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1000 확충 내실화 방안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류이 / 작성일 : 2016.11.04 / 수정일 : 2023.02.23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1000 확충 내실화 방안

-ⅰ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 2절 연구 내용

제 3절 연구 방법

1. 문헌연구

2. 조사연구

제 4절 연구 추진체계

Ⅱ 보육공공성과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에 관한 이론적 논의

제 1절 보육공공성 개념과 구성요소

1. 보육 공공성 개념

2. 보육 공공성 구성요소 및 측정가능성

제 2절 보육정책 평가 및 성과에 관한 이론적 쟁점

1. 보육정책평가와 성과분석

제 3절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에 관한 쟁점

1. 국공립어린이집 시설 확충에 관한 쟁점

2. 국공립어린이집 운영 방식에 관한 쟁점

제 4절 연구 흐름도와 분석틀

1. 연구의 흐름도

2. 분석지표

- ii

Ⅲ 국공립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제도적 발달 및 현황

제 1절 국공립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제도적 발달

1. 국공립어린이집 설치 및 운영

제 2절 국공립어린이집 현황 및 추이

1. 전국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현황

2.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현황

3. 희망 1.0 플랜 성과와 민선6기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성과

Ⅳ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성과분석 결과

제 1절 조사 방법과 일반 현황

1. 조사방법

2. 일반 현황

제 2절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성과분석 결과

1. 재정효율성 및 투명성

2. 정보공개성 및 개방성

3. 지역적 균형 및 효율성 그리고 성과

4. 어린이집 운영 공정성 및 책무성

5. 대상의 보편성: 취약보육(시간연장, 장애통합 등) 및 맞춤보육

6. 보육서비스 질

7. 소결: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성과

- iii

Ⅴ 국공립어린이집 +1000 확충 내실화 방안

제 1절 국공립어린이집 +1000 확충 내실화 방안 마련을 위한 FGI 결과

1. 이해관계자 FGI 결과: 어린이집 원장

2. 이해관계자 FGI 결과: 어린이집 보육교사

3. 이해관계자 FGI 결과: 어린이집 이용 학부모

제 2절 국공립어린이집 +1000 확충 내실화 방안

1. 보육 국고보조사업(국공립어린이집 확충 및 운영) 기준보조율 조정

2. 국공립어린이집 유형 및 재정지원 대상 확대를 위한 영유아보육법 개정

3.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선택과 집중’ 확충 방안

4. 어린이집 설치 및 인가기준 재정립

5. 보육서비스 질적 강화를 인가부터 사후관리까지 통합적 체계 마련

6.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을 위한 전담팀 마련

7.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에 대한 소통과 공유의 장 마련: 자치구별

반별구성에 대한 대안 마련

8. 국공립어린이집 자산관리 시스템 도입 및 품목별 단가 기준안 마련 ·

9. 자치구별 행정적 제약요인 등에 관한 개선 필요

10. 자치구별 특성을 고려한 다각적인 방법에 따른 법적 개정 검토 필요

첨부파일


작성자 : 류이 / 작성일 : 2016.11.04 / 수정일 : 2023.02.23 / 조회수 : 19038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