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에도 이론이 있다 (1) 고전적 놀이이론 : 왜 놀이를 하는가?
현안과이슈 / by 윤일 / 작성일 : 2022.10.10 / 수정일 : 2022.10.12

 “인간은 ‘왜’ 놀이를 할까?”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등장한 고전적 놀이이론이 던졌던 질문입니다. 역사에 따라 놀이의 의미와 중요성은 변화해왔습니다. 현대에는 전 생애에 걸쳐 놀이의 다양한 역할이 연구되고 있지만, 과거에는 놀이가 특정한 목적을 위해서, 예를 들어 남아도는 에너지 소모를 위해 혹은 기술의 연습을 위해 행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한편 이러한 놀이에 대한 생각들 즉 목적없는 행위 라거나 휴식의 의미라고 현대 놀이에 대해 생각하는 지점과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전적 놀이이론 네가지(잉여에너지 이론, 휴식 이론, 반복 이론, 연습이론)를 살펴보면서 '인간이 놀이를 하는 이유는 뭘까' 라는 놀이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져보고 놀이에 대해 가진 우리의 태도에 영향을 줬던 역사적 관점을 얻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놀이의 발생반복설(recapitulation theory)을 주장했던 Gulick은 ‘놀이의 철학(A Philosophy of play, 1920)’이라는 100년 전 책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한 개인의 특성은 다른 어떤 방법 보다 놀이에서 더 완전히 드러난다. 놀이는 다른 어떤 활동 보다 인간의 특성과 본성을 더 크게 형성하는 힘을 가진다. 인간은 자신이 선택한 것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때,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따라 자유롭게 어떤 것을 하고자 하는 높은 열망이 생기면, 그 개인의 개성은 심오하게 형성되어진다(p. xiv).

100년 전에는 아동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시작되지도 않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때부터 학자들은 자유롭게 무엇인가를 스스로 하게 하는 아동기의 ‘놀이의 힘’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놀이가 궁극적으로 한 인간의 독특성과 개별성을 형성한다는 점을 이 시기부터 주장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놀이에도 이론이 있다'의 첫번째 글, 고전적 놀이이론에서는 이 책이 나온 전후, 놀이의 목적에 대해 고찰한 철학적 접근 중심의 놀이 이론들을 소개합니다. 이 이론을 통해 놀이의 목적에 대해 보다 다각적으로 접근하고 영감을 얻어 현장에 적용할 수 있길 기대합니다.



출처 : Courtesy Boston Public Library



고전적 놀이이론의 특징


놀이이론은 크게 고전적 놀이 이론과 현대 놀이 이론으로 나뉩니다.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등장한 고전적 놀이이론은 경험적 연구보다는 철학적 사고에 기반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놀이 그 자체나 놀이의 기능에 대한 설명보다는, 왜 놀이를 하는지 놀이의 목적이 무엇인지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고전적 놀이이론에는 놀이가 ‘에너지' 조절을 하는 수단이라고 설명한 잉여 에너지 이론반복 이론이 있습니다. 한편 놀이가 ‘본능'이라고 설명한 반복이론연습이론이 있습니다. 각각의 놀이이론을 살펴보면서 이론의 기본적인 특징과 시사점, 한계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AGE Reference - The SAGE Handbook of Outdoor Play and Learning
출처 : https://sk.sagepub.com/reference/the-sage-handbook-of-outdoor-play-and-learning/i500.xml

 


1. 잉여 에너지 이론(Surplus energy theory)


'놀이를 목적 없는 행동으로 간주한다. 놀이는 인간과 동물이 잉여 에너지를 소모 시키는 하나의 방법!'



잉여 에너지 이론은 놀이를 남아도는 에너지의 쓰임으로 설명합니다. 18세기 독일의 시인이자 철학자 Schiller는 놀이를 잉여 에너지가 뚜렷한 목적 없이 소비되는 것이라고 정의했습니다. 기본적으로 에너지는 인간의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쓰이는데, 여기서 잉여 에너지는 기본 욕구가 채워지고 남겨진 에너지를 칭합니다.



