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대학원 갈까 말까 고민 중이라면
실무도구 / by 알책 / 작성일 : 2022.10.26 / 수정일 : 2022.10.27

안녕하세요, 정보 큐레이터 알책입니다 :) 


요즘 지인들과 대화에서 빠지지 않는 주제가 있어요. 바로 대학원. 저 역시 몇 년 전부터 대학원 과정을 알아보고 올해부터 다니기 시작했고, 알고 보니 제 주변에도 이미 다녀왔거나 다니는 분들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근황 토크에 빠지지 않는 주제가 된 것 같아요. 이야기를 나누다 문득 궁금해집니다. 다들 어떻게 알아보고 다니게 되었는지, 전공은 학사 전공을 이어갔는지, 새롭게 공부하고 싶은 주제가 있는 건지, (눈물없이 들을 수 없는) 논문 작성 경험, 대학원은 학비 부담이 꽤 될텐데 지원을 받았는지 등 얘기를 나누다 보니 이곳 아카이브에도 공유하면 좋을 것 같아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시민사회, 사회적경제, 소셜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활동가, 직장인 분들 중 대학원 진학에 관심이 있다면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2022년도 두 달 남았는데요, 내년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 아무쪼록 조금 더 공부하고 성장하고자 하는 마음, 응원합니다! 


—----------- 


  1. 대학원 소개 (국내 한정)


우리나라에 어떤 대학원들이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사이트는 여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www.gradmap.co.kr/?ckattempt=1  이 외에도 김박사넷(클릭)도 많이 찾더라고요. 


대학원 선택 이유는 전공으로 선택하는 것이 1순위겠지만, 위치나 형태별로 대학원을 선택할 수 있는데요. 대학원 종류도 전일제로 공부가 곧 과업(!)이 되는 일반대학원과 직장을 다니며 야간에 다닐 수 있는 특수, 전문가과정 등으로 다양하게 나뉩니다. (공부하는 직장인이라는 신조어, 셀러던트가 이 때문에 생겨났죠)


이 중에 공공정책, 사회적경제 전공이 있는 대학원들을 소개하고자 해요. (단, 순위로 소개하는 게 아닌 단순 나열입니다)  


 

<이미지 출처 : 이화여대 사회적경제 협동과정 사이트> 


1-1. 이화여대 일반대학원 사회적경제 협동과정    


국내 최초로 사회적경제협동과정(석박사 과정을 운영 중인 이화여대는 포용과 다양성을 통한 사회적 유대의 복원이라는 비전 아래 15개 학과가 마련되어 있는데요. (사회복지학과, 건축학과, 경영학과, 경제학과, 기후 에너지시스템공학과, 미디어 인터랙션 디자인, 법학과, 북한학과, 사회학과, 법학과, 소비자학과, 에코크리에이티브, 융합보건학과, 인텔리전스테크놀로지디자인, 특수교육학과, 행정학과) 


창업아카데미, 인턴십, 현장 탐방 등 다양한 비교과 활동으로 네트워크 연계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창업을 지원하기도 하고요. 

 

관련 링크 

http://my.ewha.ac.kr/se/


<이미지 출처 :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사이트> 


1-2. 부산대학교 학과 간 협동과정_사회적기업학 전공 등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사회적기업 석사과정을 개설한 곳이 부산대학교라고 해요. 이화여대, 부산대 외에도 한양대, 카이스트, 성공회대, 원광대 등에 사회적경제 석박사 과정이 있습니다.   


관련 기사 링크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6851
 


            <이미지 출처 :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사이트 > 


1-3.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공공인 양성을 위해 공공분야 학제간 연구와 교육, 글로벌 공공성에 기여하는 미션 비전으로 정책학과, 의료관리학과, 사회복지학과, 시민사회 NGO학과, 글로벌거버넌스학과 6개 학과 9개 전공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다양한 특전이 있어요. (모집요강집 참고) 


특전 1.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취득자로 자격증관련 과목 이수자는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특전 2.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취득자로 소정의 과목을 이수하면 경희대학교 총장 명의의 케어매니저자격증을 수여할 수 있습니다. 

특전 3. NGO 단체 근무자에게는 등록금의 30%(입학금 제외)를 장학금으로 지급합니다. (단, 시민사회·NGO학과, 글로벌거버넌스학과 전공자에 한함) 

특전 4. 학업성적이 우수하고 모범이 되는 학생에게는 일정금액의 장학금을 지급합니다. 

5. 공공대학원은 다양한 장학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가져온 이미지에 나타나듯이 지금 2023년도 전기 과정 모집 중이니(11/18까지) 살펴보세요! 


관련 링크 

https://pnc.khu.ac.kr/pnc/user/bbs/BMSR00049/view.do


1-4. 경희대학교 외에도 서강대, 한양대학교, 세종대, 아주대에서 공공대학원을 운영하고 있고 서울여대 공공빅데이터관리학과 학/연/산 협동과정 등이 있으니 관련 전공 소개나 기 졸업생들의 글을 찾아보면 전공 선택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거예요. 



  1. 대학원생 지원사업 


2-1. 한국장학재단 


대학원을 다니겠다 다짐해도 보통 500만원의(사립대 기준 학비를  4~5학기 동안 내야 되기에  학비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한국장학재단에서 운영하는 장학금 제도가 있습니다. 또한 낮은 이자로 학자금 대출을 해주는데요, 만 55세까지 가능해요.  


관련 링크 

https://www.kosaf.go.kr/ko/main.do



2-2. 서울시NPO지원센터 장학지원사업  
 



<이미지 출처 :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이트>

서울시NPO지원센터가 개관한 2013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지원하고 있는 사업이 있다면 바로 이 대학원 석사 과정 지원사업일 거예요. NPO 상근 활동가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경희대학교 , 성공회대, 한양대학교와 함께 석사과정 장학지원사업을 진행합니다. 


매년 전기, 후기를 나누어서 모집하고요. 비영리단체에 재직 중인 공익활동가 대상으로 매 학기마다 등록금의 30-40%를 지원합니다.     


관련 링크 바로가기 (링크 클릭)

 


2-3. 아카루트 논문투고료 지원사업 
 

<이미지 출처 : 아카루트 사이트>

 

대학원생이라면 논문의 세계에 새로이(!) 눈을 뜨게 되는데요. 다수의 연구원이나 기업 재단에서 연구 지원사업이 찾으면 많이 있더라고요. 그 중에서도 이런 논문 투고료 지원사업이 상하반기로 나눠 지원을 하고 있으니 인문학, 공학, 사회과학, 예술체육학, 자연과학 전공 대학원생이라면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관련 링크 바로가기 (링크 클릭)




 





작성자 : 알책 / 작성일 : 2022.10.26 / 수정일 : 2022.10.27 / 조회수 : 19399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