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NGO (2005)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6.03.29 / 수정일 : 2021.06.16
박상필. 2005. 『NGO_NGO 핵심개념 시리즈 1』 아르케.

NGO의 다양한 현실을 개괄하는 안내서로써 NGO학 전반을 소개하는 시리즈 중 하나로 출간되었다. 사전 지식 없이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NGO의 정의, 등장 배경, 발생 원인, 이념과 가치 및 기능, 함의를 다루고 있다. 저자는 NGO의 실체적 개념을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 회원가입의 배타성 부재, 자원봉사활동에 의한 사업 수행, 공익 추구 목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저자는 한국의 경우 87년 6월 항쟁 이후에 생겨난 시민단체 개념과 중첩하면서 견제지향적 단체로 정체성을 가지다가 서비스제공단체로 확대되었다고 본다. 저자는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한국과 서구사회의 NGO 개념은 결국 상호 수렴하면서 비슷한 범주로 나아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이러한 NGO 개념에 입각하여 NGO 전반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 소개

박상필

경희대, 알래스카대학, 경북대 등에서 정치학·정책학·행정학 등을 공부하고, NGO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이화여대 강사와 경희대 NGO대학원 객원교수를 거쳐, 현재 성공회대 NGO대학원 초빙교수로 있으면서 시민운동정보센터 소장, 참여연대 운영위원, 미래사회와종교성연구원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NGO와 현대사회』, 『NGO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NGO와 정부 그리고 정책』, 『NGO학』, 『유토피아 코리아』 등이 있다. 이 책은 2005년부터 20년 동안 진행되는, 시민사회에 기반을 둔 ‘대안사회 프로젝트’의 첫 번째 연구로서 철학적 어프로치에 해당한다. 현재 대안사회의 두 번째 연구로서 ‘한국의 시민사회(사회학적 어프로치)’를 진행하고 있고, 이후 ‘능동사회(역사학적 어프로치)’, ‘새로운 신화(문학적 어프로치)’ 등을 집필할 예정이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NGO시대의 등장 
1. 패러다임의 전환
2. NGO의 분출
3. NGO의 힘

제2장 NGO란 무엇인가
1. 사회구분 모델
2. 시민사회 이론
3. NGO의 개념정의

제3장 NGO와 유사개념의 차이
1. 외국의 경우
2. 한국의 경우

제4장 NGO는 왜 발생하는가
1. NGO의 발생원인
2. NGO의 발달배경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6.03.29 / 수정일 : 2021.06.16 / 조회수 : 18004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