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력향연] 2021 활력향연 연구보고서(01~03)
NPO센터발간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1.12.13 / 수정일 : 2023.03.29

[2021 활동가연구지원사업] 활동가 역량향상을 위한 연구, 활력향연 

<활력향연>은 공익활동가들이 스스로 연구주제를 탐색하고 개발하여 필요한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연구과정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만들 수 있도록 돕습니다.



  01. 미미시스터즈_참전군인의 평화 활동에 대한 연구

☞석미화/빨간연두_ dholggot@gmail.com
 

강낭콩을 좋아하고 닉네임은 빨간연두입니다. 어딜가나 식물에 물 주는 일을 도맡게 되는데, 반려식물을 키우는 취미가 있다기 보다는 혼자 말라가는 풀을 보며 측은지심이 발동해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연민이 많아 식물, 동물, 사람을 가리지 않습니다. 그런 마음이 역사와 평화를 만나게 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평화활동가로 살며 과거와 미래를 잇는 일에 골똘한 1인입니다.  

☞최나현/짜미_skguschl@naver.com
평화가 가장 쉽고 가장 어려운 평화활동가. 아직도 자기소개가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 사람. 누구와든 대화하고 어떤 주제든 끼어들고 싶어 남몰래 부지런히 보고, 듣고, 쓰고, 읽습니다. 누군가 '세상에서 가장 쓸모없는 일'이라 말하는 것들을 할 때 가장 행복합니다. 의제와 이슈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경계인이고 싶습니다.
 
 

Chapter 1. 들어가며

​한 걸음, ​길을 나서다
​두 걸음, ​나의 삶으로 이어진
​세 걸음, ​평화의 주체로 참전군인 바라보기

Chapter 2. 그를 만나는 방법
기존 연구와 차별성
개념적 배경과 실천적 접근

​Chapter 3. ​참전군인의 평화활동을 찾아서: 한국사례
​인터뷰 ​평화를 사랑하는 제대군인 여러분을 모십니다:
          평화재향군인회와 표명렬
​인터뷰 ​월남에 가지 않았더라면 어땠을까? : 김낙영
​인터뷰 ​할아버지가 전쟁이야기 해줄게 : 양정석
​인터뷰 ​항상 빚을 지고 있다고 생각해 : 류진성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전쟁을 겪는 사람들 

​설문조사 ​참전군인이 생각하는 평화란?
 

Chapter 4. 참전군인의 평화활등을 찾아서: 미국사례

VFP (Veteranss For Peace)
VVAW (Vietnam Veterans Against The War)
피테, 테트 그리고 앤드루


Chapter 5. 나가며
​참전군인을 평화활동 동료로 초대하기

​보고서에 담지 못한 이야기
석미화의 에필로그 

최나현의 에필로그





02. 여성들의 정의로운 전환_가중되는 기후위기, 이주여성농업노동자, 쪽방촌여성


☞ 정은아_ejung150@gmail.com
 

제일 자신 있는 일은 빈둥거리기, 좋아하는 일은 놀러다니기, 장래희망은 아마추어 운동선수와 배우, 작가입니다. 여성평화·통일운동을 하다가 기후위기를 젠더 관점에서 분석하고 대응하고 싶어 정의로운전환을위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에서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퀴어, 페미니즘, 평화, 기후정의를 엮어내고자 여기저기 기웃대고 이것저것 배우고 이사람저사람 만나고 다닙니다. 기후위기와 여성의 삶을 꿰어 멋진 연구결과물을 내고싶었으나 좌충우돌 연구기록담에 가깝게 되었네요. 그래도 동료와 활력향연 덕에 첫 발을 떼었으니 다음 목적지로 또 대책없이 가볼까 합니다.  


☞ 하바라_vara0327@hanmail.net

120살 무병장수 시대에 기후변화로 일찍 죽기 싫습니다. 사랑하는 사람들과 더 오래 더 행복하게 살기 위해 기후변화도 막고, 사회문제도 해결할겁니다. 그 길을 찾아가는 과정에 국제환경학과 환경정책을 공부하고, 지금은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약자와 소수자를 착취하고 그 착취를 정당화하는 사회에서 인간과 인간의 서식지는 함께 죽어갑니다. 가장 오랜기간, 체계적으로 착취당한 여성의 삶은 기후변화로 더 큰 위기에 처하게 됩니다. 이번 연구가 가장 오래되고 깊숙한 사회의 불평등 구조와 기후위기로 인한 미래를 잇는 작은 한걸음이 되길 바랍니다.  

