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아카이브32] 다양한 운동과 연대의 방식
기획아카이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1.05.28 / 수정일 : 2021.06.28

사회적 변화와 기술적 변화에 따라 시민활동의 형태 역시 다분화되어 왔습니다. 특히 코로나19로 다수가 모이는 일이 어려워지면서, 각자의 자리에서 일상적으로 참여와 연대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가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 만큼이나 더 많은 사람들과 생각을 공유하고 확산시키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32번째 기획아카이브에서는 개인과 집단, 시민단체, 국제사회 등 다양한 주체가 서로의 목소리를 엮고 펼쳐 나가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운동 방식을 소개합니다. 더불어 해외에서 두드러지고 있는 홍보 방안도 함께 모았습니다. 

소리 없이 전하는 마음

1 / 세월호를 기억하는 노란 리본
2014년 발생한 세월호 참사 이후 7년여가 흘렀지만 지금도 많은 시민의 가방과 소지품에는 세월호를 기억하는 노란 리본이 달려있습니다. 전 국민이 마음 졸였던 사안임에도 관련자 처벌이 소홀했고,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진실이 남아있기 때문이죠. 시간이 지나면서 여론의 관심은 줄었지만, 이따금 지하철에서, 길거리에서 마주치는 노란 리본을 통해 “우리”가 같은 것을 추모하고, 또 바라고 있음을 확인하게 됩니다.

2 / 매일의 소지품에 담은 가치관
노트북, 태블릿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와 매일 쓰는 플래너 등에 지지하는 단체나 브랜드의 로고 혹은 메시지를 담은 문구를 스티커로 붙여본 적 있으신가요? “굿즈”를 통한 모금이 활성화되면서 비용이 저렴하고, 탈부착이 쉬운 스티커로 각자의 정치적 성향이나 가치관을 표현하는 경우가 부쩍 늘어났습니다. 특히 페미니즘이나 성 소수자 인권 의제 등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운동의 방식으로, 그립톡 등 핸드폰 액세서리를 비롯해 에코백, 티셔츠, 수건, 텀블러 같은 물건으로 제작하기도 합니다. 

 

출처: 한 장의 페미니즘으로 세상과 맞서다 https://tumblbug.com/mersgall4?ref=discover

3 / 문자 한 통으로 힘을 얹는 방법

최근 시민사회에서는 문자 후원 등을 통한 일시 후원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정기후원과 달리 경제적 부담이 덜하고 단체를 선정하는 데에 드는 노력과 고민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차별금지법 제정과 같이 특정 의제에 집중적으로 후원하고 싶은 경우 효과적인 방법이 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한국여성의전화(#2540-1983)나 한국여성민우회(#2540-3838)의 문자 후원은 터무니없는 성범죄 판결에 분노할 때도, 낙태죄 위헌 결정을 환영할 때도 즉각적인 후원의 형태로 많은 사람에게 호응을 얻었습니다.



주변과 연결되고 공유되는 마음

 

1 / 해시태그를 통한 SNS에서의 확산

코로나19로 광장에 모일 수 없었던 2020년, 퀴어퍼레이드는 새로운 장소를 찾았습니다. 닷페이스가 제안한 #우리는없던길도만들지 캠페인은 각자의 아바타를 만들어 행렬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기획되었는데요. 무려 8만 개가 훌쩍 넘는 게시글이 인스타그램 피드를 빼곡히 채웠습니다. 이후 故 변희수 하사의 추모를 위해서 제안된 #너의내일을우리가지킬게 역시 많은 사람의 참여로 이어졌죠. 이 외에도 일회용품 대신 다회용기로 음식 포장을 하는 #용기내챌린지와 같이 인증샷을 공유하는 챌린지 형태의 해시태그가 대중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2 / 자리를 지켜 목소리를 키우는 1인 시위

정부 기관 등 관공서 건물 앞에 홀로 서서 변화를 촉구하는 1인 시위는 이제 우리에게 익숙한 모습이 되었습니다. 집회의 ‘규모’로부터 자유로워진 만큼, 변화를 촉구하거나 억울함을 호소하는 등 개인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습니다. 2000년 12월 참여연대 윤종훈 회계사가 국세청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를 조직한 것이 계기가 되어, 20여 년이 흐르는 시간 동안 1인 시위는 ‘개인’의 목소리와 필요를 사회에 전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소비자의 입장으로 맞댄 마음

1 / “불매운동”을 통한 소비자 주권의 실천

남양을 대상으로 한 불매운동에 불이 붙은 건 2013년 대리점 갑질 논란 때문이었습니다. 이후 2015년 성차별 인사 폭로에 이어 가장 최근 코로나19 관련 허위사실 유포로 인한 영업정지까지 소비자들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계속해서 남긴 기업이죠. 이에 남양유업은 브랜드 이름이나 라벨 디자인을 통해 제조사 정보를 가리려고 했으나 오히려 역풍을 불러일으켰고, 이에 대항하는 “남양유없” 서비스가 출시되기도 했습니다. 2016년 가습기살균제 사건으로 시작된 옥시 불매운동 역시 지금까지 지속해오고 있으며, 그 사이 옥시는 RB 코리아 등의 이름을 이용해 사업을 이어왔습니다. 최근에는 직접적인 불매운동 외에도 화장품 포장재 플라스틱 어택 등을 통해 기업의 변화를 촉구하는 소비자 운동이 활성화되는 경향입니다.

