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부터 탄소중립,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까지 우리의 일상에서 ‘환경’은 더 이상 낯선 주제가 아닙니다. |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으로 인해서 직업에도 많은 변화가 예상됩니다. 그 중에서 국제기구부터 직업을 연구하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논의되는 주제는 바로 녹색직업(Green Job)입니다.
출처: ILO 홈페이지(바로가기)
그래서 이번 아카이빙은 녹색직업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자료들을 모아보았습니다. 그 전에 녹색직업이 무엇인지 전문가들과 국제기구의 정의부터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녹색직업(Green Job)의 정의
현재까지 학계에서는 녹색직업에 대한 구체적이고, 통일된 정의를 내리지 못했지만 국제기구(UNEP, ILO)는 아래와 같이 녹색직업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국제기구의 녹색직업에 대한 정의
국제기구 | 녹색직업의 정의 |
유엔환경계획 (UNEP) | 녹색직업은 품위 있는 일자리로써 정의되어야 함. 근로자들을 위한 적절한 임금과 안전한 근무조건, 고용 안정성, 근로자의 권리 보장 |
국제노동기구(ILO) | 녹색직업은 품위 있는 일자리이며, 동시에 환경 보호와 복원에 기여하는 일자리를 지칭함. 녹색직업의 분야는 기존 산업(예: 제조업, 건설)부터 새로운 분야(예: 신재생에너지 산업, 에너지 효율부문 산업)을 포함 |
출처: 한종택(2019). 품위 있는 일자리로써 녹색직업(Green Job)의 정의와 역할 탐색, 2019 국제개발협력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국제기구의 정의는 환경보호, 복원뿐만 아니라 품위 있는 일자리(Decent work)의 관점에서도 녹색직업을 바라보고 있어요. 왜냐하면 녹색직업은 새로운 분야에서 창출되는 일자리들도 있지만, 대부분 기존 산업에서 친환경(혹은 녹색)으로 전환되는 현상, 이른바 녹색전환으로 인해 창출되는 일자리라는 것이죠. 그래서 녹색직업을 단순히 직업과 환경보호와 기후변화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을 넘어서 일할 수 있는 권리, 기회의 관점에서도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직업 전문가들은 녹색직업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을까요? 우리나라의 녹색직업에 대한 연구자료와 정부의 자료들을 정리한 연구자료에 따르면 아래와 같습니다.
한국 녹색직업에 대한 정의
연구(연도) | 녹색직업의 정의 |
임언(2009) | 녹색직업은 환경 보존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직업 단, 보수와 근무환경 면에서 ‘품위 있는 일자리(decent work)로 담보할 수 없음 |
녹색일자리 및 인력양성 방안(2009) | 녹색일자리는 산업 전반에서 에너지·자원의 효율성 향상을 통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재화를 생산 혹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자리를 의미 |
김승택(2009) | 협의의 개념: 저탄소 녹색성장을 지향하는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관련 직종으로써 신재생에너지 개발, 에너지 효율화를 포함 광의의 개념: 친환경적인 경제성장을 통해 발생하거나 혹은 변화하는 일자리를 총칭함 |
박상철 외 (2010) | 녹색직업은 친환경 제품, 서비스 등을 생산하고 제공하는 업무를 지칭함 |
정연미(2015) | 한국의 녹색직업은 성장(Growth)을 바탕으로 정의되어 UNEP가 제시하는 인류를 위한 보편적 가치, 품위 있는 일자리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움 |
한상근(2015) | 녹색경제(Green economy)에 대응할 수 있는 직업으로써 주로 신재생 에너지·자원분야의 직업을 지칭함 |
출처: 한종택(2019). 품위 있는 일자리로써 녹색직업(Green Job)의 정의와 역할 탐색, 2019 국제개발협력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국내 전문가와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녹색성장의 관점에서 정의된 경향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경제성장과 새로운 산업으로써 녹색산업, 에너지(예: 태양광, 풍력 등) 관련 산업에 필요한 일자리로써 녹색직업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녹색직업에 대한 정의, 일자리 창출 전략, 녹색전환에 대한 전략 등은 논의 단계에 있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국내외 전문가와 국제기구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요?
녹색직업과 전환에 대한 국내외 연구/자료
탈탄소 사회로의 이행과 정의로운 전환 정책과제(남재욱, 조성익, 크리스티나 히슬. 2021,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보고서 바로가기)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발간한 연구보고서입니다. 이 보고서는 녹색직업처럼 새로운 직업, 환경의 전환 과정의 대응 방법을 해외(EU, 미국)의 그린뉴딜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이슈 & 리포트] 글로벌 교육 2030 프로젝트: UNESCO-UNEVOC 기술직업교육훈련(TVET) 중기전략(2021~2023)(박화춘, 이한별, 임건주, 최현식, 한종택. 2021,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동향 보고서 바로가기)
UN 산하의 직업교육훈련(TVET) 전문 국제기구인 UNESCO-UNEVOC에서 발간한 중기전략을 국문으로 요약 및 정리한 동향 보고서입니다. 중기전략은 총 6개의 분야를 중심으로 구성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내용은 녹색직업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동향 보고서에서 분석한 자료의 원문을 보고 싶다면?
UNESCO-UNEVOC Medium-Term Strategy for 2021-2023 (바로가기)
UNEP & ILO 보고서
앞의 표에서 정리한 내용들을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을 위한 UNEP와 ILO의 보고서입니다. 경제성장과 산업의 관점뿐만 아니라 노동자들의 일할 수 있는 권리와 노동정책의 관점에서 분석한 보고서이므로 녹색직업에 대한 이슈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International Labour Office(ILO): Mainstreaming green job issues into national employment policies and implementation plans: a review. Working Paper No.227. Geneva, 2017 (바로가기)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UNEP). Green Jobs: Towards decent work in a sustainable, low-carbon world, 2008 (바로가기)
녹색직업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다면?
국제노동기구(ILO)는 녹색직업에 대한 정의와 내용들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ILO topic 포털을 통해 녹색직업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포털을 통해서 국제사회에서 녹색직업와 정의로운 전환에 대한 동향들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녹색직업과 정의로운 전환을 더 많이 알고 싶다면 이 포털을 이용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ILO – Green Jobs 포털(바로가기)
우리는 지금 대전환이라고 불리우는 시대에 살게 되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삶은 코로나 이전의 삶과 많은 부분이 변했습니다. 이 변화는 우리의 직업에도 큰 변화의 물결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녹색직업(Green Job)은 피할 수 없는 변화처럼 보입니다.
※대표 이미지 출처: unsplash.com
참고한 자료
한종택. 품위 있는 일자리로써 녹색직업(Green Job)의 정의와 역할 탐색, 2019 국제개발협력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2019)
코멘트를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