는 차별점이 무엇인가? 

지역 주민 인식
Public Perceptions

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재원과 관련된 환경 

주민의 평판 

<지역 주민 인식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

 - 해당 지역사회가 어떻게 계획을 수립하는가그리고 지역사회가 지역사회 개발 목적을 어떻게 추구하는가?
 - 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재원 마련에 영향을 주는 주민들의 관심과 우려사항고려사항이 무엇인가?
 - 해당 지역사회에 지역사회 개발 관련해서 얼마나 많은 비영리 기관/단체가 활동하고 있는가?
 -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 추진 기관이 가지고 있는 추적 관찰 기록이 무엇인가?
본 프로젝트가 만들어 낸 성과와 사회적 영향력에 대해서 해당 지역사회가 만족해하는가

 - 속한 지역의 자선 단체금융기관행정기관이 지역사회 개발 주체를 우호적으로 보는가? 



2. 사업 계획 Business Plan
● 사업 계획의 중요성

​ - 공동의 기본 약속(commitment) 수립

 - 협업해야하는 이유에 대한 명확성 강조
 - 기대점바라는 점잠재적 약점에 대한 명시
 - 프로젝트 관련 협업파트너들 간의 역할과 책임의 배분
 - 목표 개괄 및 이정표 명시
 -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 초기 단계부터 설명하는 로드맵으로서의 기능 

 -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기능 



● 사업 사례의 중요 요소

사업 추진의 배경 및 맥락(필요성 등)

 - 지역사회 내외부에 발생하는 현황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려고 하는 주체(기관단체 등)의 내외부적 현황이 무엇인가?

 - 프로젝트의 필요성을 입증하기 위한 근거가 있는가? 

문제 및 기회​

 - 현재 지역사회의 어떤 면이 프로젝트의 추진을 요청하는가?

 - 프로젝트와 관련된 시장의 요구는 어떠한가

 - 지역사회 내에서 또는 지역사회로 조달이 가능한 자산은 어떤 것이 있는가? 

추진 않을 경우 발생될 예상되는 부정적 상황​

 - 문제를 해결하지 않거나기회를 활용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결과가 무엇인가?

바라는 성과​

 -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기대하는 성과는 무엇인가?

사회적 편익

 - 프로젝트 추진 성과를 통해서 얻어지는 구체적인 사회적 편익은 무엇인가?



3. 재무 정보 Financial Information

​ 재원 요청자에 대한 개요 Basics about applicant

 예산 계획 Budget
 운영 관리 계획 Management
 재정 능력 Financial capacity
 감정 평가 Appraisal 

 사업 구조 설계의 완성도(품질) Quality of design 



♣ 빈약한 사업/타당한 사업 계획의 3가지 특징

논리적으로 타당한 사업계획의 특징 3가지 Good

빈약한 사업 계획의 특징 3가지 Weak

 ○ 사업 내용시장의 수요사업 운영 모델위험 관리 계획을 간략하고 명확하게 기술

 ○ ​계획의 가장 두드러지고 중요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5페이지 이내의 사업계획서 구성

 ○ 보수적인 재무 예측 

 ○ ​장황하고중언부언하거나알아보기 어렵게 구성된 계획서술식으로 길게 기술된 계획서

 ○ ​핵심 추진팀의 전문성과 경험경력이 과장된 계획서

 ○ ​복잡한 재무 모델을 가진 사업 계획서손익분기점에 이르는 과정이 간단하고 빠르고 쉽게 이해하기 쉽게 설계되어야 함. 



(사진 출처: Five Principles for Launching a Successful Community Development Initiative)



과정 Process : 지역사회 개발 추진을 위한 재원 조달

원칙
5: 현장 기반 맞춤형 추진(적용성) Exercising Adaptability

현장 기반 맞춤형
(적용성 Adaptability) 이란? 

 프로젝트의 의도된 목표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주어진 환경 및 조건 변화진행상황에 맞춰 계획의 취지가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계획을 적응시키고정상 궤도로 회복시키는 특성
​ ○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 재원제공자들의 중점에서의 변화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지속가능하도록 만드는 인적자본(human capital)로 주안점 변화

     - 하드웨어(건물)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사람)에 투자하기 위한 재원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협장 기반 맞춤형 (적용성 Adaptability)의 중요성 

​ ○ 소프트웨어(사람)에 재원을 투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 ​긍정적인 사회적 영향력을 위해 엄밀한 평가를 통해서 입증된 개입 방식에 재원을 투자할 수 있도록
 ○ ​재원 및 자원 조달 과정의 일부로서 협업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원 조달의 형태

​ ○ Debt (사회적 저금리 융자)

​ ○ ​Equity (사회적 지분 투자)

​ ○ 세금 공제(Tax Credit) 투자 형태

​ ○ Grant (증여지원금

​ ○ 기타 - 사회적투자(Social Impact Bond, SIB) 




(사진 출처: F
ive Principles for Launching a Successful Community Development Initiative)


프로젝트 : 우수 사례 소개 
5가지 핵심 원칙 기반해서 성공한 2가지 사례 소개*
*안내서 원문 또는 클릭하면 더 많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례 1: Community Collaboration Spurs KIPP: 미국 미주리 세인트루이스) 

사례
2: Memphis Organization Lifts Voices of Community (미국 테네시 멤피스



 


작성자 : 실버라이닝 / 작성일 : 2020.12.24 / 수정일 : 2021.12.01 / 조회수 : 13073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