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2018 시민공익활동 지원사업(미트쉐어) 성과측정 연구용역 보고서
NPO센터발간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8.10.08 / 수정일 : 2023.03.29

본 보고서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4년 동안 진행된 서울시NPO지원센터의 「시민공익활동 지원사업(미트쉐어 meet+share)」이 시민들에게 어떠한 영향력을 미쳤고, 그 영향력이 지금까지 어떻게 지속되어 오고 있는지를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014년 모임형 프로젝트를 비롯하여 2017년 실행형 프로젝트까지 선정된 약 500여개 모임/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주요하게 ▲활동의 지속성, ▲활동의 확장성, ▲활동의 효과성을 확인하였습니다.

○ 조사대상 : 2014년 ~ 2017년 미트쉐어 프로젝트 참여자(개설자)
○ 조사방식 : 온라인설문조사, 인터뷰 
○ 조사내용 : 
  1. 미트쉐어 이후, 유사한 공익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는가?  (지속성)
  2. 미트쉐어를 계기로 새로운 네트워크가 생기거나 공익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전환이 되었는가? (확장성)
  3. 미트쉐어 지원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유효 도움이 되었는가? (효과성)





1. 활동의 지속성
- 총 응답자의 약 40%가 미트쉐어 관련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고 응답하였습니다. 미트쉐어를 통해 해당 주제에 대한 관심이 더욱 생기게 되었다고 응답한 수는 82.6%였습니다. 미트쉐어 이후 최소 1회 이상 단기 모임이 진행된 경우는 72.6%였으며, 약 60%는 기존 주제를 확장하여 단기 모임을 진행했습니다.
- 반면, 미트쉐어 이후 후속 모임을 진행 못한 이유로는 크게 예산 부족과 시간적인 여유 부족을 이유로 들었습니다.

2. 활동의 확장성
- 미트쉐어 간의 연계 및 확장 보다는 자신이 진행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개인 영향력, 네트워크가 커가는 것에 대한 효능감을 발견하는 것이 더 많았으며, 한편으로 자신이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집중하는 것 이상의 여유를 찾기가 어려운 것도 이유로 드러났습니다.

3. 활동의 효과성
- 68.5%가 미트쉐어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습니다. 도움이 된 요소로는 '최소한의 자금'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행동이 촉발되고 실행해 볼 수 있는 자원으로서 미트쉐어의 지원금이 동기부여가 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두번째는 '지지와 공감을 통한 실행력 강화'였습니다. 응답자중 91.3%가 향후 미트쉐어에 재지원하고 싶은 의사를 밝혔습니다.
- 하지만, 재지원 의사가 있는 분들이 꼽은 보완점으로는 행정의 간소화(32%), 현실적 지원금 지급(20.6%), 더 적극적인 홍보지원(15.8%) 순으로 나왔습니다. 

공익활동의 '맛'을 보게 하는 미트쉐어, 시민들의 '사이드 프로젝트'로서의 공익활동을 위해, 설문조사 응답 및 인터뷰 응답 등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시민 대상의 공익활동 지원사업을 계획할 때, 시민들과 어떠한 접점을 만들어 가야할 지 참고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서 조사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본 조사에 참여해주신 2014~2017년 미트쉐어 참여자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인사 전합니다.
 

 

 

 

첨부파일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8.10.08 / 수정일 : 2023.03.29 / 조회수 : 2567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