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그람시적 시민사회론과 비판이론의 시민사회론 /김호기, 1995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4.11.27 / 수정일 : 2020.06.19
이 글은 시민사회론의 부활의 배경에서 한국적 수용을 위한 탐색으로써 시민사회의 정의, 시민사회와 국가 및 경제와의 관계, 시민사회의 실천전략에 대해 이론적으로 엄밀화 하기 위한 작업으로써 그람시적 시민사회론과 비판이론(하버마스 외)의 시민사회론을 고찰하는 글입니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그람시와 비판이론의 시민사회와 공공영역에 대한 논의를 다루며 시민사회가 해방의 보루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체계의 복합성과 강제성의 증가에 따른 생활세계의 식민화를 저지하는 것이 시민사회의 일차적 과제라고 주장을 도출합니다. 그리고 시민사회론이 대의제민주주의와 직접민주주의의 효과적인 결합방식, 경제의 재조직화 민주화 전략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시민사회론의 역할과 관련된 이론적 기초를 쌓는데 도움이 될만한 글입니다.

김호기. 1995. 「그람시적 시민사회론과 비판이론의 시민사회론」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한울.

저자소개

1960년 경기도 양주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빌레펠트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1992년 이래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정치사회학, 시민사회론, 현대사회론, 진보와 보수 등을 가르쳐오고 있습니다. 미국 UCLA 사회학과 방문학자를 지냈고, 참여연대 정책위원장, 노무현 정부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최근에는 한국정치사회학회 부회장, 좋은정책포럼 공동대표로 일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지은 책으로는 『현대 자본주의와 한국사회』(1995), 『한국의 현대성과 사회변동』(1999), 『한국의 시민사회, 현실과 유토피아 사이에서』(2001), 『말, 권력, 지식인』(2002), 『한국 시민사회의 성찰』(2007), 『세계화 시대의 시대정신』(2007), 『시대정신과 지식인: 원효에서 노무현까지』(2012) 등이 있고, 엮은 책으로는 『현대 비판사회이론의 흐름』(2001) 등이 있습니다.


목차

문제제기
2. 시민사회와 공공영역
3.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4. 시민사회론의 한국적 수용과 적실성에 대한 약간의 논평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4.11.27 / 수정일 : 2020.06.19 / 조회수 : 24403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