It is play and only play that makes man complete. - Friedrich Schiller

출처 : www.azquotes.com/quote/1388607


19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 Spencer는 기본 욕구가 충족된 후에 남겨진 과잉 에너지의 소산이 놀이라고 주장하면서 어린이가 어른보다 놀이를 더 많이 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즉 어린이는 자신의 생존을 위하여 일해야 하는 입장이 아니기 때문에 과잉 에너지가 많고 이러한 과잉 에너지를 놀이로 소모하게 되기 때문에 아이들은 어른보다 더 많은 놀이 활동을 하게 된다고 말합니다.


이어서 1932년 심리학자 Tolman은 인간이 음식, 성, 휴식 등에 대한 기본 욕구가 충족되면 생리학적으로 활동 정지 상태에 이르고,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에너지가 과다해지므로 놀이 욕구가 생긴다고 주장하며 잉여 에너지 이론을 지지했습니다. 


잉여 에너지 이론은 유아가 성인보다 놀이를 많이 하는 이유에 대해 성인은 유아의 생존 욕구를 돌보는 데 자신의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아가 성인보다 더 많은 잉여 에너지를 가지게 되고, 이를 놀이로 이를 소모한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진화 과정에서 고등 동물이 왜 하등동물보다 놀이를 더 많이 하는 이유에 대해, 고등 동물은 하등동물에 비하여 자신의 생존 욕구를 좀 더 효율적으로 충족시키고 놀이를 위하여 더 많은 에너지를 남기기 때문에 더 놀이를 많이 하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잉여 에너지 이론의 한계점


​이러한 잉여 에너지 이론은 위와 같은 설득력이 있는 반면, 아래와 같은 한계점으로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1) 인간의 에너지가 소모되고 축적되는 유동적인 속성의 과정을 과학적으로 잘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2) 에너지 과잉 상태가 아닌 때에도 놀이를 하는 어린이를 설명하지 못합니다. 1973년 Ellis는 어린이가 지쳐 있을 때라도 새롭고 흥미로운 놀이 기회가 주어지면 피로감을 잊고 놀이에 몰두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3) 1945년 Beach는 잉여 에너지 이론이 순환 논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어떤 행위를 놀이라고 규정하는 기준을 단지 외형적으로 놀이스러운가 아니면 진지한 목표 달성을 위한 행동인가를 근거로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고양이가 쥐를 잡기 위해 쫓아다니는 경우, 고무공을 이리저리 굴리는 경우와 똑같은 에너지가 소비되지만 고무공을 가지고 노는 경우에만 과잉 에너지가 소모되었다고 판단하여 놀이로 규정하게 됩니다. 즉 놀이를 놀이 행위 고유의 특성으로 정의 내릴 수 없고 행위의 목적을 짐작하여 놀이 여부를 판단하게 되기 때문에 잉여 에너지 이론에서 놀이 개념은 정의하지 못하고 순환된다고 말합니다. 



2. 휴식 이론(recreational / relaxation theory)


'놀이는 일에서 소모된 에너지의 재충전 과정이다. 일에서 소비된 에너지는 일과는 전혀 다른 활동에 몰두함으로써 재생된다.'



휴식 이론은 놀이와 일은 상반되는 개념으로서 일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과정이고 놀이는 에너지를 충전하는 과정이라고 보았습니다. Patrick는 인간이 정신적인 피로감을 풀고 휴식하고 싶을 때 놀이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Lazarus는 일을 할 때 소모된 에너지를 복구하기 위해서 놀이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휴식이론은 실제로 유아 교육자들이 교육 현장을 위해 사용하는 놀이이론입니다. 휴식이론의 원리를 기초하여 하루 일과를 정신적 놀이 활동 시간(앉아서 하는 활동)과 활동적인 놀이 활동 시간을 교대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합니다. 



