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경제 용어 정리(레이첼 보츠먼)/공유허브
현안과이슈 / by 아지 / 작성일 : 2016.07.20 / 수정일 : 2023.03.31

이 글은 공유허브 홈페이지에 게재된 컨텐츠입니다.

 

레이첼 보츠먼이 정리한 공유경제 용어-THE SHARING ECONOMY: DICTIONARY OF COMMONLY USED TERM 

 

“인터넷을 활용해서 사람들이 원하는 것과 가진 것을 효율적으로 연결시켜주는 모든 플랫폼이 공유경제일까?”

 

공유경제라는 단어, 공유허브를 통해서도 신문기사나 논문 등 다양한 글을 통해서도 자주 접하셨죠? 그런데 ‘경제’라는 단어가 주는 어감과 때로는 전체적인 글의 맥락에 맞지 않는 등 해석에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이에 레이첼 보츠먼(Rachel Botsman)이 공유경제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리한 기사가 Collaborative Consumption에 게재되어 그 내용을 번역하여 소개합니다:)

 

전세계에 협력적 소비를 소개하고 주창한 레이첼 보츠먼은협력경제 글로벌 전문가로 그녀의 저서인 “What’s Mine is Yours: How Collaborative Consumption is Changing the Way We Live” 는 국내에 “위 제너레이션”이란 제목으로 소개되기도 했는데요.

 

보츠먼은 우리가 소위 말하는 ‘공유 경제’라는 단어가 는 혼재되어 사용되는 현재 상황에서, 의미에 맞는 적절한 용어를 사용하기 위해 수십개의 연구자료와 기사를 취합해서 흔히 사용되는 용의를 정리했는데요, 조금 더 명확하게 용어를 사용하고, 그 용어에 담긴 의미와 메커니즘을 잘 설명하기 위해 다음의 단어들을 풀어썼다고 합니다.

 

보츠먼이 정리한 공유경제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와 뜻, 함께 알아볼까요?

 

* 본 글은 레이첼 보츠먼의 ‘공유경제와 관련하여 주로 사용되는 용어 정리’를 번역한 글로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 번역 밑에 원문(링크)을 함께 공개합니다.


 

 

• 접근경제 (Access Economy): 상품과 서비스를 소유하기 보다는 상품과 서비스를 받을수 있도록 ‘접근하는 것(access)’에 돈을 지불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접근하여 ‘이용’한다는 의미가 살짝 있었으면 합니다. 단순하게 접근하는 것에 대한 지불이라는 것이 추상적으로 느껴집니다.)

참고: 소유보다는 접근에 요점을 두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Netflix)는 매달 돈을 지불하는 조건으로 영화와 드라마를 무제한으로 볼수있지만, 드라마와 영화를 소유하지는 않습니다. 스포티파이(Spotify)에서는 음악을, 집카(Zipcar)에서는 차를 소유하지는 않으나 빌릴수있지요.

 

 

• Access Economy: Systems that enable people to pay for access to the benefit of goods rather than needing to own them outright.
 

Note: When using this term, consider whether the example is focused on delivering the benefit of access over ownership. For example, people are able to access media content easily from Netflix or Spotify, or access a car from a carclub like Zipcar.

 

 

• 순환경제/순환형 경제(Circular Economy): 재활용을 함으로써 제품과 재료의 수명을 연장시켜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만드는 시스템입니다.

 

참고: 이 단어를 사용할 때에는 그 예가 자원이나 재료를 최대한으로 사용하는것에 초점을 두는지 고려해보세요. 예를 들면 옐들(Yerdle)을 통해 중고 파타고니아(Patagonia) 제품을 살수있고 테라사이클(Terracycle)과 프리저브(Preserve) 를 통해 폐기물을 재활용, 재사용 할수있습니다.
 

• Circular Economy: Systems that generate the most efficient use of resources by extracting maximum value from products and materials while in use, and extending longevity through reuse at the end of a lifecycle.
 

Note: When using this term, consider whether the example focuses on the benefit of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use of a product or material. For example, people are able to buy used Patagonia items through Yerdle, or recycle and repurpose their trash withTerracycle and Preserve.