  

 

​Ⅰ 서론


Ⅱ 연구 설계와 연구방법
1. 연구목표와 범위 접근방식
2. 사전 인터뷰
3. 자문회의
4. 집담회

​Ⅲ 문헌연구
​1. 기후위기 이해
2. 기후정의와 젠더정의의 연계
3. 기후위기와 재난의 성차별적 영향
4. 재난의 성차별적 영향을 다시 검토하기
1) 쪽방촌 여성 주민
2) 장애여성
3) 청소년 성소수자

Ⅳ 사례연구
​1. 이주여성농업노동자
1) 고용허가제와 종속된 노동 

 


2) 폭염, 혹한, 호우와 이주여성농업노동자
3) 논밭 옆 컨테이너 비닐하우스 기숙사
4) 코로나19, 고립과 지원체계 미비 

5) 이주노동자, 스스로를 구하다 

​2. 동자동 쪽방촌 여성 주민
1) 쪽방은 여성에게 공포와 고립의 공간
2) 최소한의 시설조차 마련되지 않은 비싼 집
3) 공공주택사업 문제, 이사 문제
4) 정보 접근성이 부족한 쪽방촌
5) 어려움 속에서 서로 돕는 여성들

3. 비교분석과 시사점

​Ⅴ 결론

​에필로그
​참고문헌
​부록 

  



03. 이산_성평등 관점의 문화예술공공영역 성폭력사건처리절차를 위한 연구 : 제도 깊숙이, 월담하는 말하기


☞ 이산_genderartlabt@gmail.com
 

여성으로 살며 겪는 삶의 이야기를 엮어 관객을 만나는 마임창작자, 연극배우. 성평등작업실 이로에서 교육내용을 개발하고 강의를 진행하는 성평등교육활동가. 문화예술계에서 발생하는 젠더폭력을 다루고 성평등한 창작환경을 만드는 활동에 늘 관심이 있다.
 

 

 

 

​1. 들어가며


2. 문화예술계 내 반성폭력 운동의 주요 이슈
(1) 불안정한 활동환경에서 상대적으로 커지는 가해자의 위력
(2) 문화예술 공공영역의 성폭력 사건 처리 절차 부재

​3. 연구방법

4. 인터뷰 분석
​4-1. 문화예술계와 타 분야 공공기관 내 성폭력 관련 공통 이슈
(1) 피·가해자 활동 영역 분리의 중요성
(2) 조직 내 이해관계에 따른 가해자 비호
(3) 조직 전반의 성인지 역량 부족
(4) 가해자의 이중적인 태도
(5) 가해자 처벌과 피해자 지원 제도의 공백

​4-2. 제도의 공백을 메우는 예술계의 노력
(1) 성폭력 피해 사실을 공개하여 가해자 제재 요구
(2) 조직 내 절차를 직접 구축하며 사건을 처리 


4-3. 문화예술계 내 성폭력 사건 처리 경험에서 드러난 어려움

 


(1) 프로젝트 종결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

(2) 피·가해자 분리 및 징계의 현실화를 위한 노력 

(3) 사건 처리 절차와 분리되지 않는 일상

5. 문화예술계 공공영역 사건 처리 절차 마련에서 고려해야 할 공공영역의 직장 내 성희롱 인식과 제도 운영 실태

(1) 성폭력의 비가시화를 사건 해결보다 우선시하는 태도
(2) 관리자급의 몰이해와 책임 회피
(3) 독립성과 전문인력, 역량강화지원의 부족

​6​. ​문화예술 공공영역 성폭력 사건 처리 절차 구축을 위한 제언
(1) 장르·지역·산업별 성인지 역량 강화 활동 지원
(2) 문화예술계 인권침해 전반에 대한 공공영역의 개입 강화
(3) 공공지원 사업과 관련된 성폭력 사건 처리 규정 확보
(4) 문화예술계 성폭력 예방 및 대응 지원을 위한 전문기관 확대
(5) 피해자 보호 방안 구체화 및 재발 방지 교육 연계망 구축

​7. 나가며
​참고문헌
 




첨부파일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1.12.13 / 수정일 : 2023.03.29 / 조회수 : 18633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