휴식이론의 한계점


Frost와 Klein(1979)는 휴식 이론이 스트레스가 심한 현대 사회에서 놀이를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유아기 어린이의 놀이 해석에는 설득력이 부족하다고 주장합니다. 만약 놀이가 휴식이론의 주장처럼 일을 해서 생긴 피로를 회복하려는 욕구에서 동기화 된다면, 스트레스가 쌓일 정도로 일을 하지 않는 어린이가 놀이에 열중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또한 휴식 이론의 주장이라면 유아보다 에너지 손실이 더 많은 성인이 놀이를 더 해야 하는데 이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3. 반복 이론(recapitulation theory)



'놀이는 현대 삶에서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유아의 원시적 본능의 제거 과정이다.'



반복이론은 아동의 놀이를 원시적인 인류가 했던 행위가 되풀이되는 현상으로 봅니다.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교육학자인 Hall은 다윈의 진화론에 근거해서 아동기의 놀이는 인류의 전 역사가 반복되어 같은 순서를 나타낸다고 주장했습니다. 예를 들면 물놀이는 인류 태초의 기원이 되풀이 된 것이고, 기어 다니는 놀이나 모래놀이는 초기 육지 동물들의 자취이며, 나무를 기어오르는 놀이는 원숭이와 유사했던 조상들의 특징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Psychology 4910 Chapter 13 The Developmental Point of View. - ppt download

출처 : https://slideplayer.com/slide/10369360/


이때 놀이의 주요기능은 정화입니다. 유아기 때의 놀이를 통해 종족적 본능을 다 발산시켜 버림으로써 인류 초기에 획득한 본능은 약화되고 좀 더 복잡한 형태의 행동이 발전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는 신 프로이드 학파의 견해 즉, 놀이가 유아기 어린이의 성장에 정화작용을 한다는 주장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반복이론은 놀이에 대한 이론적 틀을 확립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이전의 철학적 사고에 기반하여 놀이의 목적을 파악한 것과는 다르게 유아의 놀이를 ‘체계적으로 관찰’하는 것을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고전 놀이이론인 반복이론에서 Hall의 놀이단계 발표는 피아제 이론과 같은 ‘현대 놀이 단계’의 시작을 예고하였습니다.   



반복이론의 한계점


1) 반복이론은 다윈의 진화론에 근거하여 놀이과정 또한 유아가 놀이를 통해 정화하면서 성장하는 과정으로 설명하였습니다. 그러나 유아의 놀이는 매우 다양하며 단계적, 선형적으로만 발달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습니다. 


2) Ellis(1973)는 어린이들의 놀이에 인간의 진화 과정이 반영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놀이에 조상들의 행동과 유사한 행동이 나타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러한 현상은 유아의 원시적 본능 때문이 아니라 동일한 해부학적 구속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3) Frost와 Klein(1979)는 현대의 다양한 놀잇감이나 게임을 통한 놀이의 사회적 학습 측면이 설명될 수 없음을 지적했습니다. 즉 놀이는 원시적 본능을 따른 것이고 이를 수행 함으로서 본능을 정화하는 과정이 아니라, 놀이를 통하여 새로운 사회적 학습의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말입니다. 



4. 연습 이론(practice theory or pre-exercise theory)



'놀이행동은 적응과 성인 생활에 필요한 기능을 숙달하는 과정이다!'



