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과 ESG? ‘펫 프랜들리 마케팅’
현안과이슈 / by 밴지 / 작성일 : 2022.10.31 / 수정일 : 2022.11.01

려동물 관련 산업을 의미하는 ‘펫코노미(Pet+Economy)’가 엔데믹 시대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것 다들 아시죠?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반려동물 양육 인구는 1500만명에 달해 전체 인구의 30%를 차지했어요. 4명 중 1명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셈인데요. 사료, 의료서비스, 용품 등 직접적인 반려동물 관련 시장의 규모만해도 약 6조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해요[1].
 

 심지어,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더라도 ‘동물보호’에 관심갖는 MZ세대들도 많아지고 있어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관심이 많은 MZ세대의 경우, 동물 보호와 관련해서 관심이 많기 때문에, 더욱 관련한 소비가 늘어난 것으로 보여요. 이처럼, MZ대들의 관심이 전반적으로 늘자, 여러 브랜드에서는 펫 프랜들리 마케팅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펫 프랜들리(pet+friendly)란 반려동물에게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뜻하는데요. ESG 경영이 강조되는 분위기와 맞물려 반려동물과 관련된 사회활동이 기업의 핵심 전략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으며, 글로벌 ESG평가 기준에 따르면 ‘동물복지’ 역시 ESG 경영 평가 척도에 속하고 있답니다[2].
 

 그렇다면 펫 프랜들리 마케팅을 보여준 마케팅 사례에 대해 몇가지 알아봅시다.​

 

🟦 목차
01. [부산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 반려견 순찰대

02. [현대자동차] 반려견 헌혈 캠페인 ‘아임 도그너’
03. [롯데백화점] 팻 프렌들리 공간 확대, '펫 케어 백화점'
04. [카카오] 반려동물 기념일 이벤트 
05. 기타 펫 프랜들리 마케팅

 


01. [부산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 반려견 순찰대
 

(사진: 부산시청)

부산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에서 '반려견 순찰대' 모집이 시행되었어요. 반려견 순찰대는 반려견과 함께 일상적인 산책 활동을 자유롭게 하면서, 거주지 곳곳의 위험 요소를 살피고 범죄 위험 요소 발견 또는 위급한 상황이 벌어지면 112에 신고해 즉각적인 대응 유도하는 등의 활동을 펼치는 것이에요[3].

Z세대가 반려동물 복지에서 가장 신경 쓰는 요소 중 하나가 반려동물 산책시간이기에, 반려견 순찰대가 주목받을 수 있었습니다. 강아지 입장에서는 산책하며 순찰하는 것이고, 보호자 입장에서는 봉사활동까지 덤으로 할 수 있으니 말이죠. 부산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 외에도, 고양시에서도 도시 순찰견 제도를 시행했고, 서울시자치경찰위원회에 본격 도입하기도 했답니다.


 

02. 반려견 헌혈 캠페인 ‘아임 도그너’

 

(사진: 현대자동차그룹)

 

‘반려견 헌혈’에 대해 들어보셨을까요? 반려견도 사람처럼 사고가 나거나 질병에 걸렸을 경우, 동일 종의 수혈이 필요한데요. 현대자동차는 바로 이 문제에 주목했어요. 현대자동차그룹은 2019년부터 반려견 전용 헌혈 차량 운영 캠페인 ‘아임도그너(I’M DOgNOR): 찾아가는 반려견 헌혈카’를 전개하며 반려견 헌혈에 대한 인식 제고와 인프라 확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도그너(DOgNOR)는 반려견(Dog)과 헌혈 제공자(Donor)의 합성어인데요.

 

영국·폴란드 등 반려 선진국에서는 반려동물 헌혈센터가 상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에 반면 국내 반려견 혈액은 90% 이상 수혈용으로 사육되는 공혈견으로부터 공급되며, 반려견 증가에 따라 수혈 수요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통상적으로 반려견 헌혈 한 번이 다른 반려견 네 마리를 살릴 수 있는 것이죠[2]. 현대자동차는 이 문제에 주목하고, 아시아 최초로 반려견 헌혈 기관인 ‘KU 아임도그너(I’M DOgNOR) 헌혈센터’를 열었으며, 반려견 헌혈 문화 확산과 정착을 위해 매년 2억 원씩 5년간 총 10억 원 후원금을 건국대에 전달하고, 건국대는 이를 활용해 헌혈센터 설립과 운영을 맡고 있어요.

 

단순히 공혈견 문제를 지적하는 것을 넘어서, 이를 문화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현대자동차의 행보는 MZ세대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어요. 잘 알려지지 않은 동물관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목소리를 내어 진정성을 보인거죠.


03. [롯데백화점] 팻 프렌들리 공간 확대, '펫 케어 백화점'

(사진: 한국경제)

 


롯데백화점은 '펫 프랜들리' 공간 조성을 통해 대표적인 '반려동물 복합공간'으로 자리 잡기 위해 다양한 매장을 선보이고 있어요. 작년 8월 동탄점에는 반려견들이 야외공간에서 자유롭게 뛰어놀 수 있는 국내 백화점 최대 규모의 '펫파크' '루키파크'와 반려견을 위한 프리미엄 토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드랜드'를 오픈했습니다. 이는, 반려견과 식사가 가능한 야외 다이닝 서비스부터 매너훈련, 사회화 행동 교육 등 다양한 야외 활동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에요. 일산점에는 반려견 유치원부터, 미용, 호텔, 액티비티 센터 등 반려견과 관련한 모든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프랑소와펫'을 오픈하기도 했어요[4].