2 / 개인정보와 소비자 권리를 지키기 위한 집단소송

최근 KT의 기가 인터넷 속도 저하 문제로 불편을 겪은 소비자들의 고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참여연대는 이번 사태에 앞서 핸드폰 통신요금 인하 요구를 통해 소비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통신의 공공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이어왔는데요. 지난 2014년 카드사들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 제기된 집단 소송은 2019년 대법원의 위자료 10만 원 지급 판결로 마무리되기도 했습니다. 관련하여 최근 법무부는 집단소송법 제정안을 입법 예고하였습니다, 소비자의 권리를 보장하는 법 제도가 어떻게 정착될 수 있을지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시공간을 초월하여 닿는 마음

1 / 국경을 초월한 연대의 힘

시민사회의 주요한 임무 중 하나는 국제연대를 통해 변화를 앞당기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환경, 여성, 노동 등의 의제뿐만 아니라 외국의 정치 상황에도 국제사회가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군부 쿠데타에 맞선 미얀마의 민주화 운동을 지지하기 위해 2021년 결성된 미얀마광주연대 등은 한국의 민주화 경험으로 쌓인 공감과 소통을 통해 국내에서도 목소리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홍콩, 팔레스타인에서 일어난 폭력적 강압에 규탄과 지지의 입장을 표명하거나 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는 난민들에 연대하는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2 / 시민사회의 성취를 기념하고 앞으로 나아가기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시는 지난 2001년 세계 최초로 동성혼 법제화를 이끌어 냈습니다. 암스테르담 시청과 시민단체들은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시민결합제도를 기념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상의 행사를 조직하였는데요. 코로나19 국면으로 인해 대규모의 프라이드 퍼레이드가 열릴 수는 없었지만, 성 소수자의 인권을 진전시키는 데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역사적 장소들을 개인이 방문할 수 있도록 도보 투어 지도를 배포했습니다. 또한 사진에 적용할 수 있는 필터를 배포해 SNS상으로 캠페인이 확산되도록 하고, 각자의 집이나 사무실 창문에 연대의 메시지를 전할 수 있도록 시민 결합 20주년 포스터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한편, 20년이라는 시간 동안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성 소수자 인권 의제를 고민하는 심포지엄도 함께 마련되었습니다.

출처; 암스테르담 시민결합 20주년 기념 홈페이지 https://www.amsterdam.nl/20-jaar-trouwen-iedereen/

변화가 빠른 한국 사회인 만큼, 과거의 성취와 현재의 과제, 미래의 방향을 톺아보는 일은 매우 중요합니다. 시민운동이 성장해 온 지난 30여 년 간 우리 사회의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기록하고, 기억함으로써 더 나은 세상으로 나아가기 위한 시사점들도 찾아볼 수 있겠죠. 시의성 있는 화두를 발굴하고 제시하는 것만큼이나 효과적인 수단과 방법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번 아카이브가 각자의 위치와 소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하고, 나아가 새로운 방법을 상상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길 바랍니다.  

 

출처
 

[4·16재단] 세월호 참사 후 7번째 봄, 아직 잊지 않았습니다. (커버사진) https://www.ohmycompany.com/reward/10025


[닷페이스] "삼풍도, 대구도, 세월호도 해결 안 된 건 똑같아요" | 세월호는 달라야 하는 이유 https://www.youtube.com/watch?v=wauHQcAWBV8

-

[차별금지법제정연대] https://equalityact.kr/

-

[닷페이스] #우리는없던길도만들지 https://www.instagram.com/tv/CCnmwKTgh1Q/?utm_source=ig_web_copy_link


[닷페이스] #너의내일을우리가지킬게 https://www.instagram.com/tv/CNUztTfg70s/?utm_source=ig_web_copy_link


[인스타그램] #용기내챌린지 https://www.instagram.com/explore/tags/%EC%9A%A9%EA%B8%B0%EB%82%B4%EC%B1%8C%EB%A6%B0%EC%A7%80/

-

[참여연대史] 깃발의 상상력 - 1인시위 http://www.peoplepower21.org/Magazine/1010465

-

[남양유없] https://isnamyang.nullfull.kr/


[변화사례아카이브] 소비자 권리 찾기, 통신요금 인하 운동은 누가 이끌어냈을까요? https://blog.naver.com/snpo2013/222114201196


[변화사례아카이브] 주민등록번호 변경 및 개인정보보호법 제정 캠페인은 누가 이끌었을까요? https://blog.naver.com/snpo2013/222102859504

-

[시사IN] 한국·홍콩·타이·미얀마, 민주주의 열망하는 4개국 청년이 만났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625


[아카이브] 미얀마, 봄 https://www.notion.so/79e17c2ce3294f6b9c4724e7b88d09c3


[미얀마광주연대] https://www.facebook.com/Gwangju.Solidarity.Miyanma/

-

[해외사례] 암스테르담 시민결합 20주년 기념 홈페이지 https://www.amsterdam.nl/20-jaar-trouwen-iedereen/


[해외사례] 암스테르담 시민결합 20주년 기념 도보 투어 지도 https://storymaps.arcgis.com/stories/e0c5764620b14a9f904786e9b234fbdb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1.05.28 / 수정일 : 2021.06.28 / 조회수 : 1192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