 

 

• 협력적 소비(Collaborative Consumption): 인터넷이 생기기전에는 불가능했을 소비자 행동, 즉 임대, 대출, 교환, 선물기증, 공유 등을 새롭게 정의하는 소비자 행동 시스템입니다.

 

참고: 이 단어를 쓸 때, 자산 교환을 둘러싼 행동이 기술을 사용함으로서 보다 더 효율적으로 개선 되었는지 고려해보세요. 예를 들어 에어비앤비(Airbnb)는 쓰지 않는 공간을 임대할수 있도록, 이베이(eBay)는 창고 개방을 지역뿐만 아니라 인터넷에 있는 사람들에도 판매할수 있도록 했습니다.
 

 

• Collaborative Consumption: Systems that reinvent traditional market behaviors — renting, lending, swapping, sharing, bartering, gifting — in ways and on a scale not possible before the internet.
 

Note: When using this term, consider whether the behavior around exchanging assets changes and becomes more efficient through technology. For example, Airbnb enables people to rent out their homes and unused spare rooms to guests. Zopa allows people to borrow money from not just their family or friends but from beyond their social circle. And eBay elevates the “garage sale” allowing people to sell their unwanted things to people not just in their locality but to people with access to the internet.

 

 

• 협력적 경제(Collaborative Economy): 비효율적으로 쓰여지는 자원을 ‘필요’로 하는 사람과 그것을 ‘소유’ 하는 사람을 바로 이어주며 거래가 성사될수있게 만들어주는 시스템. 기존과 달리, 중재자와 유통 경로를 거쳐 갈 필요가 없습니다.

 

참고: 이 단어를 사용할 때, 공급자(supply)와 소비자(demand)가 종래의 중재자와 유통 경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지 고려해보세요. 예를 들어 우버(Uber) 는 이동할시 차를 필요로 하는 사람과 그 주변의 운전자를 바로 연결해줍니다.

 

• Collaborative Economy: Systems that unlock value from underused assets* by matching ‘needs’ and ‘haves’ in ways that bypass traditional intermediaries and distribution channels.
 

Note: When using this term, consider whether the example focuses on bypassing the traditional intermediaries to change the dynamics of supply and demand. For example, Vandebron enables people to buy their power directly from independent energy producers. Food Assembly allows people to buy their fresh produce from local farmers. Upcounsel allows people to select and hire an attorney directly from a marketplace. Uber enables people to get car rides directly from Uber drivers in the vicinity.

 

 

• 선물 경제 (Gift Economy): 즉시 지불 혹은 예상되는 미래의 댓가 등 무언가를 지불하지 않아도 상품과 제품을 주는 시스템입니다.

 

참고: 이 단어를 사용할시, 예를 드는 시설이 물품과 서비스를 진정으로 ‘선물’ 하는지 고려해보세요. 예를 들어 카위서핑(Couchsurfing)은 지역주민이 무료로 자신의 소파에서 잘수있도록 이어줍니다.

 

• Gift Economy: Systems that enable goods or services to be given without any immediate payment or expectation of future quid pro quo.
 

Note: When using this term, consider whether the example facilitates true gifting of a product or service. For example, Freecycleenables networks of people who want to give and get stuff for free, Impossible enables people to give away their time, skills and objects within the social network, and Couchsurfing enables people to connect with locals to stay on their couch for free.

 

 

• 긱 경제 (Gig Economy): 기존의 사업구조에서 계약으로 맺어지는 ‘일’ 과 다르게, ‘긱’ 이라는, 독립적인 노동자들이 정해진 시간안에 일하고 보수를 받는 시스템입니다.

 

참고: 예를 들어 포스트메이트(Postmate)는 개당 배달되는 것에 한하여 노동자들의 보수를 주고, 태스크래빗(TaskRabbit)은 심부름을 완료하는 개별 태스크마다 노동자들의 보수를 줍니다.

 

 

• Gig Economy: Systems that break up a traditional company ‘job’ into individual ‘gigs’ that independent workers are paid to do for a defined time.
 

Note: When using this term, consider whether the example changes the nature of work, and the worker relationship between the provider, customer and intermediary platform. For example, TaskRabbit pays task runners for every singular task they fulfil. Uberpays drivers per ride they give passengers. Postmates pays workers per delivery they are able to take.

