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성보고서 | 국내사례 – 한국장애인재단(2015)
활동사례 / by HyoJ / 작성일 : 2016.11.01 / 수정일 : 2023.03.30

 

※ 국내ž외 시민사회단체의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사례를 공유합니다. (제목의 연도는 발행연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한국장애인재단은 설립 이후 지난 10년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10년을 준비하며 이해관계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자 처음으로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보고서에는 경제/환경/사회 전반적인 성과와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과 협력 활동들이 담겨 있습니다. 지난 10년의 활동들을 정리하는 주요 성과들(14~18p), 전대 이사장에서부터 현 이사장의 메시지로 리더십에서 이어지는 조직의 가치에 대한 선언, 새롭게 수립된 비전체계(8~9p)를 통해 그 동안 이어진 가치 및 성과와 앞으로의 방향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해관계자 그룹과 각 그룹별 관심이슈 및 대응방안/커뮤니케이션 채널과 그 빈도에서부터 단체 방향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주요 의사결정권자의 현황 및 활동(20~23p)에서는 이해관계자 참여를 위한 노력이 담겨 있습니다. 중요성 분석(24p)과 스페셜 이슈(25p)에서는 재단이 앞으로 지속가능성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자 노력하는 방향 및 이슈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2014년 사업현황에서는 재단의 특성에 맞춰 사업분야와 활동 성과를 구성하고 이해관계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하이라이트 페이지가 눈에 띕니다. 보다 적극적인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위해 중요성 분석에 이해관계자 참여를 강화하고 부록부분에 재단이 작성기준으로 적용했던 GRI G4 가이드라인 및 NPO 지속가능성 보고 가이드라인의 Index 보고와 같은 아쉬움이 있으나 최초 보고서이며 지난 10년의 성과 정리와 앞으로의 방향을 알리려는 보고목적에 맞춰 노력한 부분들이 인상적입니다.


설립 10, 15, 20주년을 맞이하는 많은 단체들이 지난 활동 성과와 새롭게 수립된 비전/미션을 이해관계자에 알리고자 다양한 측면에서 노력합니다. 이러한 활동을 계획 중인 단체들은 특히 본 보고서를 참고해보면 좋겠습니다.


 

보고서 개요

 

보고서명 |  한국장애인재단 2015 지속가능성보고서

발행연도 |  2015

보고기간 |  2014.01.01 ~ 2014.12.31 (일부 활동 2012~2015년 정보 수록, 중요 정성적 성과는 2015.08까지 포함)

보고범위 |  한국장애인재단의 전체 사업 및 조직운영실적

보고내용 |  경제/환경/사회 분야에 대한 지속가능 노력 및 성과

보고특징 |  

- ‘GRI G4 가이드라인‘NPO 지속가능성 보고 가이드라인기준으로 작성

- 보고서 신뢰성 제고를 위해 독립된 외부 검증(삼일회계법인) 진행

- 설립 10주년에 따라 2014년 새롭게 수립한 미션/비전/주요 원칙을 보고

- 지난 10년의 주요 성과를 연도별로 정리하여 보고

- 앞으로 중점적으로 추진할 이슈를 중요성 분석 및 스페셜 이슈에 보고

 

 


첨부파일


작성자 : HyoJ / 작성일 : 2016.11.01 / 수정일 : 2023.03.30 / 조회수 : 2359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