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한국의 시민사회론과 시민사회 분석을 위한 개념틀의 모색 /유팔무, 1995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4.11.27 / 수정일 : 2020.06.19
이 글은 그람시의 시민사회론을 한국 사회에 적용하기 위한 개념적 분석틀을 모색하기 위한 글입니다. 필자에 따르면 그람시적 의미의 시민사회는 80년대 패러다임에 대한 내재적 비판, 즉 구체적인 분석을 통한 대안의 제시라는 이론적, 실천적 반성을 배경으로 출현했습니다. 그것은 이론적으로 자본주의 생산관계와 국가권력 사이의 중간 매개고리를 분석하는 개념도구로 위치하며, 실천적으로는 변혁전략의 하나로써 정치권력 장악이라는 중기적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 이르는 단기적인 목표로 위치지어집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분석을 한 결과에  따르면 시민사회에 대한 분석은 국가 및 계급적 경제사회에 대한 분석과 이것들과의 상호연관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합니다. 시민사회에 대해 이론적으로 접근하고 싶은 분께 도움이 될 글입니다.  

유팔무. 1995. 「한국의 시민사회론과 시민사회 분석을 위한 개념틀의 모색」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한울.

저자 소개

2013년 현재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입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받고,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Freie Universita?t Berlin)에서 ‘이데올로기와 계급관계’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일보 기자, 월간 말 편집위원, ≪경제와 사회≫ 편집주간, 산업사회학회 회장, ≪동향과 전망≫ 편집위원장, 춘천시민연대 공동대표, 한국사회민주주의연구회 연구소장, 강원시민사회연대회의 공동대표, 사회민주주의정책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했습니다. 주요 저작으로는 <현대정치경제학>(옮김, 1990), <춘천리포트>(1, 2, 4권, 공저, 1991, 1999, 2009), <시민사회와 시민운동>(1, 2권, 공편, 1995, 2000), <사회민주주의 선언>(공저, 2001), <한국의 시민사회와 새로운 진보>(2004), <중산층의 몰락과 계급 양극화>(공저, 2005) 등이 있습니다.


목차

1. 시민사회론의 논의의 지적 배경
2. 시민사회의 위상과 성격
3. 시민사회와 국가, 그리고 계급적 경제사회
4. 시민사회론의 한국적 적용과 정치중심적 시민사회론의 한계
5. 한국 시민사회의 형성과 특수성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4.11.27 / 수정일 : 2020.06.19 / 조회수 : 1908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