 

 

• 온디맨드 경제(On-Demand Economy): 즉각적으로 바이어와 셀러를 이어주며 사람이 상품과 서비스를 필요로 할시 바로 배달, 전달하는 시스템입니다.

 

참고: 이 단어를 쓸 시, 그 사례가 즉각적인 편리함이나 만족감을 주는 시간에 기반한 혜택인지 고려해주세요. 예를 들면 아마존 프라임(Amazon Prime) 멤버십은 배송을 더 신속히 처리하며 도시와 근접한 경우 한시간 내에 배송됩니다.

 

 

• On-Demand Economy: Systems that instantly match buyers and sellers to deliver goods and services immediately when people need them.

 

Note: When using this term, consider whether the example is focused on time-based benefits such as immediate convenience or instant gratification.Instacart allows people to get their groceries delivered in an hour. Drizlyallows people to get liquor delivered in under an hour. Amazon Primemembership expedites shipping and enables people to receive their orders within the hour if they are in the metropolitan area.

 

 

• 피어 경제 (Peer Economy): 개인간에 자산 교환을 직접적으로 할 수 있도록 촉진함으로써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하는 시스템입니다.

 

참고: 이 단어를 쓸 때, 피어 투 피어 (peer to peer) 메카니즘을 활용하는지 생각해보세요. 예를들어 엣시(Etsy)는 공예품을 제조하는 예술가와 독특한 수제제품을 원하는 소비자를 이어주며, 리프트(Lyft)는 차량 공유를 원하는 사람들과 승차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전자들을 연결해줍니다.

 

 

• Peer Economy: Systems that connect buyers and sellers facilitating the exchange of assets directly between individuals.
 

Note: When using this term, consider whether the example uses a genuine peer-to-peer mechanism. For example, Transferwisematches people based on the currency they have and require in order to make a currency swap.Etsy connects makers of crafts with buyers looking for unique or handmade products. Lyft connects people looking for a car ride with everyday drivers offering services.

 

 

• 렌탈경제(Rental Economy): 자산을 소유하기보다는 수수료를 내고 빌리는 시스템입니다.

 

참고: 자산을 사용/빌리기 위해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지 생각해보세요. 예를 들어 렌트더런웨이(Rent the Runway)는 소비자들이 디자이너 옷을 빌릴수있도록 해주며, 겟터블(Getable)은 회사들이 건설 장비를 대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 Rental Economy: Systems that enable people to rent assets for a fee rather than needing to own them outright.
 

Note: When using this term, consider whether the example asks for a fee in exchange for rental of a good. For example, Rent The Runway allows people to rent designer clothes, Chegg allows people to rent textbooks, and Getable allows companies to rent construction equipment.

 

 

• 공유경제(Sharing Economy): 단체간 혹은 개인간의 충분히 활용되지 않은 자산이나 서비스의 공유를 무료 혹은 수수료를 받고 촉진시키는 시스템입니다.

 

참고: 이 단어를 사용할 때, 그 예가 충분히 이용되지 않은 자산, 공간, 제품, 기술의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행동이 공유를 포함하는지 보도록합니다. 예를 들어 피어바이(Peerby)는 이웃들과 제품을 공유할수있도록 도와줍니다.

 

 

• Sharing Economy: Systems that facilitate the sharing of underused assets* or services, for free or for a fee, directly between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Note: When using this term, consider whether the example unlocks the value of an *underused asset be it space, skills or stuff, and whether the user behavior involves sharing. For example, Cohealo allows hospitals to share equipment when it’s not in use. BlaBlacarenables people going on long-distance trips to share their empty seats. Peerby enables neighborhoods to share goods.

 

 

– ‘Idling Capacity’ is the term used to describe the untapped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value of underused assets.

유휴자산(잉여 잠재력)은 충분히 활용되지 않은 자산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인 잠재 가치를 설명할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원문http://www.collaborativeconsumption.com/2015/11/12/the-sharing-economy-dictionary-of-commonly-used-terms/ 

 


작성자 : 아지 / 작성일 : 2016.07.20 / 수정일 : 2023.03.31 / 조회수 : 27532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