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중국 NGO활동가들의 중국 시민사회에 대한 이해 /이남주, 2005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4.12.04 / 수정일 : 2020.06.16
이 글은 중국의 자발적인 민간조직의 발전이 중국의 시민사회의 발전에 어떤 함의를 지니는지를 분석하여 중국사회의 시민사회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진척시키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글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시민사회지표를 분석방법을 통해 NGO활동가를 대상으로 중국의 시민단체 혹은 시민사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중국 시민사회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글입니다.

분석에 따르면 중국 NGO 활동가들은 중국 시민사회의 가치와 영향력에 높은 점수를 주었고 공간, 구조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주었다고 합니다. 필자에 따르면 공간에서의 낮은 점수는 국가의 제약을 반영하는 것이며 구조에서의 낮은 점수는 공간보다는 높은데 이는 공간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시민사회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합니다. 영향력이 높게 나타난 것은 공간적, 구조적 제약과의 연관성 속에서 보면 공공정책 결정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 보다는 사회에 대한 진보적 가치의 제공의 원천으로서의 역할을 평가한 것이라고 합니다. 시민사회에서의 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시민사회에서의 규범의 중요성과 가치의 동력으로서의 가능성과 관련되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이남주. 2005. 「중국 NGO활동가들의 중국 시민사회에 대한 이해: 중국 시민사회 발전의 구조와 특징을 중심으로」 『아시아의 시민사회(Ⅱ)-현재와 전망』 아르케.

저자 소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베이징대학교에서 정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성공회대학교 중어중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저서로는 『중국 시민사회의 형성과 특징』『동아시아의 지역질서』(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중국의 신발전관」등이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조사방법과 한계
3. 조사결과에 대한 분석 1-거시적 이해
4. 조사결과에 대한 분석 2-차원별 이해
5. 결론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4.12.04 / 수정일 : 2020.06.16 / 조회수 : 33460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