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한국사회 시민사회 형성의 역사 /박상필, 2003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4.11.27 / 수정일 : 2020.06.19
이 글은 한국 시민사회의 형성과 발전을 역사적으로 살펴보려는 글입니다. 이를 위해서 시민사회의 개념틀을 형성하고 한국 국가의 정당성과 자본주의의 발전 역사를 다루고 이에 대해 시민사회가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 글에 따르면 한국 시민사회는 1960년대 이후 국가에 의해 위에서 도입, 형성되고 1987년 이후 자본주의 발달과, 정치적 민주화의 진행에 의하여 서구사회처럼 아래로부터의 지형을 넓혀가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발전의 물적 토대는 시민의식의 발달, 중산층의 증가, 교육과 여가의 증가, 매스컴의 발달, 사회조직의 증가, 리더십의 발달 등입니다. 한국적 시민사회의 발전의 역사적 맥락을 파악하고 싶은 분들게 도움이 될만한 글입니다.

박상필. 2003. 「한국사회 시민사회 형성의 역사」 『아시아의 시민사회-개념과 역사』 아르케.

저자 소개

경희대, 알래스카대학, 경북대 등에서 정치학·정책학·행정학 등을 공부하고, NGO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연세대·이화여대 강사와 경희대 NGO대학원 객원교수를 거쳐, 현재 성공회대 NGO대학원 초빙교수로 있으면서 시민운동정보센터 소장, 참여연대 운영위원, 미래사회와종교성연구원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NGO와 현대사회』, 『NGO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NGO와 정부 그리고 정책』, 『NGO학』, 『유토피아 코리아』 등이 있습니다. 이 책은 2005년부터 20년 동안 진행되는, 시민사회에 기반을 둔 ‘대안사회 프로젝트’의 첫 번째 연구로서 철학적 어프로치에 해당합니다. 현재 대안사회의 두 번째 연구로서 ‘한국의 시민사회(사회학적 어프로치)’를 진행하고 있고, 이후 ‘능동사회(역사학적 어프로치)’, ‘새로운 신화(문학적 어프로치)’ 등을 집필할 예정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시민사회의 개념화
3. 한국 국가의 정당성
4. 한국 자본주의의 발전
5. 한국 시민사회의 대응
6. 한국 시민사회의 형성
7. 맺음말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4.11.27 / 수정일 : 2020.06.19 / 조회수 : 2081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