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한국 시민사회의 측정 /박상필, 2005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4.12.04 / 수정일 : 2020.06.16
이 글은 한국 시민사회의 실제를 객관적 지표와 계량적 자료에 의해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는 글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계량화를 위해 시민사회를 공공서비스를 생산하고, 국가권력과 시장권력을 견제하며, 각종 사회적 가치를 생산하는 자발적 결사체의 총합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측정은 런던정경대학의 시민사회연구소와 국제NGO연대조직인 시비쿠스가 공동으로 개발한 시민사회지표에서 지정한 구조, 공간(환경), 가치, 영향력 등 네 가지 요소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방법론에 따라 고용창출효과, 자원활동, 시민참여, 시민사회단체의 숫자, 기부금, 공적지원금 요인의 계량화된 분석을 통해 한국 시민사회의 구조가 설명되고, 시민권리, 언론자유, 인권, 투명성, 법률 요인의 계량화된 분석을 통해 한국 시민사회의 공간이 설명되고, 신뢰도, 관용도, 윤리적 수준 요인의 계량화된 분석을 통해  한국 시민사회의 가치가 설명되고, 성과, 언론보도, 공직 및 정책참여, 입법참여 요인의 계량화된 분석을 통해 한국 시민사회의 영향력이 설명되고 있습니다. 필자는 이러한 분석에 따라 한국의 시민사회가 일정한 궤도에 이른 것으로 평가하면서 시민사회의 활성화를 위해 각종 법적ㆍ제도적 장치를 만들어 물적 기반을 확대하고 시민활동의 공간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시민사회와 시민운동과 관련된 실증적 분석으로써 시민사회의 구체적인 상황을 확인하고 싶은 분께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박상필. 2005. 「한국 시민사회의 측정」 『아시아의 시민사회(Ⅱ)-현재와 전망』 아르케.

저자 소개

경희대, 알래스카대학, 경북대 등에서 정치학·정책학·행정학 등을 공부하고, NGO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연세대·이화여대 강사와 경희대 NGO대학원 객원교수를 거쳐, 현재 성공회대 NGO대학원 초빙교수로 있으면서 시민운동정보센터 소장, 참여연대 운영위원, 미래사회와종교성연구원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NGO와 현대사회』, 『NGO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NGO와 정부 그리고 정책』, 『NGO학』, 『유토피아 코리아』 등이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한국 시민사회의 구조
3. 한국 시민사회의 공간
4. 한국 시민사회의 가치
5. 한국 시민사회의 영향력
6. 맺음말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4.12.04 / 수정일 : 2020.06.16 / 조회수 : 25224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