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집] 정보화 사회에서의 인권 : 국가인권위원회 토론회 (2003)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박준우 / 작성일 : 2015.01.27 / 수정일 : 2020.06.19
2000년대 접어들면서 빠르게 정보화가 진행되고 전자정부를 통해 수많은 시민의 개인 정보가 온라인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하면서, 프라이버시가 인권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사회 전반적으로 제도와 인식 모두 충분히 무르익지 못하고 있는 현실인데요, 2003년 국가인권위원회가 개최한 토론회 자료를 통해 초기의 인권 이슈와 사회적 상황을 파악해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 발제문 
1 전자정부에서 정보프라이버시의 실현과제 = 1
2 공공기관 보유 개인전자정보의 학술적 이용에 대한 고찰 = 45
3 수사와 범죄 예방 활동에서의 감시기술의 활용과 그에 대한 통제 = 63
4 인터넷과 인권 = 89

■ 토론문
1「公共機關의 個人情報保護法改正案」說明資料 = 105 
2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개인정보보호 현황 및 대책 = 111
3 프라이버시 보호와 관련 법제도 개선 필요성 = 121
4 개인정보 보호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적 조치에 대해서 = 129
5 정보화사회에서의 인권 [토론요지문] = 133
6 한국사회의 정보인권의 현실 = 141

주요내용
"디지털 정보혁명의 결과 정부와 시장은 개인정보의 수집ᆞ처리ᆞ이용ᆞ공개의 매력 적인 유혹을 쉽게 뿌리칠 수 없게 되었다. 그것은 엄청난 효율성과 생활의 편익을 제공한다. 그러나 그 효율성과 편익의 배면에는 동시에 엄청난 파괴력을 지닌 위험이 도사 리고 있다. 그 위험은 인간존엄과 자유민주체제의 근간을 흔들 정도로 위협적이다. 그 위험이 가시화되었을 때는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상태로 드러날 것이다. 따라서 그 위험 이 더 이상 진행되기 전에 방어벽을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성격의 위험은 새로 운 내용의 방어벽으로 차단해야 할 것이다."

"정보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우리 사회에서는 정보와 관련된 시민의 권리, 인권의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아직 이 문제에 대해 사회 전 체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정책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지 못한 상태이다. 학술연구와 관 련된 정책 뿐 아니라 의료정보 및 개인정보 전반에 대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개인전자정보를 사용하는 학술연구와 관련한 제도적 정비와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구조적인 정비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개인정보에 대한 권리를 행사해야 할 개인 뿐 아니라, 정보를 보관 및 관리하고 있는 기관의 역할과 정보를 활용하 여 연구를 해야 할 연구자들이 모두 보호받지 못하고 불투명한 가운데 되어가는 대로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어떻게 개인정보 보호와 공익성을 갖는 학술연구 진흥을 동시에 이루어낼 것인가? 이제 이 문제에 직접 관련된 사회 구성원들이 모두 나서서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이다."

"인터넷은 사용자의 참여를 통해 만들어지는 열린 공간이다. 수많은 생각과 표현이 이 루어지는 이 공간의 규범과 질서는 자율과 참여를 통해 만들어져야 한다. 어느 정도의 규제가 불가피하다면 네트 사용자들의 수평적인 관계에서 만들어지는 협약을 통해 이 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도 법적 기술적 강제보다는 인터넷 자율 규제 모델을 적극적으 로 모색해야 한다. 인터넷 내용에 대한 규제와 이에 관한 법률 제정은 충분한 사회적 토론과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협약에 근거한 규제만이 실제적인 효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작성자 : 박준우 / 작성일 : 2015.01.27 / 수정일 : 2020.06.19 / 조회수 : 19395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