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지속가능한 공익활동 지표 개발 연구(2020)
NPO센터발간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0.12.24 / 수정일 : 2020.12.28



이 연구는 공익활동가의 지속가능한 삶과 활동에 대해 당사자인 활동가들은 어떤 인식을 갖고 있으며, 이들 인식 속에서 잠재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잠재요인이 존재한다면 활동가들이 응답한 전반적인 지속가능성에 이들 요인이 어느 정도의 설명력을 갖는지 탐색해 보고자 진행되었습니다.

아울러 이 연구는 2019년 서울시NPO지원센터 NPO참여예산제 사업으로 진행된 '공익활동가의 지속가능한 삶과 활동을 위한 지원방안 수요조사'의 후속 작업으로서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한 측정 준거를 마련하고, 활동가의 사회적 안전망 구축과 공적 지원체계 수립의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중장기적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연구를 통해 공익활동가가 인식한 지속가능한 삶과 활동에 대한 요인은 다음과 같이 크게 9가지 범주로 추출되었습니다.
▲조직문화, 
▲활동만족도, ▲학습과 쉼, ▲역량, ▲급여, ▲활동가정체성, ▲동료관계, ▲건강, ▲스트레스라는 각 요인별 세부 설문항을 토대로 향후 공익활동가의 지속가능한 활동 지수를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공익활동가들의 활동환경이 개선될 수 있는 지표(indicator)로서 작동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연구목적
  - 활동가의 지속가능한 공익활동을 위한 측정 지표 수립
  - 활동가의 사회적 안전망 구축에 필요한 요소 도출을 통해 공적 지원체계 수립을 위한 제도적 근거 마련

■ 연구기간 : 2020년 9월 10일 - 12월 18일
​ 연구수행기관 : 비영리단체 녹두씨알
■ 연구협력기관 : 공익활동가사회적협동조합 동행
​ 참여연구원
   - 책임연구원 : 이형진(성공회대학교 교수)
   - 공동연구원 : 김승균(가톨릭대학교 사회혁신센터 센터장), 이상기(녹두씨알 대표), 김대용(인권재단사람 이사, 경기북부평화시민행동 공동대표), 정이채(한국주민운동교육원 이사)
    

■ 목차
1. 요약
2. 서론 : 연구배경과 목적
3. 연구대상과 방법
4. 연구결과
  ​ 응답자 특성
   공익활동가가 인식한 지속가능한 삶과 활동에 대한 요인_탐색적 요인 분석
  추출된 요인과 공익활동가가 응답한 전반적 지속가능성과의 관계_회귀분석
  ​ 응답자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 비교분석
5. 결론 : 함의와 한계
참고문헌
부록

■ 함께보면 좋은 자료
    공익활동가들의 삶과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한 지원 수요조사 (2019)

 
 


첨부파일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0.12.24 / 수정일 : 2020.12.28 / 조회수 : 12745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