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대만의 시민사회조직와 시민사회의 성숙도 /박윤철, 2005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4.12.08 / 수정일 : 2020.06.16
이 글은 대만의 수도권의 시민사회조직에 대한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시민사회조직의 일반적 특징과 운동방식을 이해한 후, 시민사회조직이 시민사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대만 시민사회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는 글입니다. 이 글은 시민사회지표 연구방법에 기반하여 대만의 핵심적인 시민사회조직인 ‘공평정의연맹’, ‘녹색공민행동연맹’, ‘인본교육기금회’, 그리고 관련 지식인 등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분석에 따르면 대만 시민사회조직들은 대만 시민사회의 구조, 공간, 가치, 영향력 네 가지 영역 모두에서 골고루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습니다. 구조와 공간의 수치가 가치와 영향력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으며 이는 시민사회 내부의 민족적 균열, 시민단체의 이익단체로서의 인식 경향, ‘기금회’ 형식의 조직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대만 특유의 소규모 인적 조직인 기금회의 확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대만의 시민사회조직은 사회복지나 취약계층 권익 보호에 주력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만의 시민사회는 국가의 보완자, 매개자 역할을 강조하는 비영리조직의 활성화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 글은 대만의 시민사회에 관심 있는 분께 도움이 되는 글입니다.

박윤철. 2005. 「대만의 시민사회조직와 시민사회의 성숙도」 『아시아의 시민사회(Ⅱ)-현재와 전망』 아르케.

저자 소개

호서대학교 중국학과 교수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3. 대만의 시민사회조직의 조직구조와 사회적 성격
4. 대만 시민사회의 내적 성숙도
5. 대만 시민사회의 발전전망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4.12.08 / 수정일 : 2020.06.16 / 조회수 : 2991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