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시민교육 (김동춘, 2000)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6.03.29 / 수정일 : 2021.06.22
김동춘, 2000, 「시민교육」 『NGO란 무엇인가』 아르케

이 글은 기존 정당이 정책정당으로 탈바꿈하고 시민운동 혹은 비정부기구가 정부와 정당을 효과적으로 견제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며 시민들의 활발한 참여는 높은 사회의식과 정치의식을 전제로 한다는 관점에서 시민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하는 글이다. 필자에 따르면 시민교육은 다양한 세계관과 사조에 대한 이해, 상호 차이에 대한 관용, 개인과 인권과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인식, 사회와 국가 공동체에 대한 올바른 정치적 태도의 결정, 사회구성원과 인류에 대한 책임 등 민주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의식을 배양하는데 주안점을 두는 교육을 의미한다고 한다. 한국의 경우에는 입시교육 위주이기 때문에 시민교육을 통해 시민사회의 기본가치에 헌신하고 민주주의의 제반 과정과 절차에 익숙한 시민을 양성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의 시민교육이 민주주의제도, 법률, 민주주의의 기본 가치, 민주주의의 과정과 절차, 전통과 민주주의 문화, 정보화, 지방화 및 국제화, 남북한 관계, 통일, 국제관계, 사회문제, 정치현안을 내용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제시한다. 추가로 무임승차 문제, 내가족중심주의 문제, 극복과 공공사안에 대한 관심 및 사회적 주체로 나서는 것을 독려하는 내용을 담아야 한다고 제시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민단체, 활동가는 교육 내용과 방법론을 개발해야 하고 재정지원도 필요하다고 한다. 이 글은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의 한국의 정부, 시민단체에서 실시되는 시민교육을 개괄하고 정리하며 문제점을 살피고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는 글이다. 

*저자 소개

김동춘
1959년 경북 영주에서 태어나 서울대 사범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사비평』과 『경제와 사회』 편집위원, 참여사회연구소 소장, 진실ㆍ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을 역임했으며, 2004년 한겨레신문 선정 '한국의 미래를 열어갈 100인'으로 뽑혔고, 2006년에는 제20회 단재상을 수상했다. 현재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황해문화』 편집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 『1960년대의 사회운동』(공저, 까치, 1991), 『한국사회노동자연구』(』(역사비평사, 1996), 『한국사회과학의 새로운 모색』(창비, 1997), 『분단과 한국사회』(역사비평사, 1997), 『자유라는 화두』(공저, 삼인, 1999), 『근대의 그늘』(당대, 2000), 『전쟁과 사회』(돌베개, 2000), 『IMF 이후 한국의 빈곤』(나남, 2000), 『NGO란 무엇인가』(공저, 아르케, 2000), 『독립된 지성은 존재하는가』(삼인, 2001), 『한국 시민사회의 변동과 사회문제』(공저, 나눔의집, 2001), 『국가폭력, 민주주의 투쟁, 그리고 희생』(공저, 함께읽는책, 2002), 『전쟁과 사람들』(공저, 한울, 2003), 『한국의 언론정치와 지식권력』(공저, 당대, 2003), 『미국의 엔진, 전쟁과 시장』(창비, 2004), 『편견을 넘어 평등으로』(공저, 창비, 2006), 『우리 안의 보편성』(공저, 한울, 2006), 『1997년 이후 한국사회의 성찰』(도서출판 길, 2006), 『복합적 갈등 속의 한국 민주주의』(공저, 한울, 2008), 『한국 민주화와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동학』(공저, 한울, 2009), 『리영희 프리즘』(공저, 사계절, 2010), 『인문학 박물관에서』(공저, 인물과사상사, 2010), 『생각해 봤어?: 인간답게 산다는 것』(공저, 교육공동체벗, 2012), 『대한민국 잔혹사』(한겨레출판, 2013),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사계절, 2013)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전쟁과 사회』는 2005년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주빈국이 뽑은 '한국의 책 100권'에 선정된 바 있다. 아울러 이 책은 2010년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홍콩 등을 대표하는 '동아시아 100권의 인문도서'로 선정되었으며, 독일어, 영어, 일본어로 번역ㆍ출판되었다. 
은 책으로는 (공저), <아시아의 시민사회>(공저), <시민사회와 시민운동>(공저) 등이 있다. 


*목차

1 시민교육의 의의와 영역
2 한국의 시민교육의 역사
3 시민의식, 시민운동과 시민교육
4 시민사회 교육의 현황
  1) 제도권에서의 시민교육
  2) 시민운동과 시민교육
5 시민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6 시민사회 교육의 문제점과 방안
7 맺음말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6.03.29 / 수정일 : 2021.06.22 / 조회수 : 21839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