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질병도 ‘인간개발’에 영향을 주고 있어요.
현안과이슈 / by 세종시 고라니 / 작성일 : 2022.11.10 / 수정일 : 2022.11.10

UNDP(유엔개발계획)은 인간개발보고서 2021/2022를 통해서 기후변화가 인간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사례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인간개발보고서 2007/2008의 배경 조사 자료로써 작성된 보고서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Human Development(Liliana Carvajal, 2007)”의 내용 중 기후변화로 인한 말라리아가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202210월 세계보건기구(WHO)는 세계기상기구(WMO)와 함께 climatehealth.info라는 온라인 플랫폼을 개설합니다. WHO는 기후와 건강은 더 이상 별개의 문제가 아니라고 말합니다.(Climate and health are inextricably linked.)

 

Climatehelath.info 바로가기

 

특히 WHO는 이 플랫폼을 개설하는 것이 공공보건에 관한 기후와 환경, 과학적 도구로써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병 예측, 건강 관련 조기 경보 시스템으로써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어요.

 

게다가 WHO는 이 플랫폼을 통해서 체계적인 기후변화 관련 정보를 공유해서 강력한 파트너십 구축과 협력 체계를 갖추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죠.

 

관련 기사 출처: WHO and WMO launch a new knowledge platform for climate and health(바로가기)

 

WHO는 더 이상 기후와 건강의 문제가 서로 별개의 문제가 아니라고 강조해요.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기후변화가 인간의 삶에 영향을 주고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기후변화의 문제는 홍수입니다. 최근에는 계절의 변화, 온도의 변화 등이 우리에게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발도상국은 기후재난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한 질병에서도 자유롭지 못해요. WHO는 이런 맥락을 고려해서 기후변화와 인간의 건강 문제는 결코 별개의 문제로 볼 수 없다고 지적한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UNDP(유엔개발계획)은 인간개발보고서 2021/2022를 통해서 기후변화가 인간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사례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인간개발보고서 2007/2008의 배경 조사 자료로써 작성된 보고서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Human Development(Liliana Carvajal, 2007)”의 내용 중 기후변화로 인한 말라리아가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말라리아는 무엇인가요?

말라리아는 열원충 속 원충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입니다. 말라리아 중에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것은 열대열말라리아, 삼일열말라리아, 난형열말라리아, 사일열말라리아, 원숭이열말라리아로 구분 됩니다(신현일 외 2022).

 

특히 우리가 뉴스 등을 통해서 사람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말라리아는 아프리카 국가에서 발생하는 열대열말라리아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삼일열말라리아입니다(신현일 외 2022).

 

세계 말리리아 발생 동향

신현일 외(2022)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의 말라리아 환자는 241백만명이으로써 전년 대비 6.2%(227백만명, 2019) 증가했습니다. 2020년 말라리아 사망자가 증가한 원인으로써 코로나19 판데믹의 영향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코로나19 판데믹 치료에 집중하면서 상대적으로 말라리아 치료와 진단이 중단되었다는 것 때문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국가들은 2020년 이후 말라리아를 퇴치하고 있지만, 말라리아 퇴치 국가 중 아프리카 대륙에 포함된 국가들은 찾을 수 없습니다.


출처: 신현일 외 (2022) 



오히려 말라리아 사망자 비율에서 아프리카 대륙 국가 중 나이지리아(31.9%), 콩고민주공화국(13.2%), 탄자니아(4.1%) 순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출처: 신현일 외 (2022)
 

기후변화로 인한 질병의 확산

그렇다면 기후변화와 말라리아와 같은 질병의 확산이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궁금증을 갖게 될 것 같아요. Liliana(2007)은 기후변화가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서 인간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기후 환경의 급격한 변화, 온도, 강수량의 변화, 대기오염과 해수면 상승부터 생물다양성 등의 파괴 등이 개발도상국의 질병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과학적으로 기후변화와 질병의 상관관계를 명확하게 밝히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재난이 개발도상국에게 직·간접적으로 주는 피해를 고려하면 기후변화와 질병 사이의 연관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볼 수 없죠.

 

Liliana(2007)은 기후변화로 인한 급격한 기후 환경의 변화는 말라리아를 더 빨리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주장합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뜨거워진 공기는 모기가 보유한 말라리아 세균 증식에 도움을 주게 되고, 아프리카 국가 중 저지대와 고지대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말라리아에 감염되도록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Liliana(2007)이 주목한 것은 기후변화와 말라리아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HDI) 수준이 낮은 국가들이 말라리아에 더욱 취약하다는 것입니다.

 

보고서에 수록된 표 7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HDI 수준이 낮은 국가들에서 말라리아 감염자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HDI의 구성 요소 중에서 말라리아는 기대수명을 감소 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HDI 수준이 낮은 국가들은 말라리아 등과 같은 전염성 질환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므로 말라리아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죠.


출처: 
Liliana (2007)


심지어 말라리아로 인한 사망자의 증가는 해당 국가에서 일할 수 있는 사람(노동력)의 감소로 이어지게 됩니다. 결국 이 결과는 HDI 구성 지표 중 ‘1인당 실질소득문해율감소로 이어지게 되어서 빈곤의 악순환을 가져오게 됩니다.

 

정리하면 Liliana(2007)HDI 수준이 낮은 국가들은 말라리아에 매우 취약한 경향을 보인다고 분석합니다. 말라리아 감염자 사망률은 HDI 수준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입니다. 심지어 말라리아 사망자 숫자가 높을수록 해당 국가의 경제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죠.

 

국제협력에서 인간개발(Human Development)’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이유

지난번 저는 기후변화와 인간개발의 관계를 고려할 시점이라는 아카이빙 콘텐츠를 통해서 개발도상국의 기후 취약성은 개발도상국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정리했었습니다.

 
아카이빙 원고 바로가기: 
기후변화와 인간개발의 관계를 고려할 시점


비록 인간개발보고서 2021/2022는 정신적 스트레스만 강조했었지만, 장기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정신질환뿐만 아니라 신체질환과 전염성 질환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요소라는 것이죠.

 

UNDP1990HDI를 개발해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발전 수준을 경제적 지표뿐만 아니라 사회발전도 함께 고려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사회발전과 경제발전을 위한 국제개발협력은 별개의 분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물론 분야별 원조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각각의 고유한 분야로 구분하는 것은 적절한 선택일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분야에서 발생하는 결과가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주는 이른바 '나비효과' 현상이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후변화라는 '환경' 분야와 '인간개발'이라는 분야를 서로 다른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을 지양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히려 두 개의 분야가 어떻게 연결되었고, 하나의 분야에서 나타나는 현상 혹은 결과가 다른 분야에 어떤 결과로 나타나는지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입니다. 

 

이번 아카이빙은 2007년에 발간된 보고서의 내용 중에서 인간개발과 질병에 대한 내용만 정리했지만, 앞으로 국제협력의 의제에서 인간개발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기후변화와 질병이 더욱 부각 되는 현재 시점에서 인간개발HDI의 관점을 넘어서 깊이 바라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신현일, 구보라, 이희일. 2021년 세계 말라리아 보고서(2020년 세계 말라리아 동향). 주간 건강과 질병 제15권 제17. (2022).

Liliana Carvaj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Human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Report 2007/2008. (2007)




 


작성자 : 세종시 고라니 / 작성일 : 2022.11.10 / 수정일 : 2022.11.10 / 조회수 : 19550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