04. [카카오] 반려동물 기념일 이벤트

MZ세대는 자신의 반려동물을 SNS에 자랑하곤 하죠. 이들은 공휴일만큼이나 세계 고양이의 날(8월 8일), 국제 강아지의 날(3월 23일)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렇게, 동물 기념일에 진심인 MZ세대의 경향을 파악해, 카카오톡에서는 세계 고양이의 날과 국제 강아지의 날을 맞이해 '선물하기 탭' 내에서 이벤트를 진행했어요.

 

(사진: 카카오톡)

카카오톡은 '행운을 전하는 편지 랜덤 이미지' 이벤트를 진행했는데, 선물하기 페이지에 생긴 '댕댕이의 날' '고양이의 날' 탭에서 이름을 입력하면, 랜덤 그림일기 이미지를 다운받을 수 있고, 이 이미지를 SNS에 업로드하면 경품을 받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사진: 카카오커머스)


작년에는 세계 고양이의 날을 맞이하여 '춘식이의 선물코드 우체국' 프로모션을 진행했습니다. 선물하기 탭에서 길고양이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선물코드로 구매하면, '동물권행동 카라'에 기부돼 구조된 길고양이들을 보살피는데 사용되며, 카카오톡 선물하기 페이지의 이벤트 링크를 지인에게 카톡으로 공유하면 사료 50g이 선물하기를 통해 기부되는 방식이었습니다[5]. 

이러한 이벤트 덕에, 세계 고양이의 날, 국제 강아지의 날을 제대로 기념하고 또 그 의미를 곱십어 보기도 하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고 해요.​ 단순 제품 판매만 위한 것이 아니라, 해당 기념일에 맞추어 마케팅이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더욱이 MZ세대의 마음을 움직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마음을 움직이는 문구와 감성적인 일러스트로, 주변의 반려동물들을 돌아볼 수 있게하는 마케팅이 소비자들에게 전달이 된 거죠. 

 

05. 기타 펫 프랜들리 마케팅
 

(사진: pixabay)


미국 스타벅스 일부 매장에서는 비공식적으로 '퍼푸치노'를 판매하고 있어요. 업체 관계자는 해당 제품에 대해 "강아지가 사람이 먹는 것을 따라 먹고 싶어 하기 때문에 같은 간식을 먹으며 친밀감을 쌓을 수 있고, 즐거운 경험이 된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6].
 

LG전자는 19년도부터 반려동물을 위한 공기청정기, 건조기 등 펫코노미 시장 선점에 나서며, 단순 제품 출시 뿐 아니라 유기동물보호시설에 꾸준한 관심을 기울이며 봉사와 기부활동도 진행하고 있으며, 이마트24는 반려견 등록 서비스 플랫폼 '페오펫'과 손잡고 동물등록 대행 서비스를 하기도 하고[2], 국내 커피 프랜차이즈 커피빈에서는 반려견 출입을 환영하는 펫 프랜들리 매장을 하남에 처음으로 시범 운영을 하여 주목을 받았습니다[6].

(사진: 부산관광공사)


이 외에도, 공공기관에서도 펫 프랜들리 사업을 시행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데, 부산관광공사에서는 유기견을 입양해 키우는 반려인을 위해 부산시티투어 여행 이벤트를 열었고[7], 고양시에서는 GS25와 협업하여 지역특화 편의점을 오픈하여, 편의점 내에 시 마스코트인 고양고양이 캐릭터 굿즈와 함께 반려동물 간식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반려견 보유 인구 1500만명에 달하는 시대에 반려동물을 위한 착한 활동상은 기관, 기업들의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우리 비영리도 이러한 흐름을 따라가 관련한 마케팅을 고민해보면 좋겠습니다.



🟦 참고자료

[1] 펫 프렌들리 정책 예고에 너도나도 반려동물 마케팅 ‘후끈’ [급성장하는 펫코노미 시장〈上〉], 스포츠월드, 2022.05.17, http://www.sportsworldi.com/newsView/20220516517937

[2] 반려동물 600만 가구 시대에 펫 프렌들리 기업 잰걸음, 주간동아, 2022.10.06, https://weekly.donga.com/3/all/11/3669076/1

[3] 부산 반려견 순찰대 시범 운영… 8월 30일까지 참가자 모집, 내외경제TV, 2022.08.18, https://www.nbntv.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8839

[4] 롯데백화점, 반려동물 용품·카페·액티비티 공간…'펫 프랜들리' 백화점 변신, 한국경제, 2022.06.22,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62273651

[5] 카카오커머스, 세계 고양이의 날 기념 기부 프로모션 진행, 카카오커머스, 2021.08.06, https://www.kakaocommerce.com/kakaoCommerce/board/press/detail?idx=171&pageIndex=1

[6][마케팅의 세계] 반려동물과 함께 하는 '반려동물 마케팅', WORLD TODAY, 2021.11.17, https://www.iworld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406338

[7] 부산관광공사, '유기견 반려인' 위한 부산시티투어 진행, 메트로신문, 2022.08.12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20812500094

 


 


작성자 : 밴지 / 작성일 : 2022.10.31 / 수정일 : 2022.11.01 / 조회수 : 2337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