연습 이론은 놀이가 유아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성인이 되었을 때 필요한 기술이나 기능을 연습하기 위해서 이루어진다고 설명합니다. Groos는 저서 『동물의 놀이』, 『인간의 놀이』에서 놀이는 아동기의 전유물이며 아동기는 놀이를 위하여 존재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UntitledThe play of animals : Groos, Karl, 1861-1946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 Internet Archive

책 보러가기 : 

- The Play of Animals : https://archive.org/details/playofanimals00groouoft

- The Play of Man : https://wellcomecollection.org/works/b9z6prxn/items


그는 놀이의 역할을 인간의 적응기제로 봅니다. 인간이 이러한 적응기제가 필요한 이유는 선천적으로 불완전하게 태어나기 때문입니다. 고등 동물일수록 불완전한 선천적 능력을 갖고 태어나는데 인간은 이러한 능력을 발달하기 위해 놀이를 통한 연습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말벌은 어미 노릇을 잘 할 수 있는 선천적인 능력을 갖고 있어서 특별한 연습을 하지 않아도 알을 낳기 위해 벌레를 물색하고, 침을 놓아 마비시켜 알에서 깨어난 유충이 벌레를 먹으며 성장할 수 있게 해줍니다. 반면 두 살 짜리 아이는 몇 발자국을 걷기 위해 기어가기, 몸 뒤집기, 일어서기 등의 기본 능력을 갖추는 연습을 수없이 해야 합니다. 


출처: 변화의 월담 홈페이지


놀이는 미래를 위해 필요한 본능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성인생활에 필요한 기술 발달에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어 유아는 사회극 놀이를 통해 부모의 역할을 맡으며 미래에 성인 생활에 요구되는 부모 역할의 기술을 미리 연습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놀이를 함으로써 미성숙한 본능적 행동이 연습될 뿐 아니라 이러한 행동들이 점차 정교하게 발달되어 지적 행동으로 변하게 된다고 연습이론은 주장합니다. 

 

연습이론은 여러 가지 놀이행동들이 적응의 의미를 지닌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현대 놀이 이론에 반영되어 Bruner와 Sutton-Smith가 제안한 '진화'의 개념으로 쓰이기도 했습니다. 그들은 유아가 놀이를 통해 특정한 기술의 연습보다는 ‘융통성의 발달이나 융통성을 위한 잠재성을 보존함으로써 성인 생활을 준비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연습이론의 한계점


이러한 연습이론은 놀이를 통해 특정 행동이나 기술이 연습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놀이의 기능을 너무 제한한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대에 놀이 경험은 어떤 특정 행동보다는 성격이나 인지 등과 같이 인간의 전면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입니다. 



고전놀이이론(Classical Play Theory)의 한계와 시사점


현대의 관점에서 고전놀이이론은 놀이의 다양한 층위를 전반적으로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놀이를 정의하는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고 단편적인 놀이행동 만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놀이를 진화의 관점에서 해석하거나 에너지나 본능에 연결시켜 이해하는 것은 현 시대에 맞지 않는 관념을 근거로 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잉여 에너지이론은 에너지를 물의 특성과 연관시켜, 놀이 역시 이와 유사한 유동적 특성 지닌다고 가정 했으며, 연습이론은 유아가 성인 생활에 필요한 특수 기술에 대한 지식을 선천적으로 물려받는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고전놀이이론은 우리에게 놀이에 대한 현대 성인들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 역사적 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놀이에 관한 전문지식이 없는 대부분의 성인들은 놀이를 남는 에너지를 소모하기 위한 행위로 보는 잉여 에너지 이론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까지도 놀이가 무목적성이며 비생산적인 행동이라는 주장(잉여 에너지 이론)과 놀이란 종의 생존에 필수적이라는 주장(연습이론)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놀이의 고전 이론들의 많은 견해는 현대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런 고전 놀이 이론은 여러 현대 놀이 이론Modern theories of play의 뿌리가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Hall의 반복이론은 ‘현대 놀이 단계’를 예고했으며, Groos의 연습이론은 ‘현대 놀이 이론’에 반영되었습니다. 이후의 큐레이팅에서는 고전놀이이론을 바탕으로 발전된 현대 이론들을 이어서 소개할 예정입니다.




​Curated with 다움 of 놀사람

변화의월담 홈페이지 / 인스타



작성자 : 윤일 / 작성일 : 2022.10.10 / 수정일 : 2022.10.12 / 조회수